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기념 추석 어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11895
추석 자체는 한자어인데 秋夕은 가을의 달빛이라는 뜻임. 그래서 달이 밝은 명절이라는 의미를 갖게 되었는데 이 한자가 어디서 유래되었는지는 크게 두 개임.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유래했다는 의견과 중국에서 중추, 추중, 칠석, 월석 등의 용어에서 중추의 ‘추(秋)’와 월석의 ‘석(夕)’을 따서 추석이라고 불렀다는 설이 있음. 그러나 이 단어는 한가위보다는 늦게 등장한 단어로 중세 때 생긴 단어라 볼 수 있음.
전통적으로 추석은 '가배(嘉俳)'라는 용어로 쓰였는데 이건 '가위'를 이두로 차자 표기를 한 걸로 보고 있음. 가우(嘉優)로도 쓰이긴 했는데 '嘉俳'가 더 많이 쓰였다고 함. 가배는 가운데를 뜻하는 말로 보는데 이것을 분철하면 ‘고ㆍㅂ(=가운데)+ㅇㆍㅣ(日)’가 되고 ‘가운뎃날’이라는 뜻임.
즉 가배는 기본적으로 중(中)과 같은 뜻으로 가을의 한가운데 날인 명절이란 뜻이 되는데 여기에 크다는 뜻의 '한-'이 붙어서 '한가위'로 변화한 것임.
연철 표기를 쓴 고(ㅗ는 아래아) ㅂㆍㅣ--> 가뵈-->가외/가우 --> 가위의 변화를 거친 것임.
위 사진은 한국고전DB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