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루고자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노력을 [1038213] · MS 2021 · 쪽지

2022-09-16 16:54:19
조회수 4,039

언매 황님들 질문 좀요 1000덕 드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410431

아까 오르비에서 본건데


할아버지가 말씀도 없이 집을 나가셨다.

이거 부사절이 안긴문장이 왜 아닌지 명쾌하게 설명해주시면 1000덕 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부산의예 · 906502 · 22/09/16 16:58 · MS 2019 (수정됨)

    부사절이 안긴 문장 맞지 않음..?
    (문법 10허수)

  • 이루고자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노력을 · 1038213 · 22/09/16 17:24 · MS 2021

    뭐 논란이 있다고하는 짤을 보긴 했는데 아니라고 하시길래 개당황했는데.. 헷갈리네요 뭘까요

  • 의머박살 · 874762 · 22/09/16 17:00 · MS 2019

    부사절 안긴문장 맞을걸요? 부파접 이

  • 낭만정시파이터 · 1153651 · 22/09/16 17:43 · MS 2022

    누가 부사절 안긴문장 아니라고 했어요 ??

  • 이루고자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노력을 · 1038213 · 22/09/16 19:20 · MS 2021

    게시물 올라왔었어요 이거 부사절 안긴거 아닌거 아냐고

  • 국어학가망있나 · 1159823 · 22/09/16 17:59 · MS 2022 (수정됨)

    ‘똑같이’, ‘없이’ 등은 각각 자신의 부사어와 주어를 수반하고 있으므로 서술 기능을 하고 있으니 부사절이라고 할 수 있음. 물론 품사는 형용사가 아니라 부사임. 왜냐면 ‘똑같이, 없이’의 ‘-이’는 ‘같다, 없다, 다르다’ 등의 뒤에만 쓰이는 분포의 제약 때문에 어미라고 하기는 어려움. 파생어라는 점에서 예외이긴 하나 부사절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임. 부사 파생접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단어인데 부사인 놈이 서술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밖에 없으므로 예외로 봐야 함.

    다만 그냥 원칙적으로 부사라는 점에서 부사구로 보기도 하는데 애초에 이딴 걸로 출제를 한다? 그건 미친놈임. 학자 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고 부사의 서술성은 쉽사리 접근하기 어려움.

  • 국어학가망있나 · 1159823 · 22/09/16 18:02 · MS 2022

    "‘그 아이는 [형과는 달리] 사교성이 있다.’, ‘철수가 [말도 없이] 가 버렸다.’에서 ‘달리’와 ‘없이’는 어간에 부사 형성 파생접미사 ‘-이’가 결합한 것이므로 부사로 볼 수 있지만, 이때 ‘-이’에 어미적인 성격이 남아 있다. 곧 ‘형과는 달리’와 ‘말도 없이’는 부사 파생 접미사가 결합한 부사절이다."
    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일단 부사절로 보는 게 일반적이긴 하거든. 우말론이나 학교문법론에서도 부사절로 보니까.... 일단 부사절로 알아두는 게 일반적이라 할 수 있겠고 다른 견해 역시 타당한바 출제로 적절치 않은 부분임.

  • 국어학가망있나 · 1159823 · 22/09/16 18:10 · MS 2022 (수정됨)

    일단 일반적으로 어미는 분포의 제약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현재 국국원은 '-이'를 어미가 아니라 접사로만 처리하고 있음. 내가 봐도 접사로 보는 게 타당해 보이고. 문제는 '없이'의 서술성을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인데 이건 '없이'의 '-이'가 접사와 어미의 중간 성질을 지니는 예외적인 놈이어서 그럼. '없이' 같은 놈은 주어를 요구해서 서술어와 비슷하게 기능한다는 점에서 '부사절'로 보는 거임.

    공시에서는 부사절로 보는데 이는 위의 서술 기능이라는 예외적인 활용 때문임. 수능판은 ㅁㄹ?

    안긴문장이 아니다라는 의견은
    1) 어미이기 때문에 걍 이어진문장이다
    2) '없이'의 '-이'는 파생접사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고 이에 따르면 품사가 용언이 아니라 부사가 되기 때문에 절로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

    위의 두 가지인데 웬만해선 안은문장으로 보는 걸로 알고 있었음. 물론 언매는 안 들어가서 언매에서의 범위는 ㅁㄹ

  • 국어학가망있나 · 1159823 · 22/09/16 18:15 · MS 2022

    참고로 학교문법론은 '론(論)'이 있고 이건 저자의 의견이 다수 들어가 있는 책이기 때문에 학교문법의 의견과 완전히 일치한다 할 수 없음. 하지만 실제 교육부든 학자든 학교문법을 제정할 때 학교문법론을 참고한다는 점에서 꽤나 신빙성은 높음. 우말론 역시 상당히 정확도가 높고.

    다만 부사이기에 부사구다 또는 어미이기에 이어진문장이다라고 하는 교슈들도 있는데 전자는 가능성 있어도 후자는 좀 어려움. 어미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거든. 즉 부사구로 볼 시 안은문장이 될 수 없는 거임.

    아무튼 결론은 이걸로 출제하면 욕을 한바탕 먹을 거다.

  • 이루고자 한다면 그에 상응하는 노력을 · 1038213 · 22/09/16 19:18 · MS 2021 (수정됨)

    안나오는걸로 알겠습니다 덕코나 받으시지요..! 답변 감사합니다.!

  • 국어학가망없나 · 1159823 · 22/10/23 00:51 · MS 2022

    아무래도 나온다면 부사절로 보시길 바랍니다. 정리해서 글을 써 보니 부사절로 보는 것이 합리적일 것 같습니다.

    https://orbi.kr/00058939308#c_58939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