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독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독해를 위한 세 가지 기본 개념 (3) - Organization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214132
여러 분이 하나의 문단을 구성하는 글을 쓴다고 가정해보죠. 어떤 내용을 담으시겠어요? 먼저 문단이 전달할 내용과 관련하여 문단의 존재 이유, 혹은 여러분이 해당 문단을 작성하는 목적이 먼저 결정 되어야겠죠.
문단의 목적이 결정 되었다면, 목적 달성을 위해서 제시해야 할 정보나 구체적인 내용이 결정 되어야 할 텐데, 글을 쓴 목적이 분명하다면,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자, 이제 한 가지를 더 생각해야 합니다. 어떤 흐름으로 내용을 제시하겠어요? 글 쓰기 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내용을 제시하도록 권고 하고 있습니다.
[1] 해당 문단을 구성한 글쓴이의 의도/목적을 먼저 밝히세요.
[2] 의도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시해야 할 구체적인 정보를 논리적인 흐름에 맞추어서 제시하세요.
[3] 필요하다면 문단에서 이야기한 내용을 정리해서 제시하거나, 주장을 펴는 문단이었다면 주장의 결론을 내려주세요.
굳이 위와 같은 순서로 내용 구성을 권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독자가 쉽게 따라올 수 있는 내용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그렇습니다. 여러분이 독해 지문으로 보는 한 문단의 글은 “글 쓰기” 책에서 제시한 방법에 크게 어긋나지 않는 내용 구성(organization)을 보여줍니다(너무나 자유로운 형식으로 서술된 소설류의 글은 위와 같은 틀에서 예외라고 생각하세요).
문단은 내용상 크게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 됩니다.
[1] topic sentence
[2] supporting details
[3] conclusion or summary
가장 중요한 부분은 topic sentence와 supporting details 부분입니다. 글 쓰기에서 권하는 문단의 내용 구성 방식을 여러분의 읽고 이해하기에 적용한다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글 읽기”를 수행하라고 권유 할 수 있겠네요.
[1] 문단(지문)의 첫 문장에서 최대한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해내세요.
[2] 두 번째 문장부터 파악된 의도가 구체화 되는 방식과 정보에 주목 하면서 읽으세요. 글에 대한 집중도도 높아질 뿐만 아니라, 두 번째 문장부터 제시되는 정보를 이해하는 방향을 놓치지 않고 잡아갈 수 있습니다.
[3] 마지막 문장에서 문단의 이전까지 제시 되었던 내용이 요약 되거나 혹은 주장에 대한 결론이 있는가를 판단하세요. conclusion 혹은 summary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The use of a paradigm in research typically addresses related problems by employing shared concepts, symbolic __EXPRESSION__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tools and procedures, and even some of the same theoretical statements. Scientists need only understand how to use these various elements in ways that others would accept. These elements of shared practice thus need not presuppose any comparable unity in scientists’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when they use them. Indeed, one role of a paradigm is to enable scientists to work successfully without having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Thomas Kuhn noted that scientists “can agree in their identification of a paradigm without agreeing on, or even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ation of it. Lack of a standard interpretation or of an agreed reduction to rules will not prevent a paradigm from guiding research.” [2022 학년도 수능 영어 23 번]
topic sentence를 바탕으로 위 지문은 과학자들의 paradigms를 사용 한다는 사실과 관련해서 구체적인 내용을 제시할 것(글쓴이의 의도)이라는 사실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특히 use를 italicized 해서 강조하고 있네요). 또 한, 과학자들이 사용하는 paradigm이라는 것이 무엇이지도 궁금한데, 당연히 관련 정보도 제시할 것으로 기대 됩니다. 이 정도의 내용만으로도 문단에서 제시할 내용의 윤곽은 잡은 셈이고, supporting details 부분을 읽어 가면서 그 궁금증을 풀고, 글쓴이의 의도를 구체화 하는 것이 여러분이 글을 읽는 목적이 될 것입니다.
예를 하나 더 살펴볼까요? 2022 학년도 수능 영어 24 번 문제의 지문입니다.
Mending and restoring objects often require even more creativity than original production. The preindustrial blacksmith made things to order for people in his immediate community; customizing the product, modifying or transforming it according to the user, was routine. Customers would bring things back if something went wrong; repair was thus an extension of fabrication. With industrialization and eventually with mass production, making things became the province of machine tenders with limited knowledge. But repair continued to require a larger grasp of design and materials, an understanding of the whole and a comprehension of the designer’s intentions. “Manufacturers all work by machinery or by vast subdivision of labour and not, so to speak, by hand,” an 1896 Manual of Mending and Repairing explained. “But all repairing must be done by hand. We can make every detail of a watch or of a gun by machinery, but the machine cannot mend it when broken, much less a clock or a pistol!”
여러분이 topic sentence를 통해서 파악한 글쓴이의 의도는 무엇인가요? 너무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는데요. topic sentence는 물건을 처음 만들 때보다 해당 물건을 수리하거나 복원하는 것은 훨씬 더 창조적인 작업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가치에 대한 평가를 하고 있다면 서슴지 말고 글쓴이가 “주장”하고 있다고 판단해도 전혀 무리가 없습니다). 왜 그런 주장을 하는지 궁금증이 느껴지지 않으세요? 지문의 나머지 부분에서 그 이유를 설명할 것 같습니다. 파악한 글쓴이의 의도 관점에서 두 번째 문장부터 읽어 가면서 확인해보세요. 이전과 읽기가 달라졌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100 원 걸겠습니다!
이해 방향을 결정 하면서, 글쓴이가 제시한 구체적인 내용 혹은 정보를 가장 잘 담아 내면서 읽을 수 있다는 측면에서 organization의 활용을 적극 추천합니다. 아니, 추천 정도가 아니라, organization을 바탕으로 지문을 읽는 방식을 여러분의 읽기 습관으로 만드세요. 독해 실력이 눈에 띄게 향상 될 것입니다.
독해학교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04년생#05년생#07년생 인증O) 탈탈털린 짱르비 33 24
-
2026 수능 동아시아사 필수 암기 연도 Pick 정답 0 5
2026년 마지막으로 올려드리는 자료가 아닐까 합니다. 예고한 시간보다 늦게 게시해...
-
유대종 모고 어떰?? 0 0
풀어본사람 진파이널
-
제주 수학여행 간 서울 고교생 숙소 8층서 떨어져 숨져 2 1
제주로 수학여행을 온 고등학생이 숙소 8층에서 떨어져 숨졌습니다. 오늘(5일)...
-
백예린 콘서트 가고싶다 0 2
엉ㅇ엉ㅇㅇ엉엉ㅇ엉ㅇ어어엉ㅇ ㅠㅠ
-
금연해본사람 0 0
있음? 이제 하려는데 ㅇㅇ
-
나형기출 0 0
의외로 수준 좀 있네 28+2라는 이유를 알겠네
-
요새실모점수ㄹ황 0 2
73~92를 와리가리
-
33,34>37,39>31,32로보면되나요? (일반적으로)
-
공부 안되는데 피씨방 가도됨? 7 0
씨부랄
-
영어 듣기 운영 ㅁㅌㅊ? 4 0
1번부터 6번까지 43~45 풀고, 나머지 시간동안 도표있는 페이지에 4문제 푸는데...
-
한국사 감점 안당하는법 0 0
걍 이거만 외우면 됨
-
영어 이명학 3회차 87 강대X 77 씨발 기분좆같음 학원 탈주 마렵다
-
아 수학 ㅈㄴ 진동하네 0 0
이해원 피날레 쉽다하지않앗냐.. 0회차 어려움.. 수능 때 처음으로 2뜰까봐 존나 무섭다
-
근데 오히려 영어 특정 유형 미는 거 나쁘지 않다고 봄 2 0
밑줄 / 어법 / 어휘 / 빈칸 / 순서 / 삽입 / 가끔가다 주제제목요지 다 뚫는...
-
고졸로 살 때가 좋긴 햇지… 0 0
적당히 알바하면서 집에서 꿀빨았는데
-
ㅅㅂ 11더프 생1 뭐임? 5 0
근수축 존나 쉬워보이는데 8분 박아도 안풀림 ㅅㅂ 47 1 나오나 좀 많이 쉽던데 저거 빼고 왜지
-
오노추 4 0
-
자지말이국수 6 0
?
-
사문은 개념이 어렵지는 않는데 3 0
문제 형식에서 꼬이면 말리는듯... 예를 들면 AB는 정답이 없다느니 이게 A라면 뭐시기라느니
-
그거 생각나네 2 0
작년에 두각 수강신청할때 서버 터져서 한 40분 늦게했는데 김승리 현강 신청됨
-
형이 03년생인데(본인 07년생) 분명히 내가 알던 형은 고1 까지만 해도 공부를...
-
난 여사친이 없음 0 0
여사친이 다 나한테 고백해서 ㅠ
-
아오
-
사만다 어렵네요 1 0
시즌 3 풀었는데 어렵네요..
-
보통 수능장에 고대 과잠, 연대 티셔츠 이런거 입고 가면 민폐인가요? 22 3
기운 받으려고 입고 가는 그런거 말이에요 제가 입겠다는 건 아니고
-
수능내일치면안됨? 0 0
일주일어케더버티노
-
수능 때만 망하는분들 많던데.. 적중예감 적생모 이런거 했는데 괴리 심할까요 서프는...
-
아니 무슨 남주인공이 뭐가 중요하다고 생각해 이렇게 말하는걸 거의 끝자락에 넣어놓노
-
앞으로 어떤일이 N시간 걸릴 것 같다고 생각되면 2N시간으로 계획 잡아야겠음
-
이시기에 감기는.. 0 0
카르마 유지 최근에 잘했는데..
-
사람들마다 말이 다 다른데 나르샤 팀에선 주류문화도 다양성을 증진하긴 하지만...
-
인생 처음 화작 신청 하고 단 한번도 안 풀어봤는데 4 0
화작 공부 어캐해야하나요 국어황분들
-
에타 정지먹음 10 0
신고 많이 당해서 저렇게 제한 먹음 내용을 밝히진 않겠음 그냥 다수가 말없이 추천만...
-
바아압을 먹고 해볼까 0 0
언제옴
-
현강 시간 교환? 9 1
토욜수업 가고싶은데 일욜 신청해버려서.. 혹시 토요일 다니는 사람이랑 합의해서...
-
수능 전 마지막으로 풀 수학 실모 6개 추천해주세요 1 0
2등급 통통이인데 수능전까제 딱 6개 풀려고요.. 양승진 파이널 모고 시즌2,3이나...
-
덕코좀 주세요 2 0
누가 자꾸 레어를 가져가요 ㅜㅜ
-
생윤 실모 0 0
개념,기출2회,ebs 돌리고 요즘 실모+오답만 하는 중인데 풀면 풀수록 개념도...
-
서바 평백 98인데 적생모는 먼가 어렵다기보다는 좀 더 까다로운? + 좀 빡빡한...
-
11 더프 풀었는데 3 0
22 찍맞함.... 수능날 쓸 운을 미리 쓴 거 같아 매우 찝찝함....
-
제발 이번에가자… 0 0
왤케 티오가적은거야
-
이 사이엔 상당한 연관성이 존재함 이게 인과관계인지 상관관계인지는 모르겠네 심오한...
-
자대 31사단 당첨 ㅋㅋㅋㅋㅋ 2 1
후방 야미~
-
적예 2번 50점뜨고 대부분 40점대 초반뜨는데 정상임?
-
수능 n년 박으면서 느끼는건데 0 0
수능이 요구하는 능력은 각 과목에 대한 실력보다 시간 내에 낯선 문제를 얼마나 더...
-
운동하시는분들 0 0
헬스나 특정 운동 주기젇으로 하시는분들 이번주도 하시나요??? 오늘 일찍 집왔는데...
-
94 > 91 > 87 무슨 등차수열마냥 떨어지는데 왜 그런걸까요
-
빠르게 체화하는 문학각론 - 시제와 시간적 관계 편 15 25
Intro 오이카와입니다. 많은 분들의 성원에 힘입어 문학각론 ‘시제와 사간적...
이런 방식을 기르기 위해서는 그냥 다른거 필요없이 평가원 문장으로 연습하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독해학교입니다. 기출 지문도 좋겠구요. 어떤 지문이든 한 개의 문단(paragraph)을 대상으로 삼는다면 연습이 가능할 것입니다. 다만, 소설류(fictional narrative) 보다는 수능 영어 독해 지문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non-fictional narrative나 non-narrative 종류의 글이 organization을 더 엄격하게 지키니 그러한 글의 종류를 연습 대상으로 고려 한다면 더욱 효과 높은 연습을 할 수 있겠네요.
첫문장이 중요하네요 근데 잘 해석이 안되서 슬푸네여
안녕하세요? 독해학교의 Eddie입니다. 해석은 독해 능력의 기본입니다. 사실 문법 학습 시기부터 해석을 염두에 두고 학습이 되어야 하는데, 그 때를 놓치게 되고, 시간이 지나서 본격적으로 독해 들어갈 때 해석의 본질에 관해서 고민하게 되는 실수를 흔하게 범합니다. 그래도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 배달의 민족 아니겠습니까? 몇 가지 해석의 핵심을 집는 내용을 추려서 올려보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힘내시고 화이팅하세요. 계속 두드리면 문이 열리거나 문이 부서지거나 합니다. 결국 문에 가려진 답답함은 사라진다는 이야기입니다. 계속 두드리세요.
계속 knock knock 하겠습니다!
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