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현현현 [1138604] · MS 2022 · 쪽지

2022-09-14 18:13:12
조회수 6,926

생윤 질문 답변 부탁드립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88835

1. 동물의 쾌고 감수 능력은 도덕적 지위를 갖기 위한 필요조건이다(레건,싱어)

(O,X)


2. 문제집에 1번 O라고 나와있는데 그러면 선지에서 싱어만 물어봤을 때 "쾌고 감수 능력은 도덕적 지위를 갖기 위한 필요 조건이다" 라고만 해도 정답 선지가 되나요?


3. "쾌고~ 위한 충분 조건이다" 는 요?


헷갈려서용...답변 부탁드려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2논술 · 1156624 · 22/09/14 18:30 · MS 2022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유삼환 · 824224 · 22/09/14 21:42 · MS 2018

    1. 싱어는 O / 레건은 평가 기출상 O, 올해 수완 및 원전 기준으로는 X

  • 유삼환 · 824224 · 22/09/14 21:43 · MS 2018

    2. 싱어만 나오면 -> 네.
    3. 이렇게 물으면 싱어는 O / 레건은 X

  • a911989Dq · 980519 · 22/09/20 22:47 · MS 2020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a911989Dq · 980519 · 22/09/20 23:14 · MS 2020 (수정됨)

    제가 보기엔 레건도 O라고 해야 할 것 같은데요..


    레건에게 "도덕적 지위"라는 키워드는,

    생명윤리- 개체론- 동물중심주의- 레건- 삶의 주체,

    "삶의 주체"에 해당되는 키워드입니다.


    레건에게 삶의 주체란,
    도덕적으로 고려받을 권리를 가진 존재,
    즉, 도덕적 권리를 지닌 존재입니다.

    그리고 어떤 생명체에 대해 삶의 주체(도덕적 권리를 지닌 것)라는 범주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들이 필요한데,

    1.지각능력
    2.미래에 대한 상상력
    3.자신만의 고유한 가치
    .
    .
    등등이 있습니다.

    이때 쾌고감수능력은 이 조건들 중 하나로 적용되기 때문에,
    삶의 주체에 대한 조건으로 볼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필요조건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연계교재에는 "내재적 가치를 지니는 경계"라는 내용이 나오는데,
    여기서 내재적 가치란,
    "그 개체가 다른 것과는 별개로 자신만의 선, 또는 그 가치를 지닌다."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부터가 정말 중요한데, 레건을 제외한 다른 사상가들은 전부 내재적 가치를 고정적으로 정할 수 있는 기준이 있습니다.

    칸트는, 인격을 지닌 존재=내재적 가치
    싱어는, 쾌고감수능력을 지닌 존재=내재적 가치

    이렇게 적용되죠.
    하지만 레건은 의무론자로서,

    '내재적 가치에 참'이 되는 기준과 동시에,
    "그것이 내재적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라고 할만한 '부정'의 기준도 동시에 마련하려고 했습니다.

    여기서 레건은
    어떤 고유 개체 A가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는 것을 확실하다고 판단할만한 기준은 마련했지만, 그 A가 내재적 가치를 지니지 못한다고 할 기준을 마련하지 못했죠.

    결국, 도덕적 권리를 충분히 지닐만 하다고 생각되는 존재는 쾌고감수능력을 비롯한 여러가지의 조건을 통해서 증명할 수 있지만, 내재적 가치의 기준을 마련하기란 어렵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레건은 다른 사상과와 달리, 내재적 가치를 지니는 경우를 최대의 범위는 자연전체라고 정의했습니다.

    그리고 내재적 가치에서 도덕적 권리를 분리한 뒤, 언제나, 그리고 모든 사람이 내재적 가치를 지닐 만하다고 생각하는 삶의 주체에게 도덕적권리의 개념을 대응시켜 부여한 것입니다.

    이야기가 길었지만 정리하자면,

    1.쾌고감수능력은 삶의 주체, 즉 도덕적 권리를 지니기 위한 필요조건입니다.

    2. 하지만 내재적 가치를 지닌다고 하기에는 쾌고감수능력은 필요조건이 될 수 없다고 했습니다.

    3. 다시말해, 오히려 쾌고감수능력은 내재적 가치를 지니기 위한 충분조건이 됩니다.

  • a911989Dq · 980519 · 22/09/21 00:01 · MS 2020

    아 그리고 싱어에게 쾌고감수능력은 필요충분조건이기 때문에
    필요조건으로도, 충분조건으로도 볼 수 있는게 가장 옳바른 판단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