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전에 체크할 언매 개념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06335
반모음 vs 모음.pdf
9평 전에 썼던 자료에 수정할 거 수정하고 9평 기출 요소 조금 첨가한 거라 전에 다운 받은 거 있는 분들은 전 자료 사용하셔도 되지만 왠만하면 새로 받으시는 게 나을 거에요. 막바지 가을인데 모두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셔서 원하시는 결과 얻으세요~
@@@ 보어가 아닌 되다 예시에서 "가수가 되다-> 밥이 다 되다"로 바뀌어야 합니다. 오류내서 죄송합니다
좋아요는 당연하죠??
0 XDK (+100)
-
100
-
"마르크스 경제학 강의 복원하라" 연서명 나선 서울대생들 11
작년 가을부터 수요부족 이유로 미개설…"대학 근본적 목적 외면" (서울=연합뉴스)...
-
[칼럼] 2028 예시문항을 통해 본 2022 개정 교육과정 기반 국어 출제의 방향성 1
202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예시문항 세트의 구성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점들을...
-
하지만 난 착하니깐
-
영어 2
이 해석본 저만 이해 잘 안되는거 아니죠?? 영어 번역은 잘 됐는데 내용이 계속...
-
이걸놓치다니..
-
~~~~
-
그보다 목소리가 좀 신기하네요 노래 좋다~
-
벌써 곧 4시네요 16
어쩐지 피곤했는데 벌써..
-
파데만 끝내고 오늘 아이디어 들어봤는데 뭔소린지 모르겠으면 킥오프랑 기생집 2.3점...
-
근 1년 중 제일 늦게까지 깨어잇는 듯
-
空の青さを知る
-
야와조기에서 0
야와만 지키는중
-
내 눈!!! 7
야갤 보다가 ㅎㅋㅅ 봤어....
-
오전에 운동 갈 수 있을까...
-
재종 편입 2
시대 재종이랑 s2 , 강대 본관 인문반 대기 넣어서 합격했는데 지금 가도 따라갈수...
-
관심 있는 분들은 도전 ㄱㄱ
-
코노세카이와 단스호루~
-
예전같지않아
-
자야겠다
-
으으으 5
-
제발화요일에도와주세요제발
-
현역 수능 미적분으로 21252맞고 수학을 잘해서 5가 있어도 그 덕에 건동홍 경영...
-
심심띠예 0
ㅜㅜ
-
난 아주 높게 평가함 파합~♡
-
족보없는데 나랑비슷한성적인게 ㄹㅇ십재능충임
-
나한테 잘해 ㅋ
-
재수 햇는데 가톨릭대 왔거든요. 집에서 1시간 30분+@ 걸려요. 요즘 토익 단어...
-
다죽어야댐 4
다죽일거야
-
수특 문학 문제 0
풀어야된다고 생각함? 수특 문학 안사고 인강 쌤 분석서 사서 공부하면 안되려나
-
착한척해야 찐따에서 끝날수있는거야
-
개꿀인데
-
넌 왜옴
-
1000원에서 10억돼도 0원될때까지게임한다
-
슬술 자볼까 1
응
-
막, 막, 걸음마를 땐 아이는 벌써 뛸 준비를 하고 있는가. 막막한 세상을 헤쳐나갈...
-
그 중 하나는 난 생각 이상으로 수학을 못한다는거임
-
북이어낸언
-
줌수업때 2
화면 안끄고 옷 갈아입었다. 이상.
-
온클함 오래끌고 유튜브 봤지 그때 공부했으면 ㄹㅇ 개떡상 ㄱㄴ이었는데.
-
내일학원가서할것 1
평면벡터와 평면벡터 그리고평면벡터와 가능하면공간도형
-
개코미쳤네
-
잘자요
-
작수 국 7 수 9 영 8 생명5 지구 5 더프 국 38 수학 56 영 50 탐구...
-
전 점심 쯤 가서 깔짝 하다 올 듯
-
암울한얘기밖에 안해서 이민가기로함 근데 일본이랑 비교해달라니까 일본은 한국보다 더...
-
글목록도 진짜 어지럽고 본인 피셜 약대 다닌다는데 약대생이 저렇게 할 짓이 없을까
-
아묭 2
후기보니까 더가고십네 하 내 손이 느린게 잘못이지 으휴
-
지금 하는게 유망할지도모르는데 공부해야하나
-
이상성욕에 대해서 18
어떡케 생각하세요?
합성추
뽀뽀와랄랄
이거 보고 언매하기로 했다
크롱크롱
화작이지만 좋아요눌럿읍니다
굿
화작이지만 개추
피램 만세
이중모음화란 이름으로 이중모음을 1개의 음운으로 봤기 때문에 축약의 일종이고 반모음화로 보면 교체가 되는데 언매는 후자인가 보네. 최근에 바뀐 거임?
ㅣ+ㅓ-->ㅕ : 이중모음화(축약)
ㅣ+ㅓ--> 반모음ㅣ+ㅓ : 반모음화(교체)
이중모음을 하나의 음운으로 판단하면, 두 음운이 한 음운으로 ‘축약’된 현상으로 처리되지만 이중 모음 자체를 지금은 '단모음+반모음'으로 이루어진 2개의 음운으로 보면, 단모음인 /ㅣ/가 반모음인 /j/ 로 ‘교체’된 현상으로 처리되는데 언매에서는 후자구나.
'되어>돼'는 음절의 축약으로 보아 축약이 되는 거네. ㅚ가 체계상 단모음이니까 ㅚ+ㅓ-->ㅙ가 되고 ㅙ는 w가 있긴 하지만 IPA로 보면 [tøʌ]→[twε]이기 때문에 두 단모음(ㅚ, ㅓ)이 하나의 이중모음(ㅙ)으로 바뀌는 축약으로 보는 듯.
아니면 되어를 /töə/로 봐도 결국 /twe/가 되니까 ipa상으로는 축약이겠네. ipa 말고 정확히 어떤 과정으로 설명해야 되는지는 모르겠다....
땡스
예시 파멸적

제 얘기에요 오해마시길웬
Thanks

얼떨결에 강제 문법 공부나이스
설명 의문문 : 뭐하'노'
판정 의문문 : 밥 먹'나'
갱상도 사람 확실하네
님 근데 보어 설명할 때 두자리 서술어인 '되다' 설명 좀 애매한 것 같은데. 여기서 '가수가 되다'를 '밤이 되다'로 바꾼다 해도 '밤이'를 주어로 보기엔 무리가 있을 것 같음. 오히려 주어가 생략이 된 문장으로 보는 게 좋지 않을까? '봄이 되다/겨울이 됐다'에서는 주어인 '계절이'가 생략되었을 거고 주어와 보어를 요구하는 '되다'와 같은 경우 한국어의 일반적인 특성상 주어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보어는 거의 생략될 수 없으니까 밤이 되다'도 '()가 밤이 되다'로 보는 게 좋지 않을까?
밤이 되다는 그닥 어색하다 느껴지지 않지만 일리가 있네요. 밥이 다 되다 정도면 적절할까요? 코멘트 감사합니다
그게 좋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이건 내가 순수하게 궁금해서 물어보는 건데 학교문법에서 '되다' 앞의 성분을 보어로 보지 않을 때가 있긴 함? 언매에서도 이렇게 가르치나?

네 아마 수능에는 나온 적 없는데 있긴 합니다오 새로 배웠네. 근데 확실히 논란이 될 만한 부분이라 웬만해선 수능에는 안 나올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