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y로 묶이는 말이안되긴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448296
입결상으로 이과는 투과목때문에 좀 겹치긴하지만
문과기준 서울대다돌고 연고대인데
연고대랑 서성한은 겹침
입결차이로보면 서울대랑 연고대간극이
연고대랑 서성한간극보다 큰데
신기하게 서울대랑 묶이는게 신기함
입결기준으로보면 sky보다는
kyssh로 묶는게 더맞는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448296
입결상으로 이과는 투과목때문에 좀 겹치긴하지만
문과기준 서울대다돌고 연고대인데
연고대랑 서성한은 겹침
입결차이로보면 서울대랑 연고대간극이
연고대랑 서성한간극보다 큰데
신기하게 서울대랑 묶이는게 신기함
입결기준으로보면 sky보다는
kyssh로 묶는게 더맞는듯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ㄹㅇㅋㅋ
그리고 입결로 대학묶는것도 말안됨 입결상으로 이과는 설대랑 겹치니 어쩌니 해도 어차피 아웃풋기준 이공계 학벌이란 설/카포/잡대임
ㄹㅇ.
이과는 설 카포
문과는 서 연고
이거인 듯
일견 타당한 듯.. 연고 중하위과들이 서강 상경 다 밑이더마
네 아니구요 ㅋㅋ
응 맞구요ㅋㅋ
입결이 따이지 ㅋㅋㅋ 가끔은 빵폭이 있으니 선호도가 따이나?서강 상경은 그리고 ㅋㅋ 서강 예비가 연고 빵폭따라 갈리는데 ㅋㅋ
아무래도 세 학교가 묶이는 것은 입결이니 아웃풋이니 하는 객관적 지표 보다는 SKY 라는 스펠링에 딱 들어 맞는 것이 가장 큰 이유가 아닐까 싶네요. 하지만, 요즘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 듯...특히 인문은 연고대 상경 = 서성한 높공, 연고대 비상경 = 서성한공, 서성한 상경
서강 상경이랑 한 상경은 제법 차이 나던데요
힝
khssh 절대 성공 못함. 왜? 입에 안 달라붙거든
연고서성한!연고서성한!
차라리 키세스라고 하셈 khssh니까 ㅋㅋ
Sky 서연고 둘다 어감이 착붙어서
연고대가 아예 몰락하지 않는이상 절대 없어지지 않을 단어인듯
'입결만 보면' 지금은 의대 비의대 구도니까 묶이기 더 좋음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