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II - 회합 주기 그래프 활용하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155816
(2023 수능특강 지구과학 II 163p)
3년째 수특에 꾸준히 나와주는 그래프이고
(2023 수능완성 지구과학 II 92페이지 1번)
이렇게 직접적으로 묻는 문제도 계속 나오고 있어요.
개인적으로 완전 좋아하고 자주 쓰는 그래프인데,
마침 9월 직전이기도 하니 스킬로 쓸 수 있게끔
이걸 살짝 더 알아보려고 가져왔어요 ^-^
I. P에 대한 그래프 그려보기
II. 가로축을 P가 아닌 a로 설정할 때
III. 기억해두면 좋을 점(Point)
IV. 사용예시(1) - 다른 행성에서 측정한 회합 주기
V. 사용 예시(2) - 그래프 모양 이용하기
이렇게 적어뒀으니 시간 없으면 필요한 부분만 읽어주세요~
I. P에 대한 그래프 그려보기
(성실한 지2러라면 다음의 두 공식이 바로 생각날 거예요)
S=회합 주기, P=행성의 공전 주기, E=지구의 공전 주기일 때,
내행성/외행성 각각을 저렇게 외우는 게 귀찮지 않아요...?
어떤 행성들이든 결국 공전 각속도 차가 관건이니
이렇게 일반화해도 괜찮아요.
년 단위로 생각하면 E=1(년)이니까 변수 하나가 줄고
여기에 역수를 취해주면 S가 P에 대한 함수로 바로 보여요.
S를 y값으로, P를 x값으로 설정하고 그려보면
여기서 P, S의 단위는 모두 (년)이에요.
그래프는 P=1, S=1을 점근선으로 가지고,
지나는 특정한 점들이 보여요(3에서 정리할게요)
P=1 오른쪽의 그래프를 P=1에 대하여 대칭시킨 다음
2만큼 내린 그래프의 일부를 왼쪽 그래프라 생각하면 편해요!!
정석적인 이해를 다 끝냈다면 이제 문제를 풀 때
이 그래프가 빠른 이해를 돕는 도구로 작용할 거예요.
II. 가로축을 P가 아닌 a로 설정할 때
그런데 방금 그린 그래프가
위쪽의 EBS나 교재의 그래프와는 조금 다르네요...?
여기서는 x에 해당하는 값을 태양으로부터의 거리,
즉 공전 궤도 긴반지름으로 줬거든요.
조화법칙이 있으니 바꾸는데 별 문제는 없어요.
P=a^(1.5)이니까 아까 그려둔 그래프의 x 자리에 x가 아닌
x^(1.5)를 넣으면 되는데,
그냥 x=1 기준으로 살짝 더 좁혀진 합성함수라 생각해주세요.
P 자리에 a^(1.5)를 대신 넣어주면
S의 단위는 그대로 (년),
a의 단위는 (AU)로 바뀐 채로 다시 그래프가 이렇게 그려져요.
가로 점근선은 그대로 S=1년이지만,
세로 점근선은 a=1AU에요!!!!
그림에선 잘 안 보이지만 (0.5, 0.5)는 안 지나요.
자주 나오는 자료가 이거긴 한데
가로축이 a 기준인 그래프는 저도 잘 안 써서,,,
P 기준으로 푼 다음 계산할 때 가서 바꾸는 게 더 편해요
III. 기억해두면 좋을 점(Point)
수식이 이렇다보니 좌표가 깔끔히 나오는 점들이 있는데
기억해두면 대략적으로 어디에 있는 행성인지 바로 볼 수 있어요.
(바로 다음 칸에서 쓸 생각이에요)
가장 자주 쓰이는게 저 (0.5, 1)이고,
가끔 (1/3, 0.5)와 (2/3, 2), (2,2)도 알아두면 좋고
S=2인 두 공전 주기는 1:3,
S=3인 두 공전 주기는 1:2인 것도 가끔 쓰여요
식이 워낙 간단해서 어떤 점이든 금방 떠올릴 수 있으니까,
머리 잘 안 돌아갈 때 대비해서 저 점들 기억해주세요~~
IV. 사용 예시(1) - 다른 행성에서 측정한 회합 주기
그냥 공식을 대입하면 되는 걸 굳이 이렇게 그래프로 이해해두면
특정 상황에서 조금 더 쉽게 풀려요.
그 중 하나가 '다른 행성에서 측정한 회합 주기'인데,
행성 X에서 측정할 때
다른 행성과의 회합 주기는 다음의 식을 만족해요.
위에서 했던 것처럼 측정의 기준인 X를 지워버릴 거예요.
아까는 지구에서 측정한 값이라
회합, 공전 주기의 단위를 (년)=(지구의 공전 주기)로,
E=1년으로 두고 1/E=1로 만들었어요.
지금은 단위를 (X의 공전 주기)로 두고(이하 t)
X=1(t)로, 1/X=1로 만들게 되면
단위만 바뀐 채로 식이 정말 그대로 똑같아져요.
그럼 이걸 그린 그래프도 단위만 달라진 채로
(편의상 복붙했어요)
점근선은 각각 S=1년, P=1년이 아닌
S=1t, P=1t
이렇게 될 거고 찍혀있는 점들도 다 그 단위에요
쓸만한 상황 몇 개를 가져왔어요.
[1] 2023 수능특강 지구과학 II 169p 4번
공전 주기가 A<B<C인데
회합 주기도 A<B<C라는 것에서
최소한 A, B는 확실히 X를 기준으로 내행성임이 보여요
그런데 A가 내행성임을 알면,
나머지 자료들은 거의 필요가 없어요 ^-^
'공전 주기는 A<B<C<D이다.' 대신
'공전 주기는 A<X이다' 하나만 줘도 풀리는 문제였어요.
A의 공전 주기를 P_A,
X와 A의 회합 주기를 S_A라 하면
단위를 (X의 공전 주기)로 뒀을 때 다음이 성립해요
이때 표에서 P_A : S_A = 5 : 6임을 알려줬으니
각각을 5k*(X의 공전 주기), 6k*(X의 공전 주기)로 두면 이런데,
풀면 30k=(X의 공전 주기),
P의 공전 주기가 5k=100일이니까
X의 공전 주기는 600일이네요!
이제 계산을 더 할 필요가 없어요.
B와의 회합 주기가 600일 = X의 공전 주기인데
(회합 주기)=(X의 공전 주기)인 유일한 점이 (0.5, 1)이네요.
바로 B의 공전 주기가 X의 반, 300일임이 보여요
그럼 C는 당연히 외행성일테고,
D는 그보다 공전 주기가 길어 ㄴ은 4200보다 작네요.
그래서 답이 5번으로 별 걱정 없이 바로 나와요.
[2] 2022 수능완성 지구과학 II 실전모의고사 5회 16번
행성은 아니지만, 다른 예시로
(0.5, 1)이라는 점을 떠올리면
여기서 ㄴ을 보자마자 맞출 수 있어요.
[3] 2022 수능완성 지구과학 II 실전 모의고사 4회 15번
회합 주기는 어쨌든 공전 각속도 차에서 생기는 것이니까
A에서 측정한 C의 회합 주기 = C에서 측정한 A의 회합 주기
B에서 측정한 C의 회합 주기 = C에서 측정한 B의 회합 주기
이 두 식이 성립하는데,
공전 주기는 금성<목성<해왕성이니까
확실히 C가 목성은 아니고,
0.64, 0.617이라는 거의 비슷한 값을 내기 위해선
아무래도 A, B가 그래프의 오른쪽 멀리에 위치해야 할 것 같네요.
그래서 C가 금성인게 금방 생각날 거고
그 중 회합 주기가 더 짧은 B가 해왕성임을
눈으로 바로 알 수 있어요.
V. 사용 예시(2) - 그래프 모양의 활용
아까 잠깐 적었던 내용 중 하나가
(P=1 오른쪽의 그래프를 P=1에 대하여 대칭시키고
2만큼 내린 그래프의 일부를 왼쪽 그래프라 생각하면 편함)
이었는데
이거 쓰면 편한 문제가 지금 다른 시험지에 들어가 있어서,,,
예제를 가져오진 못하고,
그냥 P=1 왼쪽 기울기가 오른쪽보다 가파르단 것을 이용하면
생각보다 의외로 빠르게 잘 풀리는 경우가 있어요.
막힐 때 한번쯤 생각해봐요!
끝
크게 어려운 과목은 아니지만
16시 넘어서 푸는 시험이다보니 ㅠ
지2는 절대 제정신으로 볼 수 없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어이없는 실수가 많이 나올텐데,
그럴 상황을 대비해서 이런 계산 줄이는 스킬이나
Plan B, C, 필요하면 E까지도
간단하게 알아두면 좋을 것 같아요~
(지질도 문제도 눈풀/단면도/3D 그림 다 준비해주세요!!)
0 XDK (+11,000)
-
10,000
-
1,000
-
그 EQ의 천재들 프사하신 분들중 인상깊었던 두분 있었는데
-
3모 이정도면 얄심히 하면 으데까지 갈수잇을까... 1
국어 3 수학 1컷 영어 1 쌍윤21 국어를 못본게... 느므 한이다.ㅣㅣ
-
아 이 닉을 한 사럼이 대체 오ㅑ있냐고 닉변하려는데 아ㅐ
-
작수 기준 말고 24나 23기준으로
-
이제 고3 첫 중간고사 시험기간인데, 국어 시험범위가 수능특강 문학, 독서...
-
생윤 0
공부한만큼 나오나요?
-
한의대시절 꿈 3
“주술회전 한의원“ 차리기 진료실에 마법진 그려놓고 한약 포션병에 담아서 주기...
-
난 내가 무슨 실모를 풀어도 1등급이라고 생각하면서 살아왔는데 계산 몇개 나가니까...
-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6평을 쳐야할지 고민입니다 계획대로라면 7월초쯤 모의평가 칠...
-
기하 개념 돌리고 기출하려는데 개념강의 뭐듣죠?
-
이거 많이 어렵나요?
-
하루 동안 총 좋아요 400개 넘엇는데 관리자님 이정도면 최고기록 아닙니까??
-
둘 중 뭐가 좋을까요? 그리고 기하 개념은 뭘로 잡는게 좋을까요?
-
30대부터 적당히 돈땡기면서 워라밸 챙기기 불가능하지 않겠지?
-
통계 안외우고 맞추신분들은 어떻게 맞추셨나요? 저는 ebs인강 들었었는데 거기서...
-
언기쌍지?
-
금요일에 주간을 끝낼 자극적인 컨텐츠가 필요해요
-
난 초6
-
ㄱ강의 들으심 아님 실모 벅벅만 해서 알아서 체화하심
-
과외는 보통 그럴거같은데 독재 조교라 줘야되나 모르겟네;
-
공통범위임미다
-
관독 끝! 0
오늘 공부 열심히 했어
-
오노추 4
최애곡 중 하나인 아이유의 하루 끝
-
독재끝나고 항상 너무 예민해져잇음 밖으로 표출을 하지는 않는데 앞에 가고 있는...
-
응디 딱좋노~
-
오면 복습시작해야겠다
-
뭐가 더 어렵나요 수1 수2 미적 드릴드 2풀고 있는데 갠적으로 수1은 4규랑...
-
가슴이 시킨다 사문 개좃밥 재능으로 태어난걸 어떡해
-
이번주 자료 중에 마인드맵 유체랑 고체 같이 주셨나요? 한장으로 정리된건 둘 다...
-
학군지 지방 살고 있긴한데 학원까지 왕복 한시간 걸려서요 ㅠㅠ 6월부터 재종갈거라...
-
그냥 ㅈ같아서 못보겟네
-
유일하게 괜찮았던건 유튜브 정석민 헤겔 해설인데
-
으흐흐
-
가격 보고 ㅈㄴ 고민되네...
-
고3때가 존나 불안한 마음이 큰데..
-
다들 쎈 추천해주시더라고요 근데 인강 커리 쫓아가기가 너무 바빠서 ㅠ 그냥 김기현t...
-
분위기 유지 측먄에선 어짤 수 없지만 책상에서 잠올정도로 졸린 상태는 잠자는게 맞는건데 참..
-
안철수로 밖에 안보이나
-
아이고 덕코5만개 13
리액션 뭐해드릴까요
-
요즘 안보이네
-
ㄷㅋㅈㄱㄱ 2
닉변하고싶어요 안쓰는거 다 아니까 있는거 다 내놔!
-
이제 곧 시험기간 아닌가
-
이번에 공부 거의 처음 시작한 군수생인데 개념 진도 다 안나가도 무조건 가서 보는게 나을까요?
-
갑종같은새끼ㄷㄷ
-
옯인싸들의 농간에 또 놀아났던거구나
-
검색하는거랑 큰 차이는 없지만 그냥 뭔가 좋음
-
오늘은 면 먹어야지, 근데 파를 좀 곁들인...'파면 정식' 인증 쇄도 2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결정이 내려진 4일, 온라인에서는 파면을 기념해 '파와...
-
?
-
김범준 미쳤네 3
필기노트 하나에 거의 2만원 ㅋㅋㅋ 지금 스블 잘 올라오고 있어서 좀 좋게 봐줬더니
-
물구나무 설뻔햇네 처음이었음 이렇게졸린거
생윤러 .. 지나갑니다.. (대충 달팽이 이모지)

덕코 완전 감사해요
이 시간에 거의 몇달만에 들어왔는데 아다리
완전 오랜만이에요 ^-^ 그저께 올리신 글 잘 읽었어요!!회합주기는 화성 2y 2m 목성 1y 1m 금성 1y 7m 수성4m 정도 외우면 좋긴 한데 이오나 유로파의 회합주기를 외우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고 봐야 하니까 이건 그냥 계산

전부 적어두겠어요y,m로 적시는 했지만 일수가 어느정도 플마 차이가 있긴 합니다 대략 화성 780일 목성 399일 금성 584일 수성 116일

스펙트럼 파장 비슷하게 외워두면 되겠어요이 글 보고 지구과학1하길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예전 지1 시절보단 순한맛인걸요
저게 지구과학이야 물리야...물리 나형정도...?
사상 최고의 개꿀과목 지구과학2

인정!이 문제가 생각나네요 허허..

어설프게 공부하고 풀었을 때 벽을 느껴버렸던 문항,,난 맞췄지롱~
좋은 칼럼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