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대학생활하면서 창업이나 그런거 공부한거 느낀점 ( 매우 주관적이고 초보라 불편해도 그려러니 넘어가주세요 (장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628964
나 같은 사람 목적은 돈을 많이 버는게 목적이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도 그 목적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살아갑니다.
보통 돈을 많이 버려면, 우리가 흔히 아는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 수의사나 아니면 컴공쪽 은 잘 모르긴 하는데
컴공쪽을 가서 좋은 인력으로 인정받아 높은 월급 받는 그런 사람이 되는게 정석적이긴 해요. 가장 안정적이고,
컴공쪽은 배제할게요, 제가 잘 몰라서
근데 메디컬 쪽으로 가도 한계가 있어요. 진짜 잘하지 않는 이상, 부모님이 병원을 가지지 않는 이상은
진짜 잘해야 연봉 10억 ~ 15억 정도가 베스트이지 않나, 물론 이런 사람들은 수가 적다고 보면 되죠.
대부분 메디컬 가신 분들도 비판적으로 보면 잘해야 연봉 3억~ 5억 정도에서 멈춘다고 생각합니다.( 직업 수익으로만)
저거에 만족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기업가의 정신을 가진 소수의 분들도 계실거에요 무조건, 나도 창업해서 위대한 기업가가 되고싶다. 이러시는 분들 무조건 있어요. 메디컬을 가든, 컴공을 가든,
창업을 제가 아주 조금 공부해봤는데, 전공 외의 분야에 창업을 하면 답도 없어요 그냥. 물론 성공한 분도 있겠지만, 진짜 ㄹㅇ 답없음.
그러면 전공쪽으로 사업을 하는게 무조건 유리한데,
메디컬 다니시는분들은 대학다니시는 동안은 사업을 절대 못하죠 ( 집 중산층이라 가정할게요 )
왜냐면 작은 사업하는데도 1억은 잡고가야되서, 시드머니가 없잖아요. 그리고 예과 2학년만 가도 시간이 많이 없어요.
대학다니면서 사업하면 위험도 크고, 돈도 너무 리스크가 커서 , 답이 없어요.
그래서 제가 생각하기에 제일 좋은 방안은.
자기 전공쪽 사업이 되게 유리하죠. 그래도 대학에서 몇년을 굴러 배우니까.
대학 다닐때 물론 노는것도 중요하지만 , 사업관련 책이나, 자기계발서 같은 책을 매일 읽고
다른나라 언어나 그 외에 거를 많이 공부해놓으면 ( 예를 들면 자기가 관심있는 분야에 아르바이트를 많이해서 그 사업에 대한 기초지식을 쌓는다던가, 아니면 프로그래밍 ( 컴퓨터 ) 쪽도 괜찮고, ) 좋아요. 그렇게 기초지식을 점점 쌓아놓고, 전공공부와 연관시켜서
계속 자신이 성장해나가서 공부하면 시드머니도 메디컬은 무조건 모을 수 있고 그러면 언젠가는 큰 기회가 와요.
그래도 메디컬이 시드머니 모으기는 좋으니까. 언제가는 사업을 상장시켜서 성공할 기회가 옴요. 이게 진짜 정석이긴해요.
코인이나 주식으로 대박? 이건 복권 사세요 그냥.
주저리주저리 떠들어봤는데.
제가 된장찌개 사업을 생각해봤는데
한그릇 팔아야 잘해야 2~3천원 벌더라고요. 부가가치세 포함 가격 8천원이라고 치면
그러면 하루에 100그릇 한달 팔아도 천만원 벌어요 겨우 , 거기에 세금때고 인건비, 전기 다 때면 겨우 잘해야 300~ 400 법니다.
어쨋든 제가 대학생활에 적응 잘 못해서 창업관련해서 아주 조금 공부하고 사업 유튜버들 찾아보면서 내린 결론이 이거에요.
오르비에도 괜찮으신분들 많으실텐데 제 글 보시고 소감 한마디나 자신의 생각 적어주시면 감사히 보고 생각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사실 나도 농담삼아 자주하지만 타인을 개무시하는 행위가 될 수 있음
-
다들 놀러나갔나 유독 심하네
-
LogaX와 a^x는 y=x 대칭 전체 그래프를 대칭이동 시켰을때 두 그래프는...
-
수2과외하고싶다 3
나름 현역정시수시의대들 수학 내신/학원 모고로 다 꺾어봤는데 수2기말처박아서 합산 2뜬게 한이다
-
풀콤22 8
갑자기 됨뇨
-
아니 근데 너무 설명할게 많았음.. 계급이랑 성명이 짬뽕돼서 ㅇ태ㅇ 상병인데 ㅇ상ㅇ 상병이라 함
-
아직 올수도 안 봣는데 내년 선택과목을 정해버리는
-
공대기준 한양대랑 경-시는 정말 차이가 많이 날까? 0
정답은 나도 몰라 근데 학교 선배들, 부모님, 고등학교 선생님들한테 물어보면 차이가...
-
김준 케미스토리 크포 44모 시그모 강준호 화잘 벅벅 브릿지 서바 리바 엣지...
-
왜 난 이런교과서 안줌 개 무쌩긴 책만 써봄 난
-
1이랑 비슷해질때까진 계속 할만하게 나올까요
-
쉬운 과목 13
-
가끔 사설 뺨침 책 광고 ㅈㄴ하고 돈 되는것만 출판하고 #~# #~# #~#
-
가볍게 3
풀콤 ㅎ
-
이거 그래프 y=x 대칭하게 재설정해서 a값 구한다음 다시 y=x-3에 대입해...
-
“부산 도심에 웬 군인? 놀라지 마세요”…육군, 내일부터 전술훈련 3
육군이 오는 24일부터 28일까지 부산 도심에서 전술훈련을 진행한다. 23일 군에...
-
신념임. 문학도 비문학처럼 풀면됨.
-
진짜 낭만 5
All 고점 픽
-
기하 낭만 없음 4
낭만 = 고점임
-
우울해서 아무것도 하기가 싫다 가만히 있는 것도 싫음
-
공통을 나름 한다고 생각하여 학교 입시부장쌤, 학원쌤 등 여러 곳에서 조언을 구하고...
-
기하 쉬움 0
이건 수능 직접 응시한 사람들도 쉽다고 바이럴치는데 아무도 안 하네...
-
그럼 평균인데
-
14 화1 1컷 43 2컷 40 만표 71 만점자 (0.06%) 15 생2 (서울대...
-
가면 이상한 건가용? 35살이고 이번에 붙었습니다.
-
다음닉 10
후보 1 붕신맨 2 능지처참 3 젖지불가 4 눈@깔돌아간사람
-
본인의 또 다른 자아와
-
모아보기해놓고 폰으로 막 밑으로 내리다보면 똑같은 글들이 나옴,,, 이럴꺼면...
-
세헥스 2
?
-
친구 부모가 사과나무 원장에 아는 사람이 학원장 연합회 대표였어서
-
저는 싫어해요 왜 밥에 콩을
-
메인 뭐지?
-
서성한급도 있다고 들었는데 연고 높문 정도는 나와야 안정권인가요? 1차는 추합권이라고 했을 때
-
자꾸 강기원에 공통 추가커리타고싶음
-
뭐 근처 학원쌤들한테 물보니 시대랑 사이 안좋다는데 뭔 일 있었나
-
이거 언제꺼더라 7
-
굇수 ㄷㄷ.
-
덕코는 뿌리고 감
-
특성화고 출신이라 딜 안박히는 전직 직탐러면 개추 ㅋㅋ
-
오르비 낮잠 5
그래그래
-
리젠이 느리네
-
전 계속 잇긴 한데
-
느어어어어엉 4
잘잤당
-
브레턴우즈풀고 우울해서 14
젤라또시켰엉..
-
아..
-
아니 지금부터 하루가 갈 때마다 1%씩 줄어든다고? 0
아니 벌써???????
-
그 루트 gx어쩌고 이것밖에 없나요?
-
15 삼각함수 2
22 수열
-
그치만 수능 한달전에는 중력이 이상해짐
대학때 놀기만 하면 안 되는 건 맞는듯,, 뒤쳐지는 느낌

평이 짧다..글 제대로 안읽긴 했는데 예전에 관련하여 이것저것 알아보면서 느낀 점들 대충 휘갈기고 갑니다.
1. 사업은 남의 돈으로 하는 것이다
- 돈 빌리고 안갚으란 소리가 아니라(...) 공모전 심사위원이나 투자자도 설득 못하면서 대중을 설득할 수 있다는게 말이 안 된다는 뜻이다. 옛날이랑 시절이 달라서, 하늘 아래 남은 새로운 건 개인의 영역이 아니다. 개인 차원에서는, 남의 돈으로 할 수 없는 사업은 안 되는 사업이다.
2. 컴공은 가장 쓸모있으면서 가장 쓸데없는 전공이다.
- 플랫폼을 팔지 않으면 사업이 아니라고들 하던 시기가 있었다.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는 분명 높아야 하고, 현물을 구현해낼 수 있는 지식까지 있으면 분명 아주 좋은 건 사실이다. 그러나 그릇을 빚는 능력은 본질이 아니다. 사람은 음식을 먹으러 식당에 가는 것이지 그릇 사진을 찍으러 가는 것이 아니다. 사업길을 보는 컴공이라면 졸업장에 쓰이는 Bachelor of CS 말고 자기 내심에서의 "전공"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게 있으면, 시너지는 엄청난건 사실이다.
3. 억까는 존재한다.
- 실제로 공연/연극/뮤지컬 관련한 분야에서 준비하다 코로나 락다운에 정통으로 쳐맞고 망해본 경험이 알려준 것. 2020년초의 겨울은 너무 추웠다. 당신은 추위를 견딜 수 있겠는가, 혹은 얼어 죽더라도 손을 뻗어야만 하는 정상이 있는가.
4. 그래서 나는 수능판으로 돌아왔다. + 운명론?
- 삶에 돌이킬 수 없는 데미지를 입었기 때문은 아니다. 돌이킬 수 없지 복구할 수 없는 건 아니다. 억까라고 보이기도 하는 내 패배는, 사실 오래전 배반한 꿈에 다시 추파를 던졌다 맞은 뺨이 아닐까. 혹은 10년 넘게 집을 나가 있던 가장이 누른 초인종에 돌아온 싸늘한 시선 같은 것이 아니었을까. 결국 나를 멈춰 세우고 되돌아가게 만든 건 나의 비전에 대한 의심도 저항할 수 없는 외적 악재도 아니고 지난날에 대한 운명적 징벌에 대한 겸허한 수용이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나는 수능판으로 돌아왔다.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멋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