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학교 공대생 [1093569]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2-10-10 17:25:06
조회수 3,994

지구과학 주계열 -> 초거성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732709


주계열 -> 초거성으로 가려면 별의 질량이 태양보다 8배 커야 한다는데


저기 중심핵 질량에 따른 별의 최후를 보면 8M을 못넘기는게 블랙홀도 되고 중성자 별도 되는게

헷갈리네요. 초거성을 거친다음에 일어나는게 블랙홀or중성자 별인데..


별의 질량 / 중심핵의 질량은 또 다른 개념이라 그런가요 ?


정리해서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노래추천 봇 · 995773 · 22/10/10 17:26 · MS 2020

    중심부 질량과 별의 초기 질량은 다른 개념입니다

  • 노래추천 봇 · 995773 · 22/10/10 17:27 · MS 2020

    별의 초기 질량이 8배~25배면 중성자
    중심부 질량이 1.4~3배면 중성자

  • 아주대학교 공대생 · 1093569 · 22/10/10 17:28 · MS 2021

    그렇군요 별의 중심부 질량은 어느시기를 기준으로 판단하는건가요 ??

  • 추나장인김덕배 · 839535 · 22/10/10 17:34 · MS 2018

    별의 중심부 질량으로 판단가능하고
    별의 질량으로도 판단가능합니다
    별의 중심부 질량과 관련해 설명드리면, 주계열성에서 백색왜성이 될 때, 별의 중심부가 백색왜성이 되고 그 외의 부분이 행성상 성운으로 빠져나갑니다. 이때 백색왜성의 최대질량이 1.4M이기때문에 중심부질량 1.4M을 기준으로 백색왜성과 중성자별이 나뉘는 겁니다. 기존의 백색왜성이 추가적인 질량상승으로 질량이 1.4M을 넘는 경우에 질량한도를 초과해 폭발하는 현상을 1A형 초신성이라고도 합니다.

  • 호미들 · 1145945 · 22/10/10 17:48 · MS 2022

    중심핵 질량이랑 별의 전체 질량은 다른 개념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