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쌍무라면서 채권자 채무자가 왜 있는거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818359
매매계약에서
서로가 서로에게 의무를 지는데
왜 누구는 채권자
누구는 채무자가 되는거지
기준이 뭐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뱃지나 받고싶다
-
대학가에 왜 꼬맹이들보이냐
-
의대간 다음에 주변에다가 서울대 줘도 안간다고 말해보고 싶다
-
내가 버스 다 놓쳤다 ㅋㅋ
-
정시파이터 질문 0
정시파이터라 조퇴 자주 하는데 조퇴 몇번 하면 결석으로 인정되나요?
-
몇번때 난이도까지 있나요
-
맨날 가던 그 경로가 카카오맵에 이제 안 뜨네
-
추천받아요
-
현역~재수까지 탐구를 생1지1으로 해왔습니다. 그런데 생1을 아무리 열심히 해도...
-
1명 잠수타네 1
내가 어떻게 일어났는데 ㅅㅂ
-
지금 고3 현역이고 3모 2등급인데 영어 1 꼭 맞추고 싶어용 .. 혹시 라이브로...
-
석가모니는 출가전 고대 인도국 카펠라의 왕자였고 부인도 있았으며 자식도 있었다...
-
얼버기 0
-
뭘 먹어야 할까...
-
나카마가 어떨때 쓰이지 진짜 애매하네
-
국어 인강 추천 0
20학번이고 대학 졸업후 공익근무하면서 메디컬 가고싶어서 내년까지로 계획잡고...
-
그래 다들 안녕? 잘 지내니? 안 보던 사이에 세대교체가 완성되었구나.
-
ㅇㄱ ㅈㅉㅇㅇ? 3
어떻게 직책 이름이 권한대행대행대행 ㅋㅋㅋㅋㅋㅋ
-
초딩 때 즐겨듣던 노래까지 추천해주네.. 추억돋는다
-
얼버기 안녕 5
나도 하이콘 달아줘..
-
1인 3메인 0
긋
-
살면서 한번은 생각해 볼 만한 유현준 교수의 4년 전 답변 2
4년 전에 LH 사태 터지고 나서 중앙일보와 했던 인터뷰 내용 중 일부인데,살면서...
-
미친개념 난이도 2
미친개념 문제 정도면 어려운 3점 ~ 쉬운 4점 정도인가요?
-
3명만 받는거임???
-
대조 대비 비교 2
문제 풀 때 셋 다 똑같은 걸로 봐도 되나요?
-
ㅋㅋㅋㅋㅋㅋㅋ 1
-
택배는 선착 아닌갑네
-
출근도장 13
쾅쾅쾅 밤샛다..버틸수있으려나
-
나도궁금
-
무휴반 질문 0
무휴학 반수 하시는 분들은 2학기는 보통 최소학점 가시는건가요? +근데 무휴반의...
-
걸을 수가 없는데
-
예약지문을 2
해설하려니 머리가 뒤죽박죽이 되버렸군.. 아아 난 이해하지 못했던것인가..
-
최상목 탄핵 발의+이주호 권한대행 예언
-
ebs 수특이랑 쎈 수학의 정석 병행해서 2,3점은 얼추 다 맞는 정도인데...
-
반팔 반바지입고 나왔는데...
-
작수 미적분 백분위89 2등급 턱걸이했습니다. 이번년도랑 내년까지 군수 할 생각으로...
-
팔다리에만 살이 가요..
-
잘자라 오르비 2
-
으 1
걍존나스트레스받네 ㅅㅂ
-
얼버기 14
-
르세라핌의 데뷔 3주년을 축하드립니다.
-
이거 인스타 자기소개칸에 적어두면 어떰?
-
트리플에스 채원님 생일기념
-
침 삼킬때 누가 목을 찌르는거같음
-
ㅇㅂㄱ 9
채무자임과 동시에 채권자인거 아니에요?
서로 채권이 있으니까
이감 5차 ~상황에서의 채권자 채무자 이렇게 안쓰고
쌩까고 걍 채무자 채권자 워딩 박아버리는데 ㅈㄴ 어지럽다
급부 따라 다르겠죠
채권자는 지급받아야하는 사람, 채무자는 지급 해야하는 사람으로 이해하고 그냥 풀면 안 되나요?
구매자 = 물건에 대한 채권자 = 돈에 대한 채무자
판매자 = 물건에 대한 채무자 = 돈에 대한 채권자 아님?
내가 이해를 잘못한 건가?
굳이 따지자면 그렇긴한데, 일반적으로 그렇게 나누진 않죠.
일반적인 채권-채무자 개념은
채권을 사들인 사람이 채권자이고
채권을 판매한 사람이 채무자로
국채로 따지자면,
국채를 판매한 국가가 채무자가 되고, 국채를 산 사람이 채무자가 되겠죠.
이 상황에서 국채를 판매한 국가는 이자를 지급할 의무를 지죠?
그냥 이 정도 개념만 가지고 글 읽으면서 비어있는 부분 혹은 특수적인 부분만 채워주면 풀리지 않을까용
일반적의 기준이 있는거에요 그러면?
돈에 대한건 나중에 따지는 건가?
context 가지고 매수자 = 채권자 찾아야하는데 어지러워 뒤지는 줄
상대방에게 빌려주고 돌려받을 권한이 채권이니깐, 일반적인 개념이라고 하면, 제가 들은 예시가 일반적인 개념이겠죠.
그냥 일반적이라고 보면 채권자 = 빌려주고나서 돌려받을 권한이 있는 사람으로 받아들여야죠
제가 해당 문제의 본문을 못 봐서 정확하게 얘기해드리기가 좀 어렵네용
그래도 일반적인 매매계약에서는 지불과정에서 재화와 통화간의 상호관계가 있으니 서로 채권-채무자라고 봐도 무방은 할거같네요.
갑이 매도인,을이 매수인일 때 물건 지급은 갑의 채무이자 을의 채권이고요. 대금 지급은 갑의 채권이자 을의 채무입니다. 즉, 물건 지급의 급부에 대해서는 갑이 채무자, 을이 채권자, 대금 지급의 급부에 대해서는 갑이 채권자, 을이 채무자인 거죠. 서로 다른 권리를 가졌기 때문에 각 권리에 대한 급부 이행의 주체와 객체가 반대라고 생각하면 괜찮았어요
법률 효과 , 예약 기출 지문이랑 겹치는 부분 많으니 참고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구매자 = 물건에 대한 채권자 = 돈에 대한 채무자
판매자 = 물건에 대한 채무자 = 돈에 대한 채권자 아님?
저도 이렇게 이해하고 풀었습니다
맞음 그거
반대급부 대칭적이라 그런거아닌가요 뭐를 기준으로보냐에 따라 한쪽은 채권자-채무자
점 생각하다 모르겠어서 그냥 아몰라 돈이 최고야 해서 돈 우선으로 생각햇는디..
저도 풀면서 그 생각 했는데, 걍 이감새1끼들이
그렇지 뭐 ㅋㅋ 하고 넘어감
원래는 본문에 설명이 더 있었어야 하는 게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