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햇님] 2016 수능영어 '삽입' 문제 투척!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71275
퍼펙트리딩 4강 Build-up (1).m4a
2016 VIRTUAL 삽입 #1.pdf
안녕하세요, 팀햇님 도빈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어제는 불침번 때매 11시 10분정도까지밖에 못 했지만 오늘은 풀타임 연등간다
-
지인선N제가 유료화 된다는게 진짜인가요?
-
잼민이음악 0
안녕하세요YT민준입니다오늘해볼것은
-
2월 21일임 ㅋ
-
이왜진
-
군수 0
군수 할까 말까 고민중인데 어쩔까? 난 이과지만 공대는 별로 가고 싶지는 않고...
-
목표 정답률에 부합했단 의미잖음
-
제발 부탁합니다
-
우리학교 3
생긴지 100년 넘었는데 100년 넘은 고등학교 많나요?
-
오늘밤 바라보온 8
저다리너무쳐량해~
-
사탐런 했는데 0
1지망이 약대인데 사탐런 한거 잘한거겠지..? 사탐 완전 노베고 과탐은 3등급 정도였어
-
근데 그냥 교수가 냈다 이건가
-
의대 세네명 3년전은 6명도 감. 24 불때는 1명 감 Sky는 합쳐서 세명도...
-
집에서 대학 다니고 싶어!!
-
12월1일에 시작하긴 함
-
재수생이면 시간 충분 미적 고고
-
좆반고 친구가 9
내신 1.4대라고 했더니 서성한 갈수있냐고 물어봣는데 충격받음 2점대도 지역인재 의대 서울대 가는데
-
나도 서울 살고 싶어 ㅠㅠㅠㅠ
-
23살 이상인 분들 17
고등학교 다시 가고 싶다는 생각 자주 드시나요 저는 진심으로 그때로 돌아가고 싶어요
-
평균값정리를 만족시키는 X값을 함수값으로 하는 함수 1
그런 함수 관련 추론문제 23학년도 수능 이전에 일본이나 중국 시험문제에서 나온적 한번도 없나?
-
https://www.bai.go.kr/bai/result/branch/detail?...
-
우우우우우흥 3
우흥
-
내신 1.65 8
ㅈ반고면 일반적인 인식으로 어디 간다고 보나요? 자연대, 생기부 평타라면...
-
통화중 음성 분리 모드 켜기1. 통화하는 동안 화면의 오른쪽 상단 모서리에서...
-
안녕하세요. 올해 수능 응시할 3수생입니다. 먼저 제 상황을 말씀드리자면, 현역:...
-
잘라야하는데 도무지 시간이 나지 않네요.... 인싸들마냥 사람들 만나러 다니느라...
-
그런거 어디서보는지좀 알려주세요
-
과대가 전화나 문자로 연락 오고 초대 되는거죠? 제가 직접 뭐 찾아봐야 하는 건 아니겠죠?
-
오르비는 안해봣을것같은 공부열심히한 귀엽지만 고상한 신입셍이 되기 위해 오늘도 커피...
-
쉔, 마오카이, 룰루
-
고수탑 위콤 리사이트 삽니다
-
이예린 보고싶다 1
하아......
-
1. 문학 교과서는 크게 4가지 단원으로 서술 되어 있음 - 문학의 특징 - 문학...
-
스블 복습 0
현재는 김범준쌤 스블 복습 철저히 하면서 따라오고 있습니다 그 후에 엔제 풀면서...
-
고능아풀이같아서 힘드네.. MaxMin은 잘썼는데 점화식 그래프로 해석하는게 아직힘든듯
-
서고연성서한?
-
어과초 3화를 보고 미약이 뭐지..? 싶었던 게 중2 9년 전
-
ㅈㄱㄴ
-
올해 문과입결
-
대가대 경제학과 합격수기가 있는데 머지
-
1학년 힙합동아리 2학년 볼링동아리 3학년 당구동아리
-
동아리 1
웹툰 언제 올라오냐!!!
-
'서클'을 아주 잘 대체함
-
이유는 설명해준다 올해250명 선발예정이다 700~800명 뽑던거를 250명...
-
월월월
-
본인은 ㅈ반고 재학중인 07 아이러니하게도 내신 따기가 쉽지 않다 일단 모고 봐도...
-
와...
-
수1은 들을건디 수2는 진짜 잘 모르겠네 이게 필요한가요 전 딱 시간갈면 21 22...
저번에 순서 문제도 나왔었구요.
이 문제들은 모두
완벽한 수능 난이도와 퀄리티입니다.
단언컨대,
사설 문제들 중
이 정도로
수능과 싱크로율을 가지는 문제는 찾기 힘드실 겁니다.
모두 실전이라고
마인드컨트롤 하시고,
1분 30초에서 2분 사이에
정확하게 답을 내보도록 합시다.
다소 쉽게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말했듯이
이것이 바로 실전 수능과 똑같은 난이도입니다.
이런 문제들이
시험장에서는 어렵게 느껴지고 있는 것이죠.
기회 될 때마다
도빈님이 올려주실테니
충분히 활용하시고,
실전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문제들에 대한 퀄리티가 느껴지신다면,
곧 개강할
빈간 정복에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선생님 올해는 하이퍼빈칸 언제나오나요??
4월말에서 5월 출간 목표로 작업하고 있습니다!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네! ㅋㅋ
124424421
죄수생님 첫 번째 댓글 감사합니다!
환영합니다!
강의 잘 듣고 계신가요?
수강생이셨군요, 정답입니다!^^
ㅇㄹㅇ
기왕이면 문제도 풀어보시죠!
풀어보셨나요?
정답 나왔습니다^^
답은 뭐...명확하게 보이네요 ㅋㅋ 12345254321인데,
그것보다 요 문제의 지문에서 접속사의 전개를 보는 것도 재밌는거같네요
(그래서 더 확실히 답이 나오는거일지도...)
^^
좋은 댓글 감사합니다.
네 맞습니다.
독해를 즐길 줄 아시네요.^^
333421532
근데 이거 기출지문인가요??..신택스하면서 봤던내용같은데
참여감사합니다!
정답이구요,
기출에 어휘문제로 나온 적이 있네요.^^
12345212345
정답입니다!
눈팅만하다가 처음으로글써보네요
환영합니다.
작은 댓글 하나가
더 좋은 게시물을 부르는 겁니다!
감사합니다~
log10 나누기 4 곱하기 8
헐 참신하게 정답입니다!
12345254321
쉽네요
엇! 프패수강생이시네요^^
참여 감사합니다!
아 수강생인게 뜨나용? 확신해보신건가요? 궁금 ㅎ
닉이 눈에 익으신 분들은
판매목록을 확인해보기도 합니다!
반갑습니당 ~ ^^
답 맞죠?
해설:
해석:
박스: 그러나, 그러한 행동적 상호작용들은, 사람들과 애완동물 사이의, 보통 불균형적으로 조직된다.
본문:
가장 흔하게 들어지는 이유들 중 하나는,애완 동물을 기르는, 동반자감정이다,애완 동물이 제공해줄 수 있는. (1) 그 일반적인 용어의 동반자감정은 보통 해석될 수 있다, 활동들에 참가하는 것으로, 예컨데, 개와 함께 걷기, 고양이와 놀기 등.(2)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 싶을 때에서야 그들의 애완 동물과 교감(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동물들이 관심을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꾸준한 반응 이라기 보다. (3) 더 나아가
~~~
정답 12345254321.
해설:
박스 문장은 However, 즉 역접의 접속사로 이뤄져있다. 따라서 삽입되는 부분의 앞과 뒷 문장이 서로 이어지지 않는 곳이어야한다.
첫 문장과 둘째 문장은 내용이 유기적으로 이어진다.
그렇지만, 두번째 문장과 세번째 문장, 즉 (2)의 앞 뒤 문장은 이어지지 않는다.
해석을 보자:
그 일반적인 용어의 동반자감정은 보통 해석될 수 있다, 활동들에 참가하는 것으로, 예컨데, 개와 함께 걷기, 고양이와 놀기 등.(2)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 싶을 때에서야 그들의 애완 동물과 교감(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두번째 문장에서는 사람과 애완동물 사이의 활동을 소개하는데, 세번째 문장에서는 난대 없이, 사람들이 하고 싶을 때만 그들의 애완동물과 교감을 하는 경향이 있다는 말이 나온다. 어색하다.
(2)번 자리에 박스 문장을 삽입하면
그 일반적인 용어의 동반자감정은 보통 해석될 수 있다, 활동들에 참가하는 것으로, 예컨데, 개와 함께 걷기, 고양이와 놀기 등.
(2) 그러나, 그러한 행동적 상호작용들은, 사람들과 애완동물 사이의, 보통 불균형적으로 조직된다.
사람들은 그들이 하고 싶을 때에서야 그들의 애완 동물과 교감(상호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삽입된 문장을 세번째 문장이 상술 해주고 있다. 즉 서로 문장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것이다.
한편, (3)은 오답인데,
(2)번 다음에 나오는 문장과 (3) 번 다음에 나오는 문장은 서로 순접(더 나아가,in addition)의 접속사로 연결되어있다. 즉 내용이 쭉 이어진다.
따라서 (3)에는 박스 문장이 들어갈 수 없다.
와우, 정성어린 댓글 감사합니다.
잘 풀이해주셨구요,
다만 내용상의 연결뿐만 아니라
명시적 단서를 통한 연결도
해설을 통해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13541214531
이런퀄리티의 문제 보면 기분좋당..ㅎㅎ 사고과정의 전개가 기분좋아용
과찬이십니당.. ㅎㅎ 참여감사해요^^
123421234 난이도가 정말 딱 괜찮은거 같아요 ㅎㅎㅎ 감사합니다
우와 제가 더 감사합니다!
12345312345 쉽네요
해설나왔습니다!
답은 쉽게 찾을수 있고 대충 뭔 내용인지는 알겠는데 몇 줄이 해석 안되서 불안하네요 ㅠ
해석이 그렇게 쉬운 지문은 아닙니다.
평소에 구문 훈련을 꾸준히 해주세요!
직역은 어느정도 되는데 핵심적 의미 파악이 잘 안된다면
햇님쌤의 퍼펙트리딩 강의도 들어보시면 좋겠네요.^^
12345312345 인것같기도하고 아닌것같기도하고ㅜㅜ
어느 부분에서 확신을 못느끼셨는지가 중요합니다.
일단 해석력이 뒷받침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해설에서 제시하는 풀이를 따라해보세요.^^
참여 감사합니다!
정확하게어디에 나왔던건가요?ㅋㅋ정말익숙해서 첨에보고 올해수특변형인가생각했는데ㅋㅋㅋ
답은12345212345
2012 EBS 지문을 변형한 것인데,
그해 9평에 어휘 문제로 나왔더군요..
참여 감사합니다!^^
제가이거풀기전날 2012년도9평을풀었었네요ㅋㅋㅋ신기하네여
콩콩
{2^(3lne-2)}!
으.... 문과라 죄송합니다
123421234 저 영어 진짜 못하는데 이게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풀었어요 익숙하네요 뭔가... 하이퍼빈칸추론은 난이도가 어느정도에요??
익숙한 이유는 기출에 나왔기 때문입니다.ㅜㅜ
저도 나중에야 알았네요.
아무튼 해설보시면서 확신을 가져보시구요,
하이퍼 빈칸추론은
보통의 1~2등급 학생이 풀기에도 까다로운 난이도 입니다.^^
32323232323 문제 굿굿!
아이고 감사합니다!
134521345
물량공급님 짭인가요?ㅋㅋ 정답입니다!
123423456 ㅋㅋ 이거 맞나요?
네 맞습니다!
참여 감사합니다~
168422361
레스님 정답이에요, 참여 감사합니다!
111121111
헐..ㅋ 정답입니다!
이거 답은 개나소나 맞출 것 같고...이 내용 기출에 있는 것 아닌가요? 인간은 애완동물을 만나고 싶을 때만 만난다는 내용의 지문이 있었던 것 같은데
네 저도 몰랐는데, EBS 연계된 기출 지문이었습니다. ^^;
난썩었어
103923048
오,,,,재미있게 풀었습니다 요즘 수능에 딱 적당한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수특지문중에 길거리에서 애완동물이랑 대화를 나누는것은 정서증진에 도움이된다라는 내용과 연계될수도있을것같네요 ㅎㅎ
칭찬 감사합니다.
비슷한 내용의 지문이 떠오르시는 걸 보니
공부를 잘 하셨네요.
아주 바람직합니다!
123424321 처음으로 풀렸네요 ㅎㅎ
닉네임이..ㅎㅎ 정답이에요, 첫 참여 감사합니다!
와, 정말 많은 분들이 참여해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정답은 12345212345 구요,
대부분이 쉽게 느끼셨네요.
사실 그렇게 쉬운 문제는 아니었습니다.
2012년 EBS 지문을 활용한 문제인데,
익숙하다고 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찾아보니
이 지문이 2013년 9월 평가원 어휘 문제로 나왔었네요.
평가원은, 글의 흐름을 파악하고
접속어와 지시어를 이용해 디테일하게 글의 순서를 맞추길 바랍니다.
그렇기에 기본적인 해석 능력은 필수적이며
단서들을 적극적으로 찾아내서 어떻게든
문장들을 연결시키려는 목적 있는 노력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자, 그럼 해설 시작할게요.^^
1. 제시문 분석
However, such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pet animals are usually asymmetrically organized.
그러나, 인간과 애완 동물간의 그러한 행동적 상호 작용들은 대게 불균형적으로 조직된다.
* 삽입 문제의 발문은 문제 해결의 절반 이상이 달려있다고 봐도 될 정도로 중요합니다. 먼저 ‘However’를 보자마자, 이 문제가 ‘전환’ 유형의 문제라는 것을 파악하고, 내용이 바뀌는 지점에 문장을 삽입해야겠다는 생각을 의식적으로 해야 합니다. 내용을 보면, 인간과 동물이 같이 어떤 행동을 하는데, 그것이 대게 쌍방향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말을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시문 앞에는 인간과 동물의 행동이 쌍방향이라고 서술하고 있고, 제시문 뒤에는 일방적이라고 서술하고 있어야 합니다. 물론 독해력이 좋은 학생들은 이것을 파악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행동적 상호작용이 불균형적으로 조직된다’는 말이 잘 와 닿지 않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명시적 연결고리를 더욱 더 적극적으로 활용해야겠지요. 'such behavioral interactions', ‘그러한 행동적 상호작용들’이라고 했습니다. 한국어와는 달리 영어에서 단수/복수의 표기는 중요하며, 우리는 이것을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내용이 바뀌는 지점을 찾아 제시문을 삽입하고, 앞 문장에 행동적 상호작용‘들’이라 부를만한 게 있는지 검토하는 일입니다.
2. 지문 분석
One of the most commonly cited reasons for keeping a pet animal is for the companionship it can provide. ( ① ) The general term companionship usually translates into partaking in shared activities, such as walking the dog, playing with the cat.
애완동물을 키우는 가장 흔하게 언급되는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줄 수 있는 교우 관계를 위해서라는 것이다. 교우 관계라는 그 일반 용어는 보통 개를 산책시키거나 고양이와 놀아 주는 것 같이 공유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 제시문의 내용을 잊지 않고, ‘인간과 동물의 행동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내려고 해야 합니다. 인간이 동물을 키우는 이유는 ‘교우 관계’를 위해서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교우 관계라는 것은 ‘공유하는’ 활동, 즉 쌍방향적 활동을 하는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인간과 동물의 상호 작용이 쌍방향적이라고 보는 흐름이군요.
( ② ) Humans tend to interact with their pets when they feel like it, rather than consistently responding to the animal’s demands for attention. ( ③ ) In addition, it is often observed that onc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pets has arisen, the termination of such interactional sequences invariably originates from the human. ( ④ ) This suggests that activities like walking the dog and playing with the cat only arise when time can be spared from the human owner’s other commitments. ( ⑤ ) Therefore, if one views activity as a global concept — involving instigation, performance and termination — labeling certain forms of human-pet interaction as shared activities may be misleading.
인간은 관심을 받고자 하는 애완 동물의 요구에 지속적으로 응하기보다는 그들이 그렇게 하고 싶을 때만 애완동물과 상호작용을 하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인간과 애완동물의 상호작용이 발생하고 나면 그러한 상호작용 절차의 종료는 항상 사람으로부터 비롯되는 것이 자주 목격된다. 이것은 개를 산책시키거나 고양이와 놀아 주는 활동이 인간 주인의 다른 책임들로부터 시간이 날 수 있을 때만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활동이란 것을 선동, 수행, 그리고 종료를 포함한 총체적인 개념으로 본다면 인간과 애완동물의 상호작용의 특정 형태를 공유하는 활동이라고 이름 짓는 것은 잘못된 것일 수 있다.
* 인간이 애완 동물과의 행동적 상호작용, 예컨대 산책 같은 것들을 시작하고 끝내는 것은 오직 인간이 결정한다는 내용입니다. 답이 나왔네요. 인간과 동물의 행동 관계를 인간에 의한 일방적 관계로 설명하기 시작하는 기점에 제시문이 삽입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시문을 삽입하여 검토를 해봐야겠죠.
3. 검토
The general term companionship usually translates into partaking in shared activities, such as walking the dog, playing with the cat. However, such behavioral interactions between humans and pet animals are usually asymmetrically organized.
교우 관계라는 그 일반 용어는 보통 개를 산책시키거나 고양이와 놀아 주는 것 같이 공유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인간과 애완 동물간의 그러한 행동적 상호 작용들은 대게 불균형적으로 조직된다.
* 개와 산책하는 것, 고양이와 놀아주는 것과 같은 공유되는 활동들을 ‘그러한 행동적 상호작용들’로 받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이해되셨나요?^^
여러분들도 저처럼 목적 있게 문제를 풀었는지 검토해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