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분석가가 말하는 9월 모의고사가 가진 진정한 의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283592
안녕하세요! 저는 다양한 학원에서 강사로 일했으며, 몇몇 고등학교에서 멘토로 활동했고, 치과대학을 휴학중이며(졸업할 나이는 되었지만..), 피오르 컨설팅에서 전문 컨설턴트로 활동중인 종냥이라고 합니다! 자기소개가 좀 길었던거 같은데요, 오늘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어서 오랜만에 오르비에 글을 남겨 봅니다. 이번에 할 이야기는 인서울 주요대학 라인인 중상위권 이상 수험생들부터 메디컬,서울대 지망 라인까지 전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수험생들에게 9월 모의고사에 대한 이야기를 할 거라고 미리 말해두고 싶은데요, 바쁘신 분들을 위해서 뒤에 3줄요약은 남겨두겠습니다! 근데 남들 다 하는 이야기인 잘쳤다고 자만하지마라, 못쳤다고 기죽지마라, 의미없다 이런 이야기를 하려고 온 건 아닙니다. 위의 말이 틀린 말은 아닌데, 왜 저런 이야기가 나오는지, 그리고 9월 모의고사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 수많은 수험생들을 분석해왔고 관찰해온 결과를 바탕으로 어떤 생각, 마음가짐을 가져야 하는지 알려드리려고 왔습니다!
수능이 끝난 후 입시 컨설턴트로 일하면서 상담을 하면 주된 대화 내용은 당연히 이 점수로 어디 갈 수 있나요? 이런 것들이지만, 메인 상담을 제외하고 사이드로 가장 많이 하시는 이야기가 무엇이냐면 바로 "제가 6,9평에는 이게 1등급이었는데.. 96점이었는데.." 이런 내용입니다. 물론, 누구나 할 수 있는 답변으로 자만해서라던가 공부를 게을리했다던가 실수가 많아서 등등이 나올 수 있습니다. 시간을 되돌릴 수도 없습니다. 그런데, 사실 상담중에 이러한 이야기가 나온 이야기를 생각해보면 이러한 이야기가 나오는게 당연합니다. 왜냐하면, 입시는 원래 받야아 할 과목에서 나오던 점수가 안나오면 받는 데미지가 상상 이상인 영역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간단한 입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지금 여러분들에게 입시라인 공부를 해라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오히려 지금부터 반영비를 보면서 '이번 9평 성적으로 어디까지 갈 수 있지?'라는 생각을 하는 수험생이 있다면, 말리고 싶은게 제 마음입니다. 하지만, 입시를 공부하지 않더라도 이것은 기억하세요. 몇몇 극단적인 반영비를 가진 학교를 제외하면 대학을 가장 편하게 가는 공부방법은 어떤 과목이든 펑크를 내지 않는 것 입니다. 여기서 펑크란 평소보다 입결이 낮게 찍히는걸 의미하는 입시용어 펑크가 아닌, 한 과목에서 평소점수보다 낮게 찍히는 점수의 펑크를 의미합니다. 수능은 상대평가이기 때문에, 펑크가 나면 백분위대학(표준점수가 아닌 백분위점수로 환산점수를 매기는 대학교, 주로 지방메디컬)은 당연히 다른과목에서 압도적인 점수를 받지 않는 한 물건너가고, 변환표준점수에서도 매우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극단적인 경우 같은 탐구과목, 같은 원점수인데 한명은 지방한의대가 간당간당하고, 한명은 치대를 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현상은 쉬운 과목에서 점수가 기대만큼 나오지 않았을때 극대화됩니다.
물론 이 원리에 따르면 어려운 과목을 잘치면 되지 않나.. 라고 반문할수도 있지만 그게 그렇게 쉽지는 않다는걸 다들 아실겁니다. 쉬운과목 남들보다 더 틀린것도 억울한데, 그거때문에 감점도 더 많이 된다니 억울하지 않을리가 없을 것입니다.
쉬운거 틀리지 말자, 수능은 특정과목에서 고득점을 따는것 보다 원래 점수를 지키는게 중요하다 이런 이야기인가? 하고 반문하신다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이야기입니다. 반영비로 역전할수도 있고, 과탐 한과목 메디컬, 국어 미반영 메디컬 등 다른과목에서 엄격한 점수를 요구하긴 해도 반례는 있으니깐요. 변환표준점수 보정의 물불 차이도 있습니다. 심지어 몇몇 지방대 메디컬은 그런거 무시하고 순수 표준점수만을 계산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대학에서 변환표준점수(지방 메디컬은 백분위)를 요구하는 시점에서, 한과목의 펑크가 나면 극도로 불리한 건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9월 모의고사때 하필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가 무엇이냐? 라고 물으신다면, 바로 펑크가 날 과목을 예측하기 제일 좋은 시험이 9월 모의고사이기 때문입니다. 9월 모의고사에서, 제일 조심해야 할 과목은 쉬웠고 잘 친 시험, 혹은 찍거나 애매하게 풀어서 잘 친 과목입니다. 어려운 과목을 논리적으로 풀어서 잘 쳤으면 그건 실력이 뛰어난 것입니다. 어려운 과목을 많이 틀렸으면 공부가 부족한 탓이니 당연히 다들 공부를 합니다. 쉬운 과목을 못 쳤어도 당연히 공부를 열심히 해야겠지요.
하지만 제일 소홀해지고, 자만하기 쉽고, 시험날 자신의 예상보다 조금이라도 더 어려워지면 당황하기 쉽고, 멘탈나가서 망칠 가능성도 크고, 입시때 손해를 볼 가능성이 가장 큰 과목은 바로 잘해서 자신있던 시험이 아닌, 점수가 잘 나와서 자신있던 과목 입니다. 여기서 난이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등급컷이 있겠죠.
결론은, 입시때 원망할 가능성이 제일 큰 과목은 모의고사에서 점수가 안나오던 과목이 아니라, 점수만 잘나왔던 과목입니다. 자신이 문제풀때 찝찝한게 있었는데 점수가 잘 나온 과목은 자기 자신밖에 모릅니다. 학원, 인강에서 이 과목을 열심히 해야한다 알려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공부할때 점수만으로 공부의 선호도를 판단하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3줄요약
1. 지금 점수로 계산기 돌려가면서 여기 가능하네 하지마라
2. 입시는 따야될 점수를 따지 못했을때가 손해가 제일 크다
3. 모의고사에서 배울점은 낮은 점수를 받은 과목을 공부해야겠다가 아닌, 풀 때 찝찝했고 자신없었던 과목이다. 점수는 무관하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구 커리 0
고2 때 물화생하고 수능 지구하려고 하는데 현재 노베임 대성, 메가 다 있는데 커리...
-
과탐과목을 시작하려고 하는데요 첫시작을 (개념터득) 시중문제집 하나 구매해서 독학을...
-
1편 : https://orbi.kr/00024342767 참고로 올리는 시간은 제...
-
올해가 개정되기전 마지막 수능이라 자료 대방출합니다! 자료는 1~4단원 총...
-
지금 고 2고요 학교에서 화1 생1만 배우고 있고 요번년도에 다 끝내요. 근데 전...
-
과학탐구(생1, 지1) 인터넷강의 이렇게 들으면 될까요..? 13
생1은 윤도영 올어바웃지1은 오지훈 개념완성이렇게 들으려고 하는데, 어떤가요?생1은...
-
과탐 고민 5
화1, 생2러입니다 제가 겨울방학과 여름방학을 제외하고 생2에만 거의 올인을 한...
-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을 위해서 무료 과외 합니다. 저는 수원 지역 모 의대 재학...
-
과탐인강 배기범하고 오지훈 지금 사면 이번수능까지만 볼수 있는건가요? 다음해...
-
8월되면 인강실모도 슬슬 나오고 할텐데 요즘은 풀 게 없네요 생1 시대인재 반이라도 가야 할까요
-
케미 옵티마 0
케미 옵티마 개정판 언제쯤나올까요? 빨리풀어보고 싶어요 ㅠㅠ
-
작년에 물1생2를 했는데 둘다 등급이 ... 그래서 한과목만 바꾸려고 하거든요!...
-
화1 물2 vs 물1 지2 vs 물1 생2 vs 물1 화2 36
재수 결심한 고3입니다!....ㅠ 무튼 현재 서울대로 목표를 확고히 다진상태인데요....
-
저희학교에선 물1화1생1 다배웟구요 제가 수업은 물1만들었어요(공부한수준은 진짜...
-
6평 11122(98 100 100 41 44) 9평 11114 탐구 화1 생2...
-
안녕하세요! 오늘 핵모의평가를 실시합니다. 일단 말해드려야 할 점은... 저는...
-
이노베이션 화학1 final 모의고사 검토진 모집. 3
기존의 검토진 중에 이탈하신 분이 생겨서 1~2명 정도 추가 모집하게 되었습니다....
-
올해는 저렇게 평범하게 유지되는건가? 사람수가늘어서저러나..? 권위자형들 분석좀
-
생2를 2년연속으로 망해보니 두려워요지2는 어떤식인가요? 전 생2의...
-
안녕하세요 이번에 화공과에 들어가게되는 15학번인데요ebsi 에서하는 물리1,2...
-
생2는 절대로 해서는 안되는 과목인가요? 올해 수능처럼 극헬로 나와서...제가...
-
과학탐구 선택 0
저는 올해 2학년에서 3학년으로 올라가는 이제 진짜 수험생입니다ㅠㅠ 서울대에...
-
딱 천체만 놓고 봤을때 인강 선생님 누가 짱짱맨이에용?? 15
천체만 들을려구 하는데요 인강 들어보신분 오지훈 김지혁 최석영 박선 선택 넘...
-
인강 들어보신분들 추천부탁드려요!
-
이번에 5월부터 지구과학 1을 시작했습니다 개념서로 쭉 읽으면서 외워나가고 학원...
-
운에따라 결정되는 수능 탐구 점수 - 15년 6평 물리2를 중심으로 4
표준점수 증발전 원점수 45 표점 66 백분위 95 원점수 44 표점 66 백분위...
-
과탐 2 치면 가산점 주는데도 있다는데 그 대학 수가 많은가요? 글고 그 가산점이...
-
화학2 생물2 무리일까요..?
-
교육과정 바껴서 기존의 문제집 중에 어느게 나은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평가원에서...
-
재수n수분들 지금 다들 탐구공부 어떻게 하시나요?? 2
저 화일이랑 생이하는데 화일은 처음이구 생이는 작년에 하던건데.. 진도가 둘다 너무...
-
일단 재수생이구여 ... 목표는 연대 의대구...물1 생1 을했었는데.. 물1같은...
-
제가 현역때 예체능이라 공부를 아예안해서 과탐을 새로시작하는데 하이탑 화학1을 사서...
-
회로마다 빨리풀리는 테크닉이 다릅니다.아그리고 숫자는 아무거나둔거라 숫자가 ㅈ같이...
-
제가 화1공부 전혀 안하고 수능 선택과목으로 화2를 했는데요.... 논술준비때문에...
-
화학고수분 한문제만 풀어주세요... 삼양성자산과 염기의 적정에서의 PH구하기 0
삼양성자산 H3A 0.1M 50mL용액을 NAOH 0.1M용액으로 적정할때 주어진...
-
화1 질문입니다 0
N-H 결합이있으면 수소결합이 물과도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나일론같은경우 분자내...
-
생2 질문이요 2
잎이 떨어졌는데 반절은 물에 닿아있고 반절을 그냥 땅에 닿아있다고 하면 물에 닿은...
-
-----------------------------------------------...
-
화1 탄소화합물 2
아닐린하고 아세트산하고 축합반응시에 중화반응이라고 할수 없는이유가 뭐인지 알려주세요...
-
1.알코올은 알칼리 금속과만 반응하여 수소기체가 발생한다. 2. 카르복시산은...
-
고산지대 사람들은 헤모글로빈이나 적혈구 수치가 높은이유? 3
단순히 적응을 했다라고하면 알겠는데 그 고산지대에서 생활하면서 주위환경의 어떤...
-
안녕하세요 비루한 고3 화2선택자입니다 평가원문제중에서 보통 증기압곡선문제 그래프가...
-
삼투압이 높다는게 어떤 상태인거죠????정확하게???? 용매가 많이 들어온 상태가...
-
화학전지 원리에서 (-)극에서 산화가 일어나면서 전자가 나오잖아요 근데 그 전자가...
-
http://gall.dcinside.com/list.php?id=scienceexa...
-
수능 물리1적인 관점에서, 재질이 동일하다고 제시되었는데 비저항이 다를 수...
-
물리1의 굴절파트 기출문제를 보면 공기에서 유리판으로 들어가는 빛에서 파장이 더...
-
이번 중간고사에서 생물1문제중에서 쓸개즙이 쓸개에서 분비된다가 옳은 진술이라는...
-
2006년 9월 모평을 보고 의문이 생겼는데요 14번과 관련된 질문입니다(굳이...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