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ezus [1163329] · MS 2022 · 쪽지

2022-09-16 11:42:19
조회수 5,605

국어지문 난이도 대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408205

어려운거 고르면됨

가장 어려웠던 기출지문

최대 1개 선택 / ~2022-09-23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5수호소인 · 815490 · 22/09/16 11:43 · MS 2018

    다 올타임 레전드들이지만 개인적으로 저중에 그 어느것도 현역당시 마지막 지문으로 마주친 가능세계만큼의 당혹감을 준게 없었음 지극히 개인적 의견

  • 박은빈ㅤ · 1062561 · 22/09/16 11:44 · MS 2021 (수정됨)

    다보탑이 개성에 있는 가능세계…

  • 박은빈ㅤ · 1062561 · 22/09/16 11:47 · MS 2021

    근데 아무리 봐도 2018 수능 국어 등급컷은 잘못돼도 크게 잘못된 거 같습니다

  • 슈야 귀여워 · 742664 · 22/09/16 11:56 · MS 2017

    ㅋㅋㅋ ㄹㅇ 오버슈팅에 부호화가 94가 말이되냐고

  • 경상남도소방본부 · 963791 · 22/09/16 13:10 · MS 2020

    18수능, 22수능 현장응시자입니다(둘다 백분위 99).
    18수능 두 지문 솔직히 지문 내용 난이도는 모르겠고, 문제는 어렵지 않게 느꼈습니다. 저 당시만 해도 지문이 어렵든 쉽든 내용에 대한 이해를 크게 요하지 않고 단편적인 내용일치로 풀 수 있도록 문제들이 출제되어서요.
    오버슈팅 킬러문제라던 보기 그래프 문제도 사실 글 쓱 읽어보면서 증가 감소 증감폭 대응시키면 이해고 뭐고 필요없었어요.
    반면 22수능은 (지문 내용의 어려움 쉬움을 떠나서) 글 자체에 맥락을 많이 숨겨놔서 글에서 무슨 말 하는지 못 알아먹게 만들어놨고, 킬러문제에서 요구하는 추론의 수준도 18과는 비교도 할 수 없게 높았어요(브레턴우즈 보기문제).
    저는 솔직히 18수능때 22수능처럼 나왔으면 1컷 70점대고, 22수능때 18수능처럼 나왔으면 1컷 97~98일거라 봅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고 가정이니 누가 맞고 틀리고 정답은 없겠죠. 다만 제 생각으로는 18수능은 '지문 내용이 짜증나도 의외로 문제는 단순하게 풀리는' 게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 천원이와함께 · 1120152 · 22/09/16 11:48 · MS 2021

    여긴 없는데 유류분 선지구성이 개인적으로 너무빡셈

  • 김석찐 · 843612 · 22/09/16 11:49 · MS 2018

    점소가 없네 이중에선 브레턴

  • 김석찐 · 843612 · 22/09/16 11:50 · MS 2018

    꼴찌는 비타민k 우주론 접전일듯

  • Zistory · 1023277 · 22/09/16 11:54 · MS 2020

    이중차분법 현역한테는 가혹했음

  • TwoCONSTANT · 1087650 · 22/09/16 12:03 · MS 2021

    브레텐우즈 1시간전에 7번째쯤? 복습하고 왔는데 여전히 보기문제는 배경지식없으면 절대 못풀겠더라구요... 추론이 너무 과함

  • 823543 · 1069866 · 22/09/16 12:07 · MS 2021

    브레턴우즈 벨붕이네 ㄷㄷ

  • 검둥999 · 1045012 · 22/09/16 12:09 · MS 2021

    경제개념 있으면 브레턴 ㅈ밥임

  • 검둥999 · 1045012 · 22/09/16 12:14 · MS 2021

    개인적 생각인데, 교수들이 수험생 학력저하 저격한 거라고 봄. 수험생이 환율도 모르는게 말이 되느냐? 이러면서.

  • 검둥999 · 1045012 · 22/09/16 12:15 · MS 2021

    수능만 잘보는게 인재는 아니라고 말하고 싶었을 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