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u16 [537366] · MS 2014 · 쪽지

2015-03-20 21:49:20
조회수 241

사회문화 근대화중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18348

근대화를 설명하는 이론 중

현재까지 신생 독립국 중 선진자본주의 국가가 된 나라가 없다 라고 비판 할 수 있는 대상이 되는 이론이 종속이론 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HU16학번 · 564618 · 15/03/20 23:06 · MS 2015

    근대화론이죠

  • KHU16학번 · 564618 · 15/03/20 23:06 · MS 2015

    오히려 종속이론은 한국,대만 등의 신흥공업국을 설명할수 없다는 비판을 받을수 있기에 반대입니다

  • kau16 · 537366 · 15/03/20 23:19 · MS 2014

    이유를 알 수 있을가요?

  • KHU16학번 · 564618 · 15/03/22 08:51 · MS 2015

    종속이론에 따르면 서구의 근대화 방식을 그대로 따라서는 중심부의 착취와 저발전으로 인해 근대화 할 수 없다 했는데 그 예외 사례로써 기능하니 그런거같네요

  • KHU16학번 · 564618 · 15/03/22 08:52 · MS 2015

    물론 한국이나 대만의 개발독재가 서구식 근대화 모델(?)인지는 좀 어리둥절 할수도 있겠지만 프로이센같이 서구 후발선진국들 보면 뭐 얼추 맞을거같기도

  • 뱃사람 · 490111 · 15/03/22 04:30 · MS 2014

    1. 근대화론: 제3세계 국가들이 발전하지 못한 것은 서구식 근대화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함.
    2. 신생독립국의 대부분이 서구식 자본주의 경제체제와 민주정치체제를 도입 즉, 서구식 근대화를 추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서구 수준의 발전을 하지 못하였다고 한다면 이는 근대화론에 대한 비판이 된다.
    3. 종속이론은 제3세계 국가가 자본주의를 수용하게 되면 세계 자본주의 체제에 편입되면서 중심부 국가에 종속되기 때문에 저발전 상태에 머무르게 된다고 주장.
    4. 신생 독립국 중 선진자본주의 국가가 된 나라가 없다고 하는 것은 종속이론의 주장이므로 이 이론에 대한 비판이 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