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잡이 [520796] · MS 2014 · 쪽지

2015-04-21 21:53:04
조회수 5,640

문과에서 공대로 복수전공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07769

말 그대로 문과에서 공대로 복수전공하려고합니다.

한국사가 좋아서 인문학도의 꿈을 꾸었지만, 대학에서 하는 인문학은 저랑 너무 안맞더군요...ㅋㅋㅋ

그래서 평소에 관심있었던 공학 복수전공을 하려고하는데, 학교에 계신 공대 선배들한테 물어보면 아무래도 전문가가 아니여서 어떤 공부를 해야하는지 잘 모르시더군요...

그래서 질문 드리려고합니다. 문과계열 수학(미적분 기본)을 공부한 학생이 공학 공부를 하려면 추가로 어떤 수학공부를 해야하나요? 추가로 과탐도 알려주세요.

답변은 현재 과외같은거 하시는 공대생분들이 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문과 수학가르쳐 보신분들이 알려주시면 더욱 좋을거같아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물량공급 · 311238 · 15/04/21 21:54 · MS 2009

    막연하네요..

  • 공잡이 · 520796 · 15/04/21 21:56 · MS 2014

    공업수학을 하기에필요한 부분이 어느정도 인지라도 알려주실수 있나요??? 이과 전범위를 공부해야 가능한건가요? 과탐같은 경우도 생물같은 과목을 공부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ㅜ 목표하는 과는 전자공학입니다.

  • 물량공급 · 311238 · 15/04/21 22:14 · MS 2009

    전자공학 전공하는 학생들도 1학년과목을 다 잘하는것은 아니니 편차가 큽니다. 전자공학 중에서도 분야가 상당히 갈리는데

    (1)컴퓨터 아키텍쳐/디지털회로설계/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과목들은 과학이나 미적분학이 전-혀 들어가지 않습니다.

    (2) 신호및시스템/통신공학개론/디지털통신/확률및 랜덤프로세스/디지털신호처리/디지털영상처리 와 같은 과목들은 오직 수학만 사용합니다.(+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계산) 역시 과탐은 전혀 쓸모없습니다.

    미적분학1,2 + 공업수학1,2를 커버하게되면 위의 과목들을 암기하는데 지장이 없으며 수학적인 전개를 알고싶을때는 수학과 수업을 들어야할정도로 상당히 괴리가 큽니다.

    (예를들어 푸리에변환에 대해서 다루면 전자과에서는 푸리에변환을 해서 신호를 해석하는것을 다룬다면 수학과에서는 푸리에변환 가능성 자체나 음..아무튼 느낌이 다릅니다.)

    분야는 다소 다르지만 자동제어나 디지털제어도 수학만 들어가고 과탐(특히 물리)는 쓸모없습니다.
    (기계과에서는 중요한걸로 알고있음)

    (3) 기초회로이론-회로이론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삼각함수 정도만 알고있으면 문제없습니다.

    미분방정식을 알면 도움되기는 합니다.

    (4) 전자장론(전자기학), 고체물리전자, 반도체공학, 전자회로, 반도체소자에 대한 물리적인특성과 화학적인 특성이 주로나옵니다.

    전자기학은 다른 전자공학분야에서는 잘 사용하지않는 벡터미적분학(다변수함수)에 관한 여러가지 수학적 도구를 알고있어야하는데요(물리는 거들뿐) 많은 학생들이 재미없어서 기피합니다.

    전자기학을 제외하면 수학은 거의방정식 수준이고, 대부분 과학탐구와 같은 테크티컬한 풀이가 적용되었던것 같습니다.


    솔직히 전자공학에서 다루는 내용이 워낙 방대하다보니

    (수학, 물리, 컴공, 신소재)

    한 파트도 맞지않으면 공대적성은 아니라고보시면 되는되요.





    제가 그런것 같네요
    (주르륵)







    - 아 그리고 전자공학에서 쓰는 수학들은 경제학과에서 쓰는 수학이랑은 다른분야에요.
    (계량경제 정도만 겹칠듯)

  • 물량공급 · 311238 · 15/04/21 22:15 · MS 2009

    참고로 저는 전자공학을 전공하면서 경영복전하다가 때려쳤습니다.(4학년임)

  • 공잡이 · 520796 · 15/04/21 22:23 · MS 2014

    우오오 정말 감사합니다!!!!
    괜히 갓량공급하는게 아니네요 ㅋㅋ

    근데 제가 인문계열이다보니... 모든 용어가 생소합니다ㅜㅜ
    공부해야하는 과목을 수능 과목으로 간략하게 말씀해주실수 있을까요??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물량공급 · 311238 · 15/04/22 00:08 · MS 2009

    일단 이과학생이 배우는 수학을 미적분학과 연계해서 한꺼번에 일망타진하세요

    최소한 삼각함수단원은 꼭보시고 미적분학으로넘어가세요

    삼각함수ㅇ

  • 구 글 · 536331 · 15/04/21 23:01

    회로이론 이번에 시험봤는데
    그냥 개정전 물2 전기파트의
    심화판이더군요

  • beach-side-sunny · 556117 · 15/04/21 22:02

    12학기도 모자랄 것 같은데요

  • 공잡이 · 520796 · 15/04/21 22:06 · MS 2014

    5년 다닐 생각은 하고있습니다. 계절까지 하면서 최대한 빠르게 끝내보려합니다.

  • knox · 510797 · 15/04/21 22:09 · MS 2014

    얼마전 바뀐 교육과정에 미적분1과 미적분 2라는 과목에서 미적2라는 과목을 하시면 됩니다 수학도 수학이지만 물리가 힘드실텐데.....

  • 공잡이 · 520796 · 15/04/21 22:10 · MS 2014

    쪽지좀 보낼게요!

  • 물량공급 · 311238 · 15/04/21 22:17 · MS 2009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원하는 파트를 찾아서 관련수업만 계속들으시고 석사나 석박사로 진학하시는걸 추천할것같습니다.

  • ㄹㅍㄱㅊ · 569846 · 15/04/21 22:21 · MS 2015

    그냥 한국사가 좋아서 인문학과로 갔는데
    본인의 예상과는 달라서
    마찬가지로 그냥 공학에 갑자기 관심 생겨서 공대로 복수전공을 한다?????????
    ????
    공대 갔을 때도 똑같이 본인 생각과 다를 거 같은데요

  • 공잡이 · 520796 · 15/04/21 22:24 · MS 2014

    말이 그런거지.... 다른곳이 쫄려서 갔다고 할 수 있죠..하하하하
    뭔지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