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수혁 [517676] · MS 2014 · 쪽지

2015-04-22 10:13:20
조회수 189

국어기출질문(2006.6월모평)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09104

작년 마닳 비문학 요약과제 13-(2)
2문단에서 세금 부과 전 자루당 1500원에 100만 자루가 거래되고 있었는데 정부가 생산자에게 자루당 100원의 물품세를 부과할 시 생산자는 총 1억 원(100원×100만자루)의 세금을 납부해야 되고 이로인해 손실을 입게 된 생산자라고 나와있는데 여기서 손실을 입게 된 다는게 세금 부과 전에는 15억을 벌 수 있었으나 세금 부과 후에는 1억 원을 세금으로 내야하기 때문에 단순한 세금 납부로 발생한 손실인건가요? 

그리고 생산자는 이에 불만을 갖게 되어서 가격을 100원 더 올리려고 한다 하였는데 이 경우에는 자루당 1600원에 거래되므로 수익은 16억이 되고 세금은 1억 원이므로 실제 총 수익은 15억이 되는데 만약 애초에 1500원에 팔려고 했던 생산자에게는 딱히 이득도 손해도 아닌 경우가 되는거겠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Holy Knight · 499969 · 15/04/22 11:28 · MS 2014

    1.세금납부로 발생한 1억원의 손실로 인해서 불만이 생겼다고 볼수 있을것 같음
    또하나로 생산자가 100원을 더 올리려고하는데 소비자의 불만이 생겨 시장의 가격조정으로 1500~1600원의 사이에 새로운 가격이 형성되기에 가격이 올라도 손실을 본다는걸로 보기엔 무리가 있을듯..
    2.세금부과 전과 비교하면 그렇다고 볼수있겟져

    중요한건 가격을 100원을 올린다면 소비자의 불만이 쌓여 100만자루가 팔릴가능성이 없을것같음 수익이 16억이 안됨 본문에서 보면 시장가격조정으로 1500~1600원 사이에 가격이 형성되는데 그게 반드시 1600원이라는 보장이 없어서 결국 세금을 부과한다면 세금부과 전에 비교해 거의 손해를 보게 됨

  • 2수혁 · 517676 · 15/04/26 20:11 · MS 2014
    감사감사@^^@
  • Holy Knight · 499969 · 15/04/26 21:24 · MS 2014
    공부열심히 하나보네 ㅋㅋㅋ 힘내^^
  • 2수혁 · 517676 · 15/04/27 13:59 · MS 2014

    고마워너도~~~~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