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가망없나 [1159823]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2-11-06 01:00:49
조회수 9,858

종속절과 부사절의 처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193771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을 안은 문장은 생긴 것도 비슷하고 그 범위를 어디까지 설정할 것인가에 따라 학자마다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다. 그러나 수능은 기술문법이라는 틀 안에서 일정한 기준을 두고 출제하기 때문에 논란이 있을 만한 문제는 출제하지 않을 것이다. 평가원이 미쳤다고 복수 정답으로 인정될 만한 문제를 내진 않을 테니



1. 문장의 분류

현행 학교문법에서 문장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여기서 논란이 되는 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을 안은 문장의 분류 체계이다.



2.부사절이란?


쉽게 말해 부사어의 구실을 하는 절이다. '얼음이 이가 시리게 차가웠다'에서 '이가 시리게'가 그 예이다.  그리고 이 부사절이 어떤 문장 안에 들어가면 그 문장을 부사절을 안은 문장이라고 한다. 부사절의 특징은 문장 내에서 비교적 쉽게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식 기능이 기본으로 깔려 있는 놈이라 위치가 한정돼 있지 않은 것이다. 물론 종속절도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약간의 차이가 있긴 하지만). 


이렇게 위치 이동이 자유롭다면 통사론적 차원에서 둘의 구분은 무의미하다 할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몇몇 학자들은 아예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인정하지 않고 부사절을 안은 문장에 다 넣어 버린다. 종속절을 아예 부사절로 보아도 수식 기능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큰 문제가 없고 재귀화나 이동의 자유성 등 공통점이 많다는 점을 근거로 제시한다.


다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아예 없애기 어려운 이유는 반드시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 부사절과 같은 구조를 지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명사절이나 관형절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만들 수도 있다. "아직 난 고1이기 때문에 시간이 많다"나 "선배들이 수능을 보는 중에 나는 잘 거다", "수영을 하기 전에 준비운동을 해라"와 같은 문장은 문법적 형식을 따지면 종속절이라 할 수 없지만 기능 면에서는 종속절이라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이처럼 명사절이나 관형절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아직 학교문법에서 종속절을 부사절에 완전히 포함시키지는 않는 것이다. 또 두 절의 차이점도 무시할 수는 없다. 


3. 종속절이란? 

이어진문장에서 주절을 한정하는 절이다. '겨울이 되니 날씨가 춥다.'에서 '겨울이 되니'가 그 예이고 앞뒤를 바꾸면 말이 되지 않는다. 종속절과 후행절이 독립적이지 않고, 동등하지 않은 자격으로 연결된 문장을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라고 한다. 이어진문장 중에서 원인, 의도, 양보, 배경, 조건, 가정 등의 의미를 지닌 놈들이다. 



4. 둘의 구분은?


현재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과 부사절은 안은 문장은 학교문법에서 거의 같은 것으로 취급된다.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해서 성적이 떨어졌다 


1.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했다+성적이 떨어졌다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볼 경우)


2.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했다+난 성적이 떨어졌다(부사절을 안은 문장으로 볼 경우)


부사절을 안은 문장(2)로 보려면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해서"가 안겨야 한다. 그러면 부사절의 주어가 생략되고 안은 문장 전체의 서술어가 서술절이 되어야 하고 앞에 보이는 "난"이 전체 문장의 주어가 돼야 한다. 그러나 이렇게 보면 너무나 복잡하다. 문법을 기술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게 단순하게 설명하는 것이기에 이런 문장은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는 것이다. 물론 "난 오르비를 너무 많이 해서"가 안겼다고 볼 수도 있긴 하지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 


아무튼 내신에서는 모르겠으나 모의고사나 수능에서는 위치로 보면 된다. 수능에서는 헷갈리지 않게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은 '주+술, 주+술'로, 부사절을 안은 문장은 '주+(주+술)+술'로 출제되니 그냥 문장 구조를 보고 풀자. 


         

 ex.


종속                                                         

철수가 오면 그들은 출발할 것이다.

책을 많이 읽으면 생각이 깊어진다.              

바람이 불어서 모자가 날라갔다.

봄이 오면 꽃이 핀다.

사람들이 떠나서 자리가 조용해졌다.

철수는 밥을 먹으려고 집에 갔다


하늘이 눈이 부시게 푸른 날이다.

피곤해하던 동생이 엄마가 모르게 잔다. 

함박눈이 소리도 없이 내린다.

영수는 말도 없이 학교로 가 버렸다.

재희는 봉사활동에 아무도 모르게 참여한다.

빙수는 이가 시리도록 차가웠다.

철수는 영희와 달리 똑똑하다



세줄요약

  1. '주+술, 주+술'이면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이다
  2. '주+(주+술)+술'이면 부사절을 안은 문장이다
  3. 그래도 보기나 지문을 항상 살피어 상대적으로 푸는 태도를 갖자 



--------------------------------------------------------------------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에서는 앞 절이 뒤 절 속으로 이동할 수 있다.
ㄱ. 우리는 ‘비가 와서’ 소풍을 연기했다.
ㄴ. 물고기가 ‘강물이 오염되면’ 더 이상 살지 못한다.
ㄷ. 영수는 ‘책을 빌리려고’ 도서관으로 갔다.
바로 이런 특성 때문에 국어학계에서는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로 보기도 했는데,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법 교과서에서는 이런 태도를 반영하여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을 부사절로 볼 수 있다고 하였다."

   ㄴ학교 문법과 문법 교육(임지룡 외, 2005)


둘 중 하나로 설명이 가능한 놈을 하나라고 단정 지어야 하는 게 문제다. 정오를 가려야 하니 부사절이면 부사절, 종속절이면 종속절이어야 하는데 지금 너무나 애매하다. 다행히 위치로 해결할 수도 있으나 수능에서나 먹히는 방법이지, 내신이라면 다를 수도 있다. 참고로 이어진문장을 대등/종속으로 나누고 안은문장이랑 대립하게 하는 구도를 정립한 건 외솔 선생님이시다. 외솔 문법의 영향을 많이 받아 학교문법은 둘을 엄격히 구분하였다만 요즘엔 아무래도 기존의 부사절 설정의 한계와 기술상의 문제로 인하여 문법을 달리 기술해야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견이 나오는 추세다. 특히 남기심 교수가 그런 쪽에 있으며 차라리 이게 낫다고 본다. 학교문법은 학생들을 위한 실용적인 문법 지식을 서술하는 기술문법인데 아예 하나로 통일해야 할 터인데 양측 다 타당한 근거와 논리가 있어서 좀 그렇다. 



--------------------------------------------------------------------

국어학


rare-쉬라몬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