세계지리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226064
이문제 잘 모르겠어요.. (가)이집트 (나)튀니지 (다)사우디인데 A랑B가 구분하기가 어려워요 답이 A가 밀이고 B가 대추야자인데 이집트랑 사우디 둘다 대추야자가 나오잖아요 근데 비율표에는 이집트에 대추야자가 없고…ㅠ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대종t의 '치열하게 독하게'로 어휘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요. 하루에 day1씩...
대추야자 생산량이 아니라 국가별 대추야자 생산비율을 보셔야해요!! 사우디는 대추야자가 생산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만 전체 생산량으로 봤을때 높진 않아요
이집트는 전체 생산량으로 봐도 제일 많은편 아닌가요? 이해를 못하겠어요..ㅠㅠ
이집트는 오아시스쪽에 관개농업을 해서 대추야자가 아니라 지중해성 기후 농사를 짓는다고 생각하시면 될 것같아요 그리고 쌀<<이게 아프리카에서 이집트가 생산비율이 높아여
그건 아는데 이기상쌤이 이집트 사우디가 대추야자 생산량이 가장 많다고 하셨는데요,,,ㅠ
...오개념일까요
퓨 문제가 좀 타당성이 없는것 같아요..
이집트가 대추야자 생산량은 건조 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 지역 전체에서 많은 거죠. 애초에 그 지역에서는 농산물 생산량이 딸리니까요. 그러나 이집트는 대추야자 말고도 다른 작물을 많이 생산하기 때문에 이집트 내에서 1등 작물이 대추야자다 라고 단정할 수 없는거죠.
시대서 이승헌쌤 수업 들었는데
대추야자 생산 1위국가는 이집트라고
하셨어요.
그냥 대추야자 전체 생산량 자체가 너무 적어서
이집트의 표에 들어갈 수 없을 정도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네요...
평가원은 이런 문제 안내겠죠?
근데 사실 대추야자 부분 빼고
생각하면 문제가 쉽게 풀리고
‘기타에 대추야자 넣어버렸음’
이라고 하면 할 말 없으니...
평가원에 나오지 않을 거라고는
그 누구도 장담 못하지 않을까요?
가나다는 문제 없어 보이는데 솔직히 A랑B를 구분하는게 좀 타당성이 떨어지지 않나 싶어서요 A가 대추야자고 B가 밀이어도 말이 될것같아서
(나)는 지중해성 기후가 두드러지는 국가라는걸
알 수 있고, (가)에서 쌀, 옥수수 모두를 꽤 생산하는 것으로 보아 (가)가 이집튼거는 알 수 있기 땜에
가/나/다는 쉽게 정해지죠
그렇담 다)는 사우디가 되는건데
아무리 밀이 내건성이 좋고, 관개농업을
(그 스프링클러로 원형 경작지 만든거 있잖아요)
하더라도 대부분이 사막지역인데서
밀을 더 많이 생산하는건 말이 안되죠
대추야자가 글구 원래 모래사막서 자라는
아인데...
아 이렇게 들으니 이해가 가요..ㅠ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