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사탐 진짜 제일 궁금한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733835
윤사랑 생윤이랑 차이가 뭐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하나씩만 적고가주세요^^
-
추천받아여 한게씩만 적고가주세요 ㅎㅎ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733835
윤사랑 생윤이랑 차이가 뭐임?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하나씩만 적고가주세요^^
추천받아여 한게씩만 적고가주세요 ㅎㅎ
생윤에서 더 깊게 들어가는게 윤사
ㅇㅎ 그럼 그냥 합치지 왜 따로 만드냐
애초에 윤사+생윤 같이있었을때도 90%는 윤사에서만 나옴
동아시아사-세계사, 한국사-한국근현대사랑은 전혀 다른문제
윤사:늙은이
생윤:젊은이
동아시아사 세계사 차이랑 비슷?한듯
오
그럼 생각보다 차이가 큰거 아닌가?
생윤은 어떤 영역에 대해 여러 사상가의 견해 비교
윤사는 어떤 사상가의 총체적인 견해 비교
...이지만 대동소이함
생윤이 더 쉽다 정도
음... 그런거구먼
근데 수능때 과탐은 1,2 같이 안되는데 사탐은 생윤,윤사됨? 약간 공부시간 절반으로 주는 느낌인데
네 문과친구들 그걸 쌍윤이라고 하더라고요
귀여움
지1 지2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지1 -> 어떤 현상이 일어나요 호호
지2 -> 저 현상은 전향력때매 생기고요, 수압경도력때매 그렇고요, 단열압축 단열팽창때매 그렇고요 등등
아 이해 완벽하게 댓늠
근데 복수 선택되는게 개꿀이네요
공부할게 없어서 안하다가 수능당일날 교과외빔 쳐맞고 대가리 짱구 요리조리 굴리다가
하나 틀리면 표점 하락빔 여지없이 쳐맞는 개 ㅄ과목입니다
오오 그럼 과탐을 하시죠!
정보 ) 지2 물1 화1을 하고 있다
ㄹㅇ ㅋㅋ 이게 맞지 근데 외대생이셨는데 이과로 재수하시려는건가요? 굳이 이과로 새로하시는 이유가 뭐죠? 투과목하시는거 보면 설대 노리시는거 같은데
지2는 사실 작년에 했었고요
문과는 개 ㅄ잡학과라서 이과가고 싶어져서 이과로 왔습니다
수의대가 가고 싶어서요
역시 다 의치한약수로 몰리는 군요 올해 노리시는건가요? 저도 올해 수의대 가고싶은데
생2를 하셨으면 됐을 일.
생2를 할바엔 상남자 과목 물2를 하는것이 도리와 이치에 맞다고 생각합니다
전 올해 말에 입대해서 준비하는거라
미적과 과탐 베이스만 쌓고 있습니다
국어 영어는 딱히 필요없어성...
그 물리라고 존나 재밋는 과목 있는데 그거 합시다
물1 재밌죠
지2 짱돌 30개 넘게 외우는거도 재미진데 같이 트라이 해보실래용?
아 저는 물2러였습니다
그 표점 윤사같은 과목은 못합니다
너무하시네요
윤사는 깊게 배움 예를들어 유교를 배운다하면 맹자 공자 입장과 사상 각각 구분해야하고, 비문학 지문으로 종종 나오는 이와 기 성즉리 어쩌고저쩌고 그런거배움
생윤은 넓고 얕게배움 수특 지문으로도 실린 대중문화 윤리부터 시민불복종, 동물에 대한 윤리, 정의론 등등
체감되는 가장 큰 차이점은 생윤은 유교에서 딱히 공맹순 구분할 필요가 없음 그냥 유불도차이만 알면 되는 정도?
그래서 난이도와는 별개로 공부하면 배경지식으로 도움되긴함
생윤은 각 사상가들의 기초 이론을 1단원에서 배우고 시민불복종같이 실천윤리학적 측면에 맞춰 좀 더 다양한 사상가들의 짤막한 견해들을 좀 배운다면,
윤사는 그냥 처음부터 끝까지 다양한 이론들을 이론윤리학적 측면에 맞춰 원전 수준으로 배움.
물론 생윤도 원전을 다 파헤치는 수준으로 배워야 하긴 하는데, 윤사는 유교에서 파생된 성리학도 배우고 해서 범위도 좀 다름
아니 그럼 생윤윤사가 동시선택이 됨?
그럼 나도 화2 시바꺼 안하고 물1물2했지 아 ㅋㅋ
기본 심화 느낌인데도 나눠둔 이유는 경제 제외 사탐 다른 과목들 (역사, 일반사회, 정치)이 전부 2개씩 출제되기에 해당 부분 교수님들, 분야 종사자들 압력?으로 2개로 힘 맞춰둔거라 하더라고요. 정확하지는 않아요
사실 경제도 일반사회에요..!
그나저나 정말 맞는 말씀인것같은게, 철학이라든지 한 과목으로 분명히 합칠 수 있음에도 굳이 분리한 느낌..?
내신할때 둘다 해봤는데 윤사는 좀 원론적이고 생윤은 좀 실용과 이론이 결합되있달까.? 잘 몰루
일단 이게 정확함
생윤은 좀 더 현대사회의 문제에다가 직접적인 적용을 하는 단원 섹터가 많음
근데 그런 부분들을 대부분 간단한 독해형으로 주니까 신경써야 하는 포인트는 윤사와 비슷 근데 양은 윤사가 2~3배
윤사는 규범윤리학, 생윤은 실천윤리학 쪽에 가까운거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