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독해] 독해 지문 정복 전략 첫 번째 단계 - 지문의 디테일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연습부터 시작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30825
Supporting details에 대한 내용 파악 연습이 먼저 되어야 하는 이유
topic sentence와 conclusion/summary를 제외한 나머지 문단 부분이 supporting details입니다. 즉, 글쓴이가 해당 문단(지문)에서 설명하거나, 주장하는 내용을 설득하기 위해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부분입니다.
Donato Bramante, born in Fermignano, Italy, began to paint early in his life. His father encouraged him to study painting. Later, he worked as an assistant of Piero della Francesca in Urbino. Around 1480, he built several churches in a new style in Milan.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Leonardo da Vinci, and they worked together in that city. Architecture became his main interest, but he did not give up painting. Bramante moved to Rome in 1499 and participated in Pope Julius II’s plan for the renewal of Rome. He planned the new Basilica of St. Peter in Rome ― one of the most ambitious building projects in the history of humankind. Bramante died on April 11, 1514 and was buried in Rome. His buildings influenced other architects for centuries.
Topic Sentence: Donato Bramante, born in Fermignano, Italy, began to paint early in his life.
화가인 Donato Bramante에 관한 “어떤”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화가의 어떤 측면을 이야기할까요? supporting details에서 찾아내야 합니다.
His father encouraged him to study painting. Later, he worked as an assistant of Piero della Francesca in Urbino. Around 1480, he built several churches in a new style in Milan.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Leonardo da Vinci, and they worked together in that city. Architecture became his main interest, but he did not give up painting. Bramante moved to Rome in 1499 and participated in Pope Julius II’s plan for the renewal of Rome. He planned the new Basilica of St. Peter in Rome ― one of the most ambitious building projects in the history of humankind. Bramante died on April 11, 1514 and was buried in Rome. His buildings influenced other architects for centuries.
No conclusion or summary: His buildings influenced other architects for centuries.
마지막 문장은 Donato Bramante의 업적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Supporting details에 제시한 정보의 요약이라고 볼 수는 없고, 굳이 supporting details에서 제시한 주장에 대한 결론이라고 볼 수도 없겠네요(굳이, 이전 문장들에서 인급한 건축 디자이너로서의 활동이 결국은 다른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끼쳤을 정도로 훌륭하다고 결론 지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저는 conclusion으로 보지 않겠습니다. 여러분이 원하는대로 판단하면 되겠습니다). 따라서, 마지막 문장까지도 supporting details의 일부로 보는 것이 타당합니다.
정작 중요한 것은, 맨 마지막 문장이 conclusion 혹은 summary인 지에 대한 판단도 바로 그 이전까지 제시한 supporting details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없다면, 판단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지문의 내용 구조를 파악하는 측면에서 볼 때도 무조건 supporting details에서 제시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연습부터 진행 하는 것이 타당한 이유 중의 하나입니다.
따라서, 위 지문의 supporting details 영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His father encouraged him to study painting. Later, he worked as an assistant of Piero della Francesca in Urbino. Around 1480, he built several churches in a new style in Milan.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Leonardo da Vinci, and they worked together in that city. Architecture became his main interest, but he did not give up painting. Bramante moved to Rome in 1499 and participated in Pope Julius II’s plan for the renewal of Rome. He planned the new Basilica of St. Peter in Rome ― one of the most ambitious building projects in the history of humankind. Bramante died on April 11, 1514 and was buried in Rome. His buildings influenced other architects for centuries.
supporting details 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한다”는 말의 의미
Rhetorical strategies라는 것이 있습니다(후에 적당한 기회에 설명하겠습니다). Supporting details에서 제시하는 내용을 자세히 살펴 보면 Donato Bramante의 경력을 시간의 경과 순서(chronological order)에 따라서 제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지지로 화가의 길을 걸었고, 그 후에 Peiro della Francesca의 조수로서 활동했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1480 년 경에 Milan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교회 건축에 참여했고, Davinci와 교류 및 활동을 함께 하기도 했으며, 본격적으로 건축 디자이너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지만, 화가로서의 경력을 포기하지는 않았다고 합니다. 1499 년에 로마로 근거지를 옮기고 Julius II 교황의 로마 리뉴얼 프로젝트에 참여했다고 하네요. Basilica of St. Peter 건축 프로젝트에 참여했는데, 매우 중요한 프로젝트였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Basilica가 성당인 지 등은 구체적으로 몰라도 되겠죠? 건축 프로젝트니까 중요한 건물 정도로 이해해도 되겠습니다. 배경지식이 없는 정보의 처리는 이런 식으로 해주세요). 그리고 Donato Bramante의 죽음에 대한 정보를 제시하고, 업적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해석과 구체적인 내용 파악의 차이점을 느끼셨나요? (1) 구체적인 정보가 제시 되는 방법까지 본다면 내용 이해는 물론, 글쓴이의 정보 제시 목적을 보다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답니다. (2) 또 한, 해석의 구체성 수준도 함께 염두에 둔다면 독해 능력 향상에 커다란 도움이 될 것입니다(제발 대충 날려 읽지 마세요. 평생 여러분을 괴롭히는 나쁜 버릇이 된답니다).
이 정도까지 읽어 냈다면, main idea 정리를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도 있겠네요.
The author introduces Donato Bramante’s achievements by giving the details of his career development in chronological order.
굳이 career development라는 표현을 쓴 이유는 그가 화가이지만, 건축 디자이너의 영역까지 섭렵했기 때문입니다. 특히 화가로서의 업적은 별로 소개가 되지 않았다는 점도 눈여겨 볼 만합니다.
Supporting details의 내용을 파악할 때, 글쓴이가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 및 제시된 정보의 관계(예를 들어서 화가 → 건축 디자이너 → 건축 디자이너로서의 업적)까지 살펴보는 기회를 지문 분석 연습시 반드시 함께 진행 되도록 해보세요. 글을 이해하는 능력의 폭이 빠른 시간 안에 무척이나 넓어짐을 체험할 수 있게 됩니다.
결론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기출 지문의 supporting details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연습을 진행하세요.
[1] 연습 대상 - 26 번 문제의 난이도는 매우 낮지만, supporting details를 파악하는 연습을 시작하기에 좋은 material이라는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수능 26 번 기출 문제들에 대한 연습 진행 → 수능 독해 영역에서 제시 되는 한 문단으로 구성된 모든 지문으로 연습 대상 확장
[2] 연습 방법 - 문장에서 제시하는 정보를 하나도 빠뜨리지 말 것 + 제시 되는 정보들 간의 관계를 따져볼 것 + 정보를 제시하는 방법(rhetorical strategies)도 파악해볼 것
이제 문제를 풀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얼마나 쉽게 풀어지는가를 확인해보죠. 문제 푸는데 소요 되는 시간이 확 줄겠죠?
26. Donato Bramante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Donato Bramante, born in Fermignano, Italy, began to paint early in his life. His father encouraged him to study painting. Later, he worked as an assistant of Piero della Francesca in Urbino. Around 1480, he built several churches in a new style in Milan.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Leonardo da Vinci, and they worked together in that city. Architecture became his main interest, but he did not give up painting. Bramante moved to Rome in 1499 and participated in Pope Julius II’s plan for the renewal of Rome. He planned the new Basilica of St. Peter in Rome ― one of the most ambitious building projects in the history of humankind. Bramante died on April 11, 1514 and was buried in Rome. His buildings influenced other architects for centuries. [2022 년 수능 영어. 짝수형]
1. Piero della Francesca의 조수로 일했다.
2. Milan에서 새로운 양식의 교회들을 건축했다.
3. 건축에 주된 관심을 갖게 되면서 그림 그리기를 포기했다.
4. Pope Julius II의 Rome 재개발 계획에 참여했다.
5. 그의 건축물들은 다른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끼쳤다.
지문에서는 “Architecture became his main interest, but he did not give up painting.”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best choice는 (3)이 되겠네요(문제 출제자가 왜 굳이 경력과 관련된 내용을 답의 대상으로 선택했는 지도 한 번 생각해보세요. 지문의 핵심 내용을 묻는 것은 독해 문제 출제의 기본이라는 점도 염두에 두면 좋겠네요. main idea에 career development를 넣은 이유도 함께 말이지요).
독해학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간식사온거 ㅇㅈ 1
-
거의 똑같음 ㅋㅋㅋㅋ
-
성대 공학계열 자과계열 둘 다 붙어놓고 자과계열가는게 기분이 이상하네요 저같은...
-
트럼프, 'DOGE분배금' 검토…예산절감 성공하면 가구당 720만 원 1
머스크 계획대로 2조 달러 예산절감 목표 달성시 가능한 액수 (서울=연합뉴스)...
-
옷 뭐입을까 4
신입생환영회 하이닉스 임직원 분들과 학과 교수님들 뵙는 자리임
-
취침 1
-
안녕하세요 언매 문제집 풀려고 하는데 어떤 문제집이 좋을지 모르겠어서 추천...
-
ㄹㅇ
-
투과목 4
지2로 넘어가는거 어케생각함? 물리는 만접받을자신있고 지1도 좀하면 1은 금방찍는데...
-
약간 내가 작수를 망친게 내가 멍청해서가 아니라 그냥 선택과목이 잘못되서 그런거라고...
-
아직안나왔나
-
궁금하닿
-
윤성훈소름 2
아니 강의 들으면서 의문 생겼는데 생각하자마자 짚어주심 개고트ㅜㅜ
-
25명 정도 되는 소수과인데 학점 챙기며 반수는 어렵겠죠??
-
하이닉스 임직원 분들과 학과 교수님들 뵙는 자리라는데 옷 뭐입고 가야해요..? 걍...
-
재종인데 두분다 독서 가르치심. 누가 더 좋음?
-
이런 시.. 멜 원딜은 너였구나 하하하하하하하하
-
군대갔다와서 내돈으로내래 ㅅㅂ
-
벌써 입학한 지 1년이 되었다니..
-
약간 내 기준 비서울대 문과의 수장같은 느낌임
-
나만 수2에 아주 조금 아주 조금 더 신경쓰나
-
안녕하세요. 자료 제작자 자이오노스입니다. (부르실 때, 노스라고 불러주셔도...
-
나도 전장 ㅇㅈ 12
ㅎㅎ
-
무기력해진다 1
윗 대학은 재종이 필수 같은데 돈이 없으니 원
-
1학년때말고는 할 일 없을거같은데
-
전액등록금 7
25 입시 끝나서 말하는 건데 학교 장학 ㅈㄴ 짜고 a 비율 개병신이니까 돔황촤…
-
오늘 신청했는데 내일까지 나올려나요? ㅠㅠ 50만원이 걸려있는 상황이라..
-
가격이거맞냐…?
-
맛있네
-
"홀수형"
-
고고혓!!!!!!!
-
내 맘은 비상사태
-
한거라곤실모딸깍찔끔밖에없는데95ㅋㅋㅋㅋㅋㅋㅋ 과탐75=사문95 맞는거같으면 갳우....
-
학교 돈 많노 13
학점 좆박았는데 개푸짐하게 깎아주네
-
다음주 지금 시간대면 지방 내려가겠네
-
..
-
하지웅T 현강 0
작년에 하지웅 들었는데 잘 맞는 거 같아서 재수하는데 다시 듣고 싶은데 어디서...
-
내가 해봤음
-
국어손가락걸기하는사람 12
난 안걸면 시간부족떠서필수임
-
ㄱㄱ
-
갑자기 5년전 현장강의를 들고 오는데 좀 당황스러움.. 뉴런이 보통 이런 경우가 많나요?
-
버튜버 좋아할거같이생겼다 vs qwer 좋아할거같이생겼다 9
들었을때 더기분나쁜게 뭐임?
-
재수 생1 질문 2
25수능 생명 백분위 91이었는데 다시 시작하려면 어디부터 시작해야할까요 *문제집...
-
오늘은 뜨냐
-
호두가 저럴 이유가 잇노 ㅋㅋ
-
현재시각 4시 7
이제첫끼먹음
-
생2 들어와 2
함 뜨자
-
응애 나 경뱃 2
아기사자등장
-
뭘할까

잘봤습니다. 국어 비문학 독해하듯이 정보를 정리하면서 읽어야겠네요 이런 태도가 강점을 보이는 문제들은 어떤 게 있을까요? 예를 들어서 주제 제목같은 경우에는 디테일을 많이 타지는 않는것 같은데, 순서배열 같은 경우에 접속어 같은것으로 대놓고 주지않는 경우에는 지칭하는 대상을 정확히 잡아줘야하니까 도움이되려나? 이런 생각이 들었거든요안녕하세요? 독해학교 Eddie입니다.
paragraph 단위로 제시 되는 모든 지문은 coherence(내용 일관성)에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그렇지 않다면, 글이 쓰레기일 것이고, 그런 글은 출제 지문으로 선택되지 않겠죠. 따라서 순서 잡기를 제외한 모든 지문에 위 글의 내용이 적용 됩니다(문장 순서가 scrambled 되어 있는 지문에 대한 순서 잡기 전략은 다른 꼭지에서 별도로 다룰 예정입니다).
지문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아야 한다는 조언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생각해보아야 합니다.
[1] 수능 지문에 포함된 문장이 길고 내용 구조가 복합한 이유
[2] 수능 지문의 이해가 어려운 이유
두 이슈의 공통된 특징은 단 하나입니다. "내용, 혹은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는 공통점입니다. 더 많은 정보를 하나의 paragraph에 담으려고 하다보니, 해당 문단을 구성하는 문장에 더 많은 정보를 담을 수 밖에 없었던 것이지요.
글의 수준이 높아진다는 것은 글쓴이가 전달하려는 정보의 양이 많아진다, 즉,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그래서 문장에 더 많은 정보를 담게 되고, 그러한 문장으로 구성된 지문의 내용이 어렵게 느껴지게 되는 것이지요.
문장 "내용" 구조 파악도 안되고, 중간 중간 모르는 단어도 포함 되어 있고, 아는 단어라고 하더라도 그 뜻을 넣어 보았자 문장의 내용이 이해가 되는 경우도 많고요...정확한 원인을 모르는 상태에서 대충 대충 해석하고 읽다 보면 "구체적인 정보"가 들어있다는 사실조차 알아채지 못한답니다. 그런 상태에서 내용 연결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자신이 창작해서 내용을 끼워 맞추기까지 합니다. 현재 모든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독해 문제점의 원인입니다.
"글의 수준이 높다 = 글쓴이가 전달하려는 정보의 양이 많다. 그래서 구체적이다"는 관점에서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길고 복잡한 문장을 제대로 해석해내기 위해서 천일문 나부랑이와 같이 문장 패턴에 의존하는 해석이 아니라, 문장에 더 많은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단어 대신 구나 절을 문장요소나 수식어로 사용 하고, 수식 관계나 병렬구조로 구체적인 정보를 추가하는 식의 방법)에 의해서 추가된 정보를 파악해내는 것에 익숙해지는 연습이 필요하구요.
문장의 내용이 구체화 되는 방법에 관해서는 간단한 문서 하나를 첨부할께요.
한 문장에 압축적으로 많은 정보를 넣으려고 함 -> 복잡한 문장구조, 해석에 어려움 발생 이렇게 되는 거네요. 이런 부분도 국어와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듭니다. 예를 들면 (대등한 세 범주의 위상을 드러내는 것이 아닌) 변증법은 ~ 이런 느낌으로 뼈대에 여러 수식이 붙는 형태
그렇죠. 사람의 생각은 크게 다르지 않지요. 그래서 다른 언어 간에도 많은 공통점이 있답니다.
아래 문서의 내용을 한 번 참고해보세요.
https://drive.google.com/file/d/1Biowbi0cvJB2UGNmElRwE932EvIixDLm/view?usp=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