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잉 · 1118613 · 22/11/03 09:27 · MS 2021

    0과 x가 적분범위니까 t는 0과 x사이에 있음
    그니까 x가 0보다 클때랑 작을때 각각 t와 x의 대소관계가 변하는거

  • ELEC · 964336 · 22/11/03 10:47 · MS 2020 (수정됨)

    이거 맞나요?

  • 한번에간다간다 · 1160352 · 22/11/03 13:35 · MS 2022

  • 책참 · 1020565 · 22/11/03 12:17 · MS 2020

    구간 [0, x] 또는 [x, 0]에서 t에 대한 함수ㅣt-xㅣ는 -(t-x) 또는 (t-x)입니다.

    예를 들어 구간 [0, 3]에서 x에 대한 함수 ㅣx-3ㅣ이 -(x-3)이고
    구간 [-3, 0]에서 x에 대한 함수 ㅣx+3ㅣ이 (x+3)인 것처럼요!

    따라서 x>=0일 때는 ㅣt-xㅣ=-(t-x)이고 x<0일 때는 ㅣt-xㅣ=(t-x)로 처리하시면 됩니다.

  • 책참 · 1020565 · 22/11/03 12:18 · MS 2020 (수정됨)

    1. '절댓값이 뜨면 안이 0이 될 때를 기준으로 경우 분류'에 따라 ㅣx-tㅣ에서 x>=t일 때와 x=a일 때는 x=t가 됨을 알 수 있음

    2. 해보니 g(x)가 a에서 x까지의 적분으로 정의되었으므로 x>=a일 때는 x=t임을 확인 가능

    3. a=0인 상황이니 x>=0, x<0으로 경우 분류 가능

  • 한번에간다간다 · 1160352 · 22/11/03 13:41 · MS 2022 (수정됨)

    a가 왜 나오는건지 모르겠어요

  • 책참 · 1020565 · 22/11/03 13:50 · MS 2020

    앞서 0을 기준으로 나누는 게 발상적이라고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아서 g(x)가 integrate from a to x일 때로 일반화 해 설명했습니다

  • 한번에간다간다 · 1160352 · 22/11/03 13:52 · MS 2022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