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의 극한에서 최대최소 정리와 중간값의 정리 배우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14582
함수의 극한 부분에서 최대최소 정리, 중간값의 정리 부분을 왜 하필 그 부분에서 배우는지 잘 와닿지가 않네요.. 검색해봐도 별다른 내용이 나오지 않고요
혹시 알려주실 분 있으신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돈 내면 식권받을수 있음? 아빠회사 동료인가 후배직원인가 결혼한다던데 아빠는 바빠서...
-
그대가
-
ㅇ
-
불편
-
국힘해산되나
-
캐스트 최종정리글 암만 봐도 너가 날 까놓고 뒤늦게 날 카피함 이거잖아.국어...
-
3시30분까지 한과목만 하려고함 수학 제외 국어 영어 사문
-
“동기들은 수업 복습할 때, 혼자 인터넷강의를 들으며 F=ma(뉴턴의 운동법칙)...
-
ㄱㅁ하나할게 8
-
https://orbi.kr/00073082844 언매 39번을 보시면 알겠지만...
-
진짜 미친놈같네
-
난 이게 맞아 탐구 비중 90% On
-
병신과 머저리 3
-
어제 선배 멘토링 어쩌구해서 난 화학을 가장 못 봐서 화학 멘토링 갔는데 나만 혼자...
-
예
-
시험지 운영하면 평균적으로 독서론 3~5분 화작 14~16분 문학 27~30분...
-
스카 가려고 검색하고 그 건물 가보면 아무것도 없는 경험이 몇번째야
-
점수가 더 잘나옴 난이도 비슷한데.. 특히 수학
-
[속보] 김문수 “대통령 후보 선출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3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10일 법원에 ‘대선 후보 선출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
단순히 잘 만들었다를 떠나서
-
노베면 좋은 점 2
커로 뜰까봐 걱정할 일이 없어요 ㅋㅋ 뜨면 그날 한강 가야하기 때문...
-
롤 ㄱ 2
오랜만에 해보고 싶다
-
이재명 "가만히 있으면 상대방 자빠져...난 아무 짓도 안했다" 1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10일 국민의힘이 대선 후보를 김문수 후보에서...
-
레어 부족할땐 아이브, 르세라핌 등등 아이돌 레어사면 그냥 모임 17
가끔 써먹는데 가끔씩 물릴때도 있음
-
나만 이런가 10
모고 전까지 매일 불안해하고 우울하게 공부하다가 시험 보고 성적오르면 기분 좋아짐...
-
수학은 사실 거의 안들음
-
4월 더프 한번 봤는데 확통 66점으로 5등급... 수능환산 4등급 이렇게 떳네요....
-
내 100만원...
-
점메추 6
진짜진짜맛있는거 본인 최애 메뉴 적고가주세요
-
이 문제임 이 문제 풀때 다 +1하고 근의 공식 쓰고 파이팅 넘치게 풀잖씀 근데...
-
다정한 말로 나를 죽여놓고.
-
길 지나가면서 보이는 애들 중에서 같은 반이었던 애들은 서로 초딩 때 같은...
-
고전시가 듣고싶당
-
5모수학 15번 난이도 11
어려웠나여?저는 문제보고 패스해서 몰루?
-
문제가왜이럼...
-
전제가 어쩌고
-
진짜 맨날 준킬러에서 눈알삐어서 안절면 될거같은데
-
ㅈㄱㄴ 난이도 궁금함요
-
답은 72였습니다 19
그래도 실력 많이 오른게 느껴지네요 교육청이라고하면 할말 없는데 4에서 꾸역꾸역...
-
찍소리도 못했을듯ㅋㅋ
-
날 사랑해줘 우웅~~
-
아 아직도 안나오는데 19
왓 5000덕으로 올려
-
엄 현재 수1, 수2 개념은 되어있구요. 5등급입니다. 선택은 확통할건데 아무것도...
-
공하싫공하싫 0
자고시퍼ㅡㅡ
-
그러고 정작 그 주제는 다음해 수능에 내고...
-
아무리 수능이 얼마 안남았어도 너무 배려를 강요하는 것 같은데
-
4000덕 더블로 가
-
본인 딴엔 남자한테는 인기있는 줄 앎 ㄹㅇ ㅋㅋㅋㅋ
근의 갯수 판단 할 때의 하나의 도구로서 쓰인다고 생각합니다. 그래프를 그리기 어려운 함수의 경우 몇가지 정리를 통해 근의 갯수를 유추해낼 수 있는거죠..
ㅜㅜ
참고하겠습니다
저도 최대최소나 중간값정리가 함수의 극한파트에 나올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미분에서 곡선개형 다음 순서로 실근 유무나 개수파악이 가능하니
그 부분에 있는 게 무난하다고 생각해요.
다만 최대최소나 중간값정리는 미분이 아닌 연속조건만 있으면 되니
함수의 극한과 연속파트에 있어도 무리는 아닌 듯 합니다.
즉, 사용조건을 따지면 함수의 극한, 연속 파트에 실려야하고
활용법을 따지자면 미분 파트에 있어야 할 듯요..
넹 알겠습니다~~
넹 알겠습니다~~
넹 알겠습니다~~
최대최소 정리나 중간값 정리는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증명을 하지 않고 그래프 개형을 그릴 때 사용하기 때문에 그 파트에서 나와야 하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해석학에서는 그쪽 정리는 연속과 컴팩트(이또한 대학수준의 개념입니다)를 사용해서 증명하게 되고 따라서 저자인 교수님들은 그쪽에서 소개하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구체적인 설명도 없고, 증명도 넘어가고
문제로 나오는 것도 틀에 박힌 근이 한개 이상임을 보이는 그 예제 밖에 없어서
이럴바엔 차라리 대학에서 가르치지 싶긴 하지만, 어쨌든 교육과정 짜시는 교수님들이 다 생각이 있으셔서 넣었겠거니 하고 공부 해야겠죠 .. ㅎㅎ;
답변 참고 하겠습니다~~
왜냐하면, 최대최소정리나 사잇값 정리는 미분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연속함수의 성질이기 때문이에요. 미분 가능한 함수가 아니라도 최대최소정리나 중간값 정리가 성립하는데, 그게 미분파트에 나오면 이상한거죠. 실제 대학교에서도 극한으로 연속성을 정의하고, 연속성과 옹골집합으로 최대최소정리 사잇값 정리를 증명해서 극한 파트에 나오는거 같네요.
우리가 연속을 배우는 이유가 중간값의 정리 최대최소의 정리와 미분을 학습하기 위함이지 연속이라는걸 배우고나서 중간값의정리는 뭥미?가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고교과정에서는 중간값의 정리는 f(x)=k의 실근의 개수를 그래프로 판정하는 것을 논리적으로 당위적이게끔 하는 것에 주 목적이 있고 최대최소의 정리는 정적분의 기본정리를 증명할 때 그리고 평균값의 정리와 극값이면 미분계수값이 0이라는것을 보일 때 사용합니다.
최대 최소정리는
정적분과 미분의 관계 증명할 때 쓰이니까 가르쳐 준다고 알고 있습니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