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peranto♪ [557753] · MS 2015 · 쪽지

2015-04-14 21:05:25
조회수 730

지구과학1. 1등급 2등급은 어느부분에서 갈린다고 생각하세요?? (전글하고 다른내용)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88870

생물로 예를들면 문제풀이속도따른 유전문제시간확보, 낚시자료 해석능력? 이런식으로 지구과학은 어떻죠??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샤넌 · 565468 · 15/04/14 21:13 · MS 2015

    천체

  • 스카이언 · 483165 · 15/04/14 21:14

    222

  • 잭펜 · 488086 · 15/04/14 21:39

    만점과1등급가르는거는 지엽
    2등급1등급가르는거는 천체

  • 락바라기 · 509101 · 15/04/14 22:25 · MS 2014

    ㅇㄱㄹㅇ (작년기준)

  • Esperanto♪ · 557753 · 15/04/15 00:01 · MS 2015

    작년이 다른년도랑 경향이 달랐었나요?

  • 죄수생이라는 · 565800 · 15/04/14 21:40 · MS 2015

    천체

  • 엿먹이기 · 405135 · 15/04/14 22:33 · MS 2012

    저 같은 경우에는 천체를 처음 배울때 가르쳐주신 선생님이 너무 잘 이해되게 가르쳐주셔서 천체에는 별 문제가 없는데 지엽적인 부분에서 틀려서 한번씩 미끄러지더라고요 오히려천체는 어렵다 어렵다 하는 분위기가 많아서 더 열심히 하게되서 더 안틀리는거 같아요 ㅋㅋㅋ 1,2,3 단원 지엽적인 게 레알 등급 가르는듯

  • Esperanto♪ · 557753 · 15/04/15 00:02 · MS 2015

    지과에서 지엽이 어떤건지 한두개만 예 들어주실 수 있으세요?? 공부하면서 아 이런거구나 감잡게요!

  • 엿먹이기 · 405135 · 15/04/15 16:30 · MS 2012

    뭔지 딱히 기억은 안나는데요 그런 지엽적인 거는 사설에 주로 많이 나오죠 ㅎㅎ 그런 문제를 레알로 경험해보고 싶으시면 홀로서기 가셔서 2개년 사셔서 60회 정도의 모의고사를 푸시면 정복 될 듯 싶습니다ㅋㅋ

  • 이끼만땅 · 568207 · 15/04/15 11:39 · MS 2015

    리얼 지엽적인 부분과 리얼 어려운 천체요

    예를 들자면 갑자기 처음 들어보는 해류이름이 나오는것정도는 기본이고 작년 수능만 봐도 그렇습니다 물수지평형이 바다중심으로 나오는데 참...일단 물수지가 소수점단위로 나올떄부터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낚시 진짜 많고요(공부하시면 아실꺼에요)천체는 그저 많이 하는수밖에 없네요 정확한 기초안에서요


    지엽적인거 예를 더 들어보면 남극순환류가 무역풍에 의한건지 편서풍에 의한건지 혹은 산소동위원소의 비가 바다와 빙하사이에 어케다른지 혹은 필석이 중생대인지 고생대인지....뭐 그래야죠 ㅎㅎ 이래야 지구과학이죠 ㅎㅎ

  • 이끼만땅 · 568207 · 15/04/15 11:40 · MS 2015

    더 지엽적인거 물어보면 아름다운 한반도에서 위치위주로 정보를 알아야되는 문제도 수능완성에서는 봤어여... 수능에서 이런거 나오면 ㅎㅎ..

  • Esperanto♪ · 557753 · 15/04/15 12:50 · MS 2015

    감사합니다!

  • 과학소년 · 555633 · 15/04/16 00:28 · MS 2015

    지엽적이라고 하시는게 사실 그렇게까지 나오지는 않아요 작년 수능도 솔찍히 쉬웠구요.
    윗 분 물수지 평형 이야기하시는데 사실 자료분석 능력이고요
    많은 분들이 어떤 과탐이든지간에 지엽적이라고 이야기하시는데 실제로 지엽적인 것도 있지만
    다른 부분에서 문제가 있었던게 맞는 것 같아요.(자료 분석이라던가 강의에만 의존했다던가)
    지1은 적당히 꼼꼼히 하시는게 최곱니다. 따지고 보면 작년 문제에 경계 묻는 문제에서 무슨 마그마가 나오냐 했는데 이게 EBS 개념설명에는 없거든요. 문제에는 있지만
    어떤 교재는 나와있고 어떤 건 안나와있고 교과서에는 나와있고,,,,, 망원경 이런 것도 논란이 많아요.
    여러 교재를 보시되 공통적인 내용을 보시고, EBS 문제와 기출만 잘만 분석해도 성공합니다.
    저는 EBS문제와 기출 미치도록 반복하고 후에는 불안해서 (윗분들이 말하시는 지엽 등등) 사설을 풀었죠. (헛수고였지만.....)거짓말 아니고 연계됩니다. 정말 많이되요. 대다수분들은 체감 못느끼시는데 분석 다하면서 원리 용어 다 분석하다보면 보입니다.

    각설하자면 1,2등급 가르는건 어떤 과목이나 마찬가지지만 운도 있지만, 완벽성입니다....... 작년에는 천체가 워낙 쉬워서 1등급을 가르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매년 커트점수를 낮춰주는건 사실이죠. 오답률 높은건 의외로 앞쪽에서 많이 나왔는데 쉽다고 넘어가다가 뒤통수 맞은거죠 (ㅋㅋ)

  • Esperanto♪ · 557753 · 15/04/16 17:28 · MS 2015

    오호 생1 4단원 대충하듯이요?? ㅋㅋㅋ 개체군밀도 ㅋㅋㅋ 본문보다 더 긴 댓글이라니,,,, 감동 ㅠㅠ 감사해요! 공통적 내용, 기출중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