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སྤ་རྫོ།༽ [963941]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2-11-07 16:18:43
조회수 4,462

수학 문제 이거 무슨뜻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225317



(답 틀림)






인테그랄


왜 f(t)라고 안 쓰고 저렇게 써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나희도 · 1172412 · 22/11/07 16:19 · MS 2022

    양수음수

  • Serene_ · 1051936 · 22/11/07 16:20 · MS 2021

    구간나눠야징

  • ༼སྤ་རྫོ།༽ · 963941 · 22/11/07 16:31 · MS 2020

    아 저 적분구간 안에서 f(t)=0이 되는 t가 없다는 뜻이네요

  • 음악 · 1149727 · 22/11/07 16:23 · MS 2022 (수정됨)

    0일 때 약분되는 꼴
    0이아닐때 통채로 약분
    위에 식 미분으로 준거보면 인수분해해서 잘 하라는 것 가틈

  • 누니난 · 1124381 · 22/11/07 16:36 · MS 2022

    어디문제임?

  • 수학문제싸개 · 502715 · 22/11/07 17:01 · MS 2014

    힠모인가??? 분모 0 되면 안되는거

  • 책참 · 1020565 · 22/11/07 22:08 · MS 2020

    식 자체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적분은 연속함수에 대해서만 정의합니다. 따라서 구간 [0, a/2]에서 함수 [f(x)]^2/f(x)가 연속임을 의미합니다. 이때 함수 f(x)는 다항함수이기 때문에 연속이므로 f(x)=/0인 x에 대해 함수 [f(x)]^2/f(x)도 연속임을 함수의 연속의 성질에 의해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간 [0, a/2]에서 f(x)=/0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맥락에서 함수 y=x-1과 y=(x-1)^2/(x-1)은 그래프를 그려보면 거의 같지만 x=1에서 정의가 되냐 안되냐에 따라 다른 함수로 분류됩니다. 잘 이해하신 것 같지만 혹시나 다른 분들이 헷갈려하실까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