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속절과 부사절의 처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193771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을 안은 문장은 생긴 것도 비슷하고 그 범위를 어디까지 설정할 것인가에 따라 학자마다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다. 그러나 수능은 기술문법이라는 틀 안에서 일정한 기준을 두고 출제하기 때문에 논란이 있을 만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을 것이다. 평가원이 미쳤다고 복수 정답으로 인정될 만한 문제를 내진 않을 테니
1. 문장의 분류
현행 학교문법에서 문장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여기서 논란이 되는 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을 안은 문장의 분류 체계이다.
2.부사절이란?
쉽게 말해 부사어의 구실을 하는 절이다. '얼음이 이가 시리게 차가웠다'에서 '이가 시리게'가 그 예이다. 그리고 이 부사절이 어떤 문장 안에 들어가면 그 문장을 부사절을 안은 문장이라고 한다. 부사절의 특징은 문장 내에서 비교적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식 기능이 기본으로 깔려 있는 놈이라 위치가 한정돼 있지 않은 것이다. 물론 종속절도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렇게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면 통사론적 차원에서 둘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몇몇 학자들은 아예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인정하지 않고 부사절을 안은 문장에 다 넣어 버린다. 종속절을 아예 부사절로 보아도 수식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없고 재귀화나 이동의 자유성 등 공통점이 많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다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아예 없애기 어려운 이유는 반드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 부사절과 같은 구조를 지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명사절이나 관형절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만들 수도 있다. "아직 난 고1이기 때문에 시간이 많다"나 "선배들이 수능을 보는 중에 나는 잘 거다", "수영을 하기 전에 준비운동을 해라"와 같은 문장은 문법적 형식을 따지면 종속절이라 할 수 없지만 기능 면에서는 종속절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처럼 명사절이나 관형절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아직 학교문법에서 종속절을 부사절에 완전히 포함시키지는 않는 것이다. 또 두 절의 차이점도 무시할 수는 없다.
3. 종속절이란?
이어진문장에서 주절을 한정하는 절이다. '겨울이 되니 날씨가 춥다.'에서 '겨울이 되니'가 그 예이고 앞뒤를 바꾸면 말이 되지 않는다. 종속절과 후행절이 독립적이지 않고, 동등하지 않은 자격으로 연결된 문장을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라고 한다. 이어진문장 중에서 원인, 의도, 양보, 배경, 조건, 가정 등의 의미를 지닌 놈들이다.
4. 둘의 구분은?
현재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은 안은 문장은 학교문법에서 거의 같은 것으로 취급된다.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해서 성적이 떨어졌다
1.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했다+성적이 떨어졌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볼 경우)
2.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했다+난 성적이 떨어졌다(부사절을 안은 문장으로 볼 경우)
부사절을 안은 문장(2)로 보려면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해서"가 안겨야 한다. 그러면 부사절의 주어가 생략되고 안은 문장 전체의 서술어가 서술절이 되어야 하고 앞에 보이는 "난"이 전체 문장의 주어가 돼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보면 너무나 복잡하다. 문법을 기술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단순하게 설명하는 것이기에 이런 문장은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는 것이다. 물론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해서"가 안겼다고 볼 수도 있긴 하지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아무튼 내신에서는 모르겠으나 모의고사나 수능에서는 위치로 보면 된다. 수능에서는 헷갈리지 않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은 '주+술, 주+술'로, 부사절을 안은 문장은 '주+(주+술)+술'로 출제되니 그냥 문장 구조를 보고 풀자.
ex.
종속 부
철수가 오면 그들은 출발할 것이다. 책을 많이 읽으면 생각이 깊어진다. 바람이 불어서 모자가 날라갔다.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사람들이 떠나서 자리가 조용해졌다. 철수는 밥을 먹으려고 집에 갔다 | 하늘이 눈이 부시게 푸른 날이다. 피곤해하던 동생이 엄마가 모르게 잔다. 함박눈이 소리도 없이 내린다. 영수는 말도 없이 학교로 가 버렸다. 재희는 봉사활동에 아무도 모르게 참여한다. 빙수는 이가 시리도록 차가웠다. 철수는 영희와 달리 똑똑하다 |
세줄요약
- '주+술, 주+술'이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다
- '주+(주+술)+술'이면 부사절을 안은 문장이다
- 그래도 보기나 지문을 항상 살피어 상대적으로 푸는 태도를 갖자
--------------------------------------------------------------------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에서는 앞 절이 뒤 절 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ㄱ. 우리는 ‘비가 와서’ 소풍을 연기했다.
ㄴ. 물고기가 ‘강물이 오염되면’ 더 이상 살지 못한다.
ㄷ. 영수는 ‘책을 빌리려고’ 도서관으로 갔다.
바로 이런 특성 때문에 국어학계에서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로 보기도 했는데,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에서는 이런 태도를 반영하여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ㄴ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임지룡 외, 2005)
둘 중 하나로 설명이 가능한 놈을 하나라고 단정 지어야 하는 게 문제다. 정오를 가려야 하니 부사절이면 부사절, 종속절이면 종속절이어야 하는데 지금 너무나 애매하다. 다행히 위치로 해결할 수도 있으나 수능에서나 먹히는 방법이지, 내신이라면 다를 수도 있다. 참고로 이어진문장을 대등/종속으로 나누고 안은문장이랑 대립하게 하는 구도를 정립한 건 외솔 선생님이시다. 외솔 문법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학교문법은 둘을 엄격히 구분하였다만 요즘엔 아무래도 기존의 부사절 설정의 한계와 기술상의 문제로 인하여 문법을 달리 기술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견이 나오는 추세다. 특히 남기심 교수가 그런 쪽에 있으며 차라리 이게 낫다고 본다. 학교문법은 학생들을 위한 실용적인 문법 지식을 서술하는 기술문법인데 아예 하나로 통일해야 할 터인데 양측 다 타당한 근거와 논리가 있어서 좀 그렇다.
--------------------------------------------------------------------
국어학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공부하기싫다 0
공부하기싫다
-
평가원 #~#
-
지금까지 푼 n제 드릴5 , 드릴드1 지인선 이해원 다음에 뭐 풀까요
-
물리 풀다가 딱 풀려서 신음소리 냈는데 옆자리 사람이 쪽지 붙임
-
아 배고파 0
집가자마자 밥먹어야지
-
차라리 대놓고 못생겼다 욕을해 씹련들아
-
푸아앙 0
푸앙
-
좋댜 칠판 써야징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BB맞을수있나여 1
국 수 영 통과 통사 한국사 1-1학기 4 4 3 3 3 2 2학기 4 2 4 3...
-
물론 나는 국힘 지지 안함 민주당도 안함 근데 안철수 한동훈 김문수 오세훈 유승민...
-
흠 귀찮네
-
근데 진짜 학교에 담뇨를 망토처럼 두르는 애들이 있음 4
왜저럴까 싶음
-
이신혁선생님 1
아폴로 EBS가 있고 그냥 아폴로가 있는데 아폴로 EBS는 뭐죠? 이거 풀면 수특 안풀어도 되나요
-
담타 굿 전담 딱 피고 수업 간다
-
이게뭐노
-
비상!!!!!!! 10
같은 자습실 쓰는 담뇨단이 담요 둘둘 두르고 히터 키러 감 진짜개더운데 말이안됨 하
-
첫 정답자 2000덕 드리겠습니다!
-
이젠 얼룩까지 생김.
-
흑흑 또 고추밭이야
-
2차도 쳐야될 거 같네요.. 검정고시 오전 정답
-
제 1대 인민주석총통권한대행 이재명
-
션티 선생님이 서평을 써주신 수능 영어 책이 있다?!?! 1
https://atom.ac/books/13231/ ㄷㄷ '수능영어란 표면(A)이...
-
6일 전부터 투표 마감 시각 사이에 여론조사 결과 보도하면 젖지한테 독포먹나요
-
ㅈㄱㄴ 에센스는 또 뭐냐
-
다른 가능성이 있긴하나요 다 컷 계산해서 넣는건데
-
작년에 콘서타 5개월정도 먹었었는데 이번에는 약안먹고 몯스터 먹으명서 하려는데
-
국어 수학 다 김범준으로 하는 중 국정원 범작가 스블 김범준 물리도 가끔 범물리 들음(물론 김범준)
-
일요일에 평소 루틴대로 안하고 하고 싶은 과목 공부해도 될까요
-
지인선 n제 0
첫 N제로 이거 풀어보는중인데 항상 2개에서 많으면 4개정도 못풀어요 근데 문제는...
-
굳이 할거면 한 5월말에 해라
-
몸이 쓰레기야
-
6시에 올게요 1
-
집에 밤 12시쯤 오면 1시되기도 전에 잠들어..
-
팀수업 시간인데 3
스카에 아무도 안 옴 왜 다 늦냐...
-
6월3일 조기대선? “고3 모의고사와 겹쳐”..교육계 촉각[윤 대통령 파면] 4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확정된 가운데 정치권에서...
-
아주 좋습니다. 으흐흐
-
그리고 이 Arbor은 라틴어 herba에서 온 말로 허브(herb)와 동원
-
근데 그러면 특정당할 위험이 있기에...
-
날씨가 개지랄 중이라 사기가 귀찮다 반팔티 서너개랑 반팔셔츠 하나 버뮤다 팬츠...
-
오르비에 또 2
오르비에또
-
조금 만 더 화이팅! 오늘 시험 보신분들 채점하세요~ ▶ 검정고시 정답 확인
-
뿌우
-
AI는 신이야 0
AI 덕에 내 인생이 배로 쉬워졌다
-
하의대 보내달라고
-
사탐으로 광역 들어가서 공대로 졸업 가능?
-
나는 친구랑 게임얘기만 하는데 선지 뭐 골랐어? 공부얘기하니까 너무부럽다
그럼 길이 눈이와서 미끄럽다 이거는 종속도 되고 부사절도 되는데 후자라는 견해가 좀더 있다는건가여..?
그렇습니다. 근데 평가원이 '-어서'를 가운데에 넣지는 않을 겁니다. 얘네들은 '-어서'를 쓸 때 'A가 ~서, B가 어떠하다'와 같은 문장을 출제합니다.
이분께서 지금까지 출제된 문장을 정리하셨는데 보시면 감이 올 겁니다.
https://orbi.kr/00018918607/28%EB%B2%88%EC%A7%B8-%EC%B9%BC%EB%9F%BC)-%EC%88%98%EB%8A%A5-%EA%B5%AD%EC%96%B4-%EB%AC%B8%EB%B2%95-%EB%A7%88%EC%A7%80%EB%A7%89-%EB%8B%A4%EB%93%A4-%ED%99%94%EC%9D%B4%ED%8C%85%EC%9E%85%EB%8B%88%EB%8B%A4?q=430932&type=imin
'-어서'가 있는 절을 가운데에 놓는 건 사설이나 내신에서나 그럴 겁니다. 사설이라면 뭐 위치로 먼저 판단하되 보기를 보고 상대적으로 풀어야 할 거고, 내신이라면 담당 교사의 말을 따라야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