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황님들 질문 좀요 1000덕 드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410431
아까 오르비에서 본건데
할아버지가 말씀도 없이 집을 나가셨다.
이거 부사절이 안긴문장이 왜 아닌지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면 1000덕 드립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일단 옵만추 하면 29
밥 사주기 가능 단 비싼건 안됨
-
진짜 이젠 별 생각이 안드네 다시 준비하고 싶지도 않고
-
ㅇㅈ 2
-
ㅠㅠ
-
무엇이 더 어려워요? 절대평가된 요즘영어 vs 상대평가였던 과거영어
-
저음 노래도 잘 못 부르겠어
-
한국인이 있는 곳이 국장이다…
-
옵만추 해보고 싶다 20
재밌을듯
-
(원래는 어제 썼어야 했는데, 잊고 있다가 오늘 물개님 글 보고 갑자기 생각나서...
-
한문제도 안풀었네
-
이 시간까지 안 쳐자고 ㅇㅈ만 기다리냐 에휴다노
-
으흐흐 재밌겠다
-
요즘은 4
롤한판보다 물리푸는게 더 재미있음 어제 칼바람이후로 재미가읍다..
-
장염걸려서 4키로 빠짐 걍 팔자가 멸치팔자같기도
-
지금은 ㄹㅇ 잡기힘든거가틈.
-
세지 ㅈㄴ쉬운데 3
공부 안하고 풀어도 40점 나오는 정도면 사탐런으로 세지해도 되려ㄴㅏ요 생윤사문중에...
-
쟤가날갠소
-
자랑이라고 하고 올려라
-
서울에 과중학교 다니고 있습니다. 아주대,숭실대공대 이상 희망하는데 (목표는 건대)...
-
ㅇㅈ 11
이번엔 눈만
-
햄부기온앤온 0
햄북스딱스햄부기
-
국어 기출 공부 0
고2학생이고 작년수능 풀어서 3등급 나왔는데 국어 기출 공부는 어떤식으로...
-
재수생 수학 4등급입니다 일단은 한완수를 풀고있는데 사인법칙을 이용한 도형문제가...
-
진짜 인생이 내리막길에 있는거 같아서 평생 미끄러지기만 하며 살꺼 같음 진짜...
-
밤이 되었습니다 24
애니프사는 고개를 들어주세요!
-
작수 222(89)31 언미물1지1 입니다 반수로 물리 처음해서 3이라 1까지...
-
너무 많으면 적당히 끊을게요
-
잇올 pdf 2
1.집에서 프린트 해온거 써도 안되나요? 2.그리고 질답조교한테 피뎁으로 질문하면...
-
또 처먹고 싶네 2
배고파도 참아야지
-
남자들 뭔가 지켜보면 10
스스로 퐁퐁의 길로 들어가고있는 것 같음 놀거 포기하고 젊을때 연애 안하고 공부나...
-
언제주워야하지
-
오늘 오르비 재밋엇군
-
인증메타있었나 0
우흥
-
영어를 진짜 너무 감으로 하는데 극복할 수 있는 인강 추천해주세요ㅠ국어처럼 딱...
-
2주만에 2000만원 날렸네
-
고치겟습니다 ㅈㅅ요
-
수학 기출 0
수학 기출 돌리려는데 수분감 1번 돌리고 오답 후 회독이 나을까요? 아니면...
-
ㅅㅂ ㅋㅋ 8
방금 밥먹으러 맥날가니까 양옆이 커플임
-
매수타이밍인가 3
최근에 이렇다할 수익이 없음 ㅠㅠ 크게 먹고싶은데
-
이번주말에 대구 가는데 10
뭐를 먹으면 조을까요? 대구 처음 가봅니다
-
넘빨라요...
-
이야 컬렉션이 따로없네 2025도 고고
-
외대 올려치기도 심하고 반수러한테 뭐라 하는 것도 좀 있고 전적대랑 분위기 ㅈㄴ다르네
부사절이 안긴 문장 맞지 않음..?
(문법 10허수)
뭐 논란이 있다고하는 짤을 보긴 했는데 아니라고 하시길래 개당황했는데.. 헷갈리네요 뭘까요
부사절 안긴문장 맞을걸요? 부파접 이
그쵸..?
누가 부사절 안긴문장 아니라고 했어요 ??
게시물 올라왔었어요 이거 부사절 안긴거 아닌거 아냐고
‘똑같이’, ‘없이’ 등은 각각 자신의 부사어와 주어를 수반하고 있으므로 서술 기능을 하고 있으니 부사절이라고 할 수 있음. 물론 품사는 형용사가 아니라 부사임. 왜냐면 ‘똑같이, 없이’의 ‘-이’는 ‘같다, 없다, 다르다’ 등의 뒤에만 쓰이는 분포의 제약 때문에 어미라고 하기는 어려움. 파생어라는 점에서 예외이긴 하나 부사절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임. 부사 파생접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단어인데 부사인 놈이 서술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밖에 없으므로 예외로 봐야 함.
다만 그냥 원칙적으로 부사라는 점에서 부사구로 보기도 하는데 애초에 이딴 걸로 출제를 한다? 그건 미친놈임. 학자 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고 부사의 서술성은 쉽사리 접근하기 어려움.
"‘그 아이는 [형과는 달리] 사교성이 있다.’, ‘철수가 [말도 없이] 가 버렸다.’에서 ‘달리’와 ‘없이’는 어간에 부사 형성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므로 부사로 볼 수 있지만, 이때 ‘-이’에 어미적인 성격이 남아 있다. 곧 ‘형과는 달리’와 ‘말도 없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부사절이다."
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일단 부사절로 보는 게 일반적이긴 하거든. 우말론이나 학교문법론에서도 부사절로 보니까.... 일단 부사절로 알아두는 게 일반적이라 할 수 있겠고 다른 견해 역시 타당한바 출제로 적절치 않은 부분임.
일단 일반적으로 어미는 분포의 제약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 국국원은 '-이'를 어미가 아니라 접사로만 처리하고 있음. 내가 봐도 접사로 보는 게 타당해 보이고. 문제는 '없이'의 서술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인데 이건 '없이'의 '-이'가 접사와 어미의 중간 성질을 지니는 예외적인 놈이어서 그럼. '없이' 같은 놈은 주어를 요구해서 서술어와 비슷하게 기능한다는 점에서 '부사절'로 보는 거임.
공시에서는 부사절로 보는데 이는 위의 서술 기능이라는 예외적인 활용 때문임. 수능판은 ㅁㄹ?
안긴문장이 아니다라는 의견은
1) 어미이기 때문에 걍 이어진문장이다
2) '없이'의 '-이'는 파생접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고 이에 따르면 품사가 용언이 아니라 부사가 되기 때문에 절로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
위의 두 가지인데 웬만해선 안은문장으로 보는 걸로 알고 있었음. 물론 언매는 안 들어가서 언매에서의 범위는 ㅁㄹ
참고로 학교문법론은 '론(論)'이 있고 이건 저자의 의견이 다수 들어가 있는 책이기 때문에 학교문법의 의견과 완전히 일치한다 할 수 없음. 하지만 실제 교육부든 학자든 학교문법을 제정할 때 학교문법론을 참고한다는 점에서 꽤나 신빙성은 높음. 우말론 역시 상당히 정확도가 높고.
다만 부사이기에 부사구다 또는 어미이기에 이어진문장이다라고 하는 교슈들도 있는데 전자는 가능성 있어도 후자는 좀 어려움. 어미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거든. 즉 부사구로 볼 시 안은문장이 될 수 없는 거임.
아무튼 결론은 이걸로 출제하면 욕을 한바탕 먹을 거다.
안나오는걸로 알겠습니다 덕코나 받으시지요..! 답변 감사합니다.!
아무래도 나온다면 부사절로 보시길 바랍니다. 정리해서 글을 써 보니 부사절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https://orbi.kr/00058939308#c_58939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