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시험장 알아두면 쓸모있는 팁>대방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062650
안녕하세요. [휘랩연구소] 김강민T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능 전 알아가면 좋은 팁들에 대해 설명해보려 합니다.
‘굳이 이런 것까지 준비해야 돼?’
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정성을 극대화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입니다.
또한, 아래 내용들을 실천한다고 해서 공부에 전혀 방해되지 않습니다.
1. 화장실 위치 미리 파악하기
수능 일정에 맞춰 생활했음에도 불구하고
시험 도중 갑자기 배가 아플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시간은 매우 소중하므로
동선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겠죠?
그러니 미리 화장실 위치를 파악하도록 합시다.
최악의 상황에는 모든 칸을 다른 수험생들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학생들이 잘 오지 않는 화장실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저와 n수생들의 경험 상
구석에 있는 화장실과 교무실 근처 화장실에 사람이 적습니다.
2. 한국사 시간에 화장실 갔다 오기
한국사 시간에 화장실에 가지 않으면
14:50부터 16:37까지 화장실에 가지 못하는데,
이 시간은 107분이므로
수학보다 더 오랜 시간동안 화장실에 가지 못합니다.
자칫하면 과학탐구에 집중을 하지 못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손 들어 감독관에게 말씀드리고 조용히 다녀온 후
교실 밖에서 단순히 금속탐지기로 검사만 하면 됩니다.
눈치보지 말고 갑시다.
당장 가고 싶지 않더라도 가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의 몸은 긴장할 때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3. 요구할 것은 요구하기
요구할 것은 요구하도록 합시다.
1년 동안 이렇게 고생했는데
수험생에겐 이정도 요구할 권리도 있지 않겠습니까?
덥다면 히터를 꺼달라,
춥다면 켜달라,
혹은 화장실에 가고 싶다고 요구하면 됩니다.
저는 시험 도중 네 번 손 들었습니다.
처음엔 가채점표 이제 붙여도 되는지 여쭤보았고,
두 번째는 더워서 히터 꺼달라,
세 번째는 화장실 갔다 오겠다,
마지막은 히터가 켜져있어서 다시 꺼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어차피 매 시간마다 감독관은 바뀌기 때문에 귀찮아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수험생의 요구를 들어주는 것도 감독관의 역할입니다.
4. 평정심 유지하며 끝까지 몸부림치기
망한 것 같아도 끝까지 반드시 평정심을 유지합시다.
찍더라도 최대한 가능성 높은 거 찍으면서
끝까지 몸부림치는 것이
점수에 생각보다 많은 영향을 끼칩니다.
실모에서 ‘잘 모르겠지만 왠지 이거 같은데~’
라는 생각이 들며 찍었을 때 맞춘 경험이 있으시죠?
이것이 그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본인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하기
국어 풀 때 너무 긴장할 것 같아 우황청심환 먹는 경우,
영어 시간에 자꾸 졸음이 쏟아져 커피를 마시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전자는 너무 차분해져
오히려 무기력해지거나 졸릴 수도 있으며,
후자는 이뇨 작용이 활발해져
자꾸 화장실에 가고 싶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커피를 250mL 이상 마시니
70분 동안 1회 이상은 갔습니다.
그래서 150mL 정도로 제한하니
잠도 덜 오고 70분 동안은 괜찮았습니다.
6. 시험 사이 쉬는 시간에 남들이 답 얘기하는 것에 휘둘리지 않기
저는 지난 칼럼들에서
막히는 문제가 나오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넘어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면서
멘탈이 흔들리지 않는 것이
수능 시험을 잘 볼 수 있는 길이라고 계속 언급했습니다.
이것도 같은 맥락입니다.
위에서 여러 가지 팁들을 많이 얘기했지만,
결국 수능 점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은
본인의 실력입니다.
수능 날에 찍어서 n문제를 더 맞히는 기적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나,
조그마한 기적은 충분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떠한 국어 문학 작품 하나를 공부했는데
우연히 수능에 출제되어 시간이 단축되고,
그것이 도화선이 되어 비문학 지문을 더 이해하는데에 시간을 투자해
6, 9평에 비해 비약적인 성적 상승을 이끌어내는 것,
이것이 작은 기적입니다.
그러므로 지금 시기에 할 수 있는 것은 달리고, 또 달리는 것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전 칼럼도 링크 남겨놓겠습니다.
1. 실전모의고사에서 ‘실전’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1) - 마인드 세팅
2. D-40 지금부터 열심히 한다고 해서 성적이 오를까?
3. 실수를 줄이는 초고속 실천 방법
4. D-25 이렇게 풀면 시간 단축할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금 밖에 볼일있어서 나와있는데;; 1시간동안 할게 없네
-
왜 신분변장했대
-
사문 타임어택 0
사문 20문제 타임어택 vs 물리 18-19문제 타임어택 어떤 게 더 빡세나요?
-
쪽지 주세용
-
걍 5058가자 0
나 의대 좀 가게
-
SKT “해킹으로 가입자 유심정보 유출 정황”…당국, 비상대책반 구성 1
SK텔레콤이 해킹 공격을 받아 이용자 ‘유심(USIM) 정보’가 유출된 정황을...
-
얼버기 2
좀 자니까 훨 낫군
-
사문 내신 시험 중에 진짜 하늘이 두 쪽 나도 틀린 문제가 있어서 한참 고민하다가...
-
우리는 별이오. 무수히 많고 그래서 어쩌면 보잘것없어 보일 수도 있지. 바라보지...
-
뒷북쳐서 올리는 28학년도 수능수학 30번 예시문항 풀이 0
허수인 강사가 밑이 같은 로그지수함수 관계를 이용하지 못하였는 데 이제 보이네요...
-
한동안 공부에 손놓고 있었는데입대 전에 딱히 할게 없어서 알바도 할겸 공부 다시...
-
심찬우 에필로그 0
심찬우 선생님 생글생감맘 듣고 에필로그 대신 국정원이랑 기밀문서로 그냥 따로 해도...
-
계정 잘못눌러서 본계사람들 스토리 본거엿음 맨날 옯스타만 보니까 인싸감성이...
-
수학 풀어주세요 1
덧셈정리안쓰고 QC길이 어케구하죠
-
하나는 만점인거 같고 다른거는 중간이상 같은데 참,, 과탑 못하겟군 4점대만 나오자 ㅠ
-
수1 수열 질문 1
수학 잘하시는분들 수열 문제가 안풀리네요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당장 떠오르는게 없는데 수험생활이나 기술과 관련된 시 없을까요
-
ㅅㅅㅎ 8
심심한거시다
-
친구가 잉크 뿜는 캡 돌렸는데 내가 아직 사용법이 미숙치 않아서 진짜 나왔나...
-
이명학 리엔로 0
리엔로 순삽 원래 이렇게 어렵냐?
-
뭐가 나을까요?
-
화2 정복. 1
커어어엇
-
이정환 확통 0
이정환 파이널 때 미적만 해설 하나요?
-
이왜진
-
와이파이 겁나 느림...
-
겨울방학 때 공부 많이 안한 거 후회해요. 근데 공부할 때도 그 생각만 나고 다른...
-
하앗 ...
-
자꾸 내가 오지 말라는데 중간고사 이 새끼 자꾸 점점 빠르게 다가옴
-
당연한 말이긴 한듯 그래서 실력이 작년이랑 그대로임.. ;
-
이거 하나 틀렸는데 정답률 80퍼짜리 문제라 해설도 자세히 없고 이해도 안돼요.....
-
26수능 수험생 대상...
-
이제 일어남 1
ㅈ됐네 ㅋㅋㅋㅋ
-
역대급 레전드를 봐버렸다 아니 시발... 저게뭐야 소리밖에 안나오네
-
강의 없이 교재로만 공부하고 싶습니다. 25수능 86 87 1 68 90...
-
1,2쿨 op,ed 전부 좋은게 말이안됨요
-
국어 푸는 순서 0
아무렇게나 해도 상관 없는 듯 언독문 하다가 언문독으로 해봤는데 똑같음
-
역덕인 나도 재미없어 질식사할거 같다 진짜 개노잼임
-
어떤가요? 사문 불안불안한디 역사 배경지식은 좆도없음
-
내일 물개님이 결과 발표와 함께 올리실 것 같지만 그래도 한 번 정리하여 올립니다....
-
대치동 학원가는 보통 은마아파트에서 한티역까지 대략 1.5km 구간을 대치동...
-
1학년부터 학점이 1후반에서 2 초반 나올거같은데 2학년때부터 열심히 하면 되겠죠??
-
너무 힘드네요.. 3점짜리도 잘 못푸는데
-
사회(기업)는 아직 네가 어떤 능력을 가진 상태인지 모른다. 2
그렇기에 아직 못 믿겠으니 능력을 발휘하여 성과를 보여준 후 권리를 요구하라는...
-
미적분 n제 0
미적분 그래프연습하는엔제랑 강의 추천해주세요
-
벼락치기를 하지
-
3평 국수 백분위 99 4덮 국어 역대급 설사 84 기하 88 물리 48 지2...
-
눈치게임 실패한건가 혼자 제적당한 한 명은 어쩌냐
-
미적이랑 대우 똑같고 난이도 양 적인 측면에서 훨씬 떨어지는데 기하쎈이 확통쌘보다 얇음
-
예를 들어서 도형 문제면 일단 처음에 이 길이랑 이 길이 구하고 그다음에 이 각...

올해 수능 화이팅입니다:)개추

개추 감사합니다:) 실전 팁을 통해 최고 점수 찍으시길 바랍니다!작년에 재수생이었던 아빠입니다
이 글을 보니 너무나 열심히 공부하고 노력했던 아들 생각에 가슴이 울컥하네요...
올해 오르비 수험생들 모두 최고 점수 찍으세요~
정말 수험생활은 학부모 입장에서도 보기에 참 마음이 아프죠.
올해에도 열심히 하는 수험생들 모두 최고 점수 받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