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z12 [521254] · MS 2014 · 쪽지

2015-04-26 20:01:23
조회수 522

화법 공감하며 듣기 긍정적으로 반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21830

선지에 저런거 나오면 어떻게 판단하나요?
그리고 공감하며 듣는다는게 정확히 뭐죠? 잘 와닿지 않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과생꺼억 · 521650 · 15/04/26 20:09
    어 그렇구나

    나도그렇게생각했었는데

    교수님말씀을들으니 이제 알것같아요
  • zz12 · 521254 · 15/04/26 20:18 · MS 2014
    그니까 그게 무슨 기준으로 판별한거죠?
  • 문과생꺼억 · 521650 · 15/04/26 20:45
    굳이 제 식으로 개념화? 를 해보자면 긍정적인 호응...??
  • dj158 · 372453 · 15/04/26 21:22 · MS 2011
    2015 수능
    박사 : 이 그림은 조선 후기 겸재 정선이 그린 ‘계상정거도’라는 작품입니다. 정선은 퇴계 이황의 도산 서원과 그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그렸습니다.
    학생 : 그렇군요. 작품 안에 이황 선생이 계실 것만 같아요.(긍정적 반응)

    박사 : 이 천문도는 세계적으로도 손꼽을 만큼 오래된 천문도 중 하나예요. 별자리를 보여 줄 뿐만 아니라 별의 밝기까지도 표시했지요. 조선 시대의 높은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유산이에요.
    학생 : 와! 지갑 속에 우주가 들어 있었군요.(긍정적 반응)


    긍정적인 반응성은, 공감하여 듣는 말하기의 포섭되기 쉽습니다. 즉, 긍정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은 공감적 듣기가 된다는 것입니다.

    한편, 비판적 반응도 생각해 보세요.

    청자 3 : 아름시장의 새로운 시도 중 장보기 도우미에 대한 발표 내용에는 쉽게 공감이 가. 하지만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야금장터에 예술가들을 참여시켜 시장을 활성화하려 했다는 데는 공감이 가지 않아. 단순한 볼거리 행사에 그치지 않을까?(비판적 반응, 공감이 가지 않는 반응성)
  • 찌롱 · 572341 · 15/04/29 15:21 · MS 201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찌롱 · 572341 · 15/04/29 15:21 · MS 2015
    관리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