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 시간 관리에 관하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975859
문제 푸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존재하지만 가장 추천드리는 방법은 모르는 문제(안풀리는 문제, 막힌 문제)를 빨리 건너뛴 뒤 20번까지 한번다 읽어보고 다시 돌아와서 몰랐던 문제들을 풀어야 합니다 저는 문제 푸는 방법에 따라서도 성적이 매우 달라진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명이라 이렇게 모든 문제를 시도해보되 자신에게 잘 풀리는 문제를 먼저 푸는 것 즉 번호에 얽매이지 않고 시도하는 것입니다 그게 앞으로 나아감을 만들고 부족했던 시간을 확보해주면서 쫄아서 풀지 못했던 번호들도 풀어낼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생각함!
반박시 님 말이 다 맞아요..전 그냥 허수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서울과 대구에 사드를 배치완료했다고 발표 빼애애액! 머리아파! 핸드폰이...
-
AIIB는 어떻게되는거...?의장국이 부의장국을 후드려패는 꼴인데 ㄷㄷ
함 해볼게용..
시도해보고 후기 주세욤
혹시 궁금한게 있는데.. 질문드려도 될까요??
역학에서 문제풀이를 어떻게 시작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어떤 것을 문자로 놓는지 상대값을 어떤 기준으로 잡는지 (논리적인 근거가 있는지 아니면 그냥 삘이 오는건지)
물리 허수 살려주세욮으ㅠㅜ우
전 딱히 하나의 풀이만을 고수하는 스타일이 아니라 말씀드리기 어렵네요..다만 에너지 보존 문제에서는 상댓값 처리( E=1/2mv^2 하나의 예시임 ) 이런 식으로 치환해서 풀거나 좌표 풀이( 특정 상태에서의 ( 운동에너지, 위치에너지)를 상댓값으로 표시)하여 직관적으로 풀 수 있도록 합니다 용수철은 기본적으로는 수직선 풀이 ( 수직선 위에 힘 작용을 표시해 푸는 풀이) 그리고 문제에 따라 그래프 풀이( 배기범쌤이 알려주심) 또는 상황 자체로 이해하여 푸는 풀이( 말 그대로 다른 스킬 없이 ) 가 주로 쓰는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