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1 칼럼]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017778
오르비 Castellar 지구과학1 외계행성탐사 칼럼 (08.15 배포).pdf
안녕하세요. Castellar 지구과학 N제 저자 김효길 입니다.
이제 수능이 100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장마는 7월 말에 끝난 줄 알았더니, 갑자기 8월 중순에 굵은 빗줄기를 쏟아내네요.
지구과학1 문제를 풀다 보면 이런 문장을 종종 마주칠 수 있습니다.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가 (커진다 / 작아진다).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중심별의 스펙트럼 최대 편이량이 (커진다 / 작아진다).
특별한 조건이 없다면, 정답은 ‘커진다’ 입니다.
이걸 모르는 수험생은 아마도 거의 없을 겁니다.
기출이나 EBS에서 지겹게 다루었던 내용이다보니 이제는 아예 외워버릴 정도인데요.
하지만 ‘왜 커지나요?’라고 물어보는 수험생도 굉장히 많고, 정확히 설명할 수 있는 수험생 또한 잘 없습니다.
그냥 단순히 암기하는 식으로 되어버리니, 그 원리나 이유를 잘 모르는 경우가 종종 보이는데요.
그래서 제가 좀 자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칼럼 내용을 pdf 파일로 첨부하였으니 필요하신 분들은 다운로드 받으시면 됩니다.)
설명하기에 앞서, 간단한 예제를 하나 풀어봅시다.
Castellar 지구과학1 N제 2020에 수록된 문항입니다.
당연히 제가 직접 출제했고요. 저작권은 저에게 있습니다.
방금 소개드린 내용을 전부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행성의 질량이 커지거나 작아질 때 중심별의 시선 속도 변화량이 변하는 원리와 이유를 어느정도 잘 알아두시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 새로운 지구과학1 콘텐츠도 기획 중이니 많은 기대 부탁드립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한번씩만 눌러주고 가주세요.
감사합니다.
0 XDK (+1,000)
-
1,000
-
뭐가나음
-
굿즈 사려고 줄섰는데 왼쪽이 애니메이트 대기줄이고 오른쪽이 교복 빌리는 줄임
-
대성중에서. 평소에 듣는 커리는 없음.
-
예를 들어 삼육대 같은 대학들도 다군은 3바퀴씩 도나?
-
건국끼얏호우~ 11
149->104->65
-
인프피나옴 나 멘헤라임
-
이거 거짓말이죠??
-
시대 목동관 0
목동 시대재종 다니는데 목동관에 배정됐다는게 본관이라는건가요? W관 막 이러는...
-
!?!
-
튀긴정벽 13
진짜임
-
What's up, guys? This is Ryan from Centum...
-
1차부터 6차 ~n차 까지 있던데 지금 2차까지 충원현황이 나왔습니다.. 많이...
-
수의대vs치대 3
처음에 연구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건수의를 1순위라고 생각하고 원서 접수 했는데 막상...
-
ㅈㄱㄴ 기적은 없는것인가…
-
원순은 킁킁 2
왜 들어옴?
-
한양대 빵꾸 얘기가 도는데 기계공학부 945.25로 될 만 할까요...? 최초...
-
작수 생1,지1 백분위 94,98임
-
유행 지난거 아는데 오해원 목소리 너무 귀여워서 계속 듣는중
-
진짜임
-
사이트에서 볼수있나
-
다른 대학 빨리 등록해야되는데 오전 10시에 처리한다고 공지써놓고 아직도 안해놨네 장난하나
-
2차인데 예비도 안 주네 그냥 전화추합 도파민이나 노려봐야 하나
-
재수해서 중대 갔는데 짝녀가 반수로 고대갔으면 어케해요?? 삼반수각임?? (내얘기아님)
-
기차지나간당 3
부지런행
-
건대 부동산 ㅜ 0
2차에서 한 명도 안 빠지네 ㅋㅋㅋㅋ 아쉽지만 마음 내려놓음.. 그래도 안정으로...
-
중력장에서는 충돌 시간이 0이거나 고려하지 않는 한 운동량이 보존되지 않는걸로 알고...
-
터진건가요? 안들어가지네요
-
일단 문이과 서성한쪽은 엄청 도는 중이고, 밑에 대학들도 연쇄적으로 엄청 돌거...
-
넵..!
-
강기분 0
타 선생님 강의듣다가 해설이 너무 안 맞아서 강기분을 들어볼까하는데 혹시...
-
경인교대 점공 0
860점대 점공 보여주실 분 계신가요? ㅠㅠ
-
건대 붙음 4
시립대 기다리는중..
-
시립대 입결 1등이라는 곳이 건대랑 겹치네 시립대 세무 933 최초합이 중앙대...
-
외대 기숙사 0
추합 학생은 기숙사 신청 못하나요……….?ㅠㅠ
-
한양대는 전과할 생각이에요 아직 더 알아봐야겠지만 상경 정시템 경금 정책 생각...
-
해 주실 착한 오르비언 구합니다
-
질문글에 대댓달리면 빨리 확인 해줘야댐
-
김승리t 커리 올오카 하고있는데 이것만 해야할까요 아니면 다른것도 풀면서 해야할까요...
-
앞의 2개는 컷이 무식하게 짜진 곳들임
-
어디가 나을거 같음? 재수 삼수 연고대 중경외시
-
성뱃갖고싶다
-
창문자리 햇빛 많이 들어오나요?
-
나랑 몸무게 바꿀사람 11
50-51kg 정도 됨
-
??? 정벽 의뱃달음? 12
물론 예상은 했지만 인증 아직 안떴을텐데..?
-
홍익대 합격생을 위한 노크선배 꿀팁 [홍대25][자취정보] 0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홍익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홍익대생, 홍익대...
-
그게 내꿈이다
-
빨개졌어
-
앉고~ 서고~ 2
스탑
-
수학 5등급 수포자가 수학을 파괴하고 전설이 되어야 함
-
중뱃안나오나 1
입학처에서 전화온거랑 최초 발표때 받은 예비 캡처 보냈는데 중뱃 나오겠지?
지1 까스테라 풀면서 천체문제 풀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교과 과정 내에서 변인 통제 시에 행성의 질량이 크면 시선속도가 크고,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시선속도가 크다.
이 두 개를 만족 해야하는데
왜 수능특강 3번 문제는 전자는 성립하고
별과 행성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시선속도가 크다를 만족 하지 않나요?
행성의 질량이 다르기 때문에 후자는 성립할 수가 없다로 판단된다면 이것은 교과과정 외 아닌가요
이렇게 문제를 출제 할 수 있는 건가요??
나머지 변인을 통제했을 때 행성의 질량이 크면 시선 속도 최댓값이 큰 것이고, 또 나머지 변인을 통제했을 때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시선 속도 최댓값이 큰 것인데, 문제의 상황은 행성의 질량과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 둘 모두가 통제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니,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멀더라도 다른 변인인 행성의 질량에 의해 시선 속도 최댓값이 클 수 있는겁니다. 문제의 의도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퍼즐을 풀라는 것이구요.
행성의 질량과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 둘 다 통제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시선속도는 행성의 질량이 영향이 크냐,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에 의한 영향이 크냐를 판단할 수 없는데
만약에 선지에서 (가)와 (나)의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 중 뭐가 더 큰지 물어보면 어떻게 답해야하나요?
해당 문제는 공전주기를 통해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나)가 더 멀다는 걸 알 수 있는데 그렇다면 그 요인만 고려하면 (나)가 시선속도 최댓값이 작아야하지만 그렇지 않으므로, 나머지 변인인 행성의 질량이 (나)가 더 크다는걸 알 수 있는 요인입니다. 해당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알고 있으면 어렵지 않게 풀 수 있는 퍼즐이에요~ 뭐가 더 영향이 큰지 어쩐지 생각할 이유가 없는데요.. 그걸 물어볼수도 없구요. 당연히, 만약 (나)의 시선속도 최댓값이 작게 제시된다면 풀수가 없죠.
공전주기를 통해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를 어떻게 판단하는 것인가요?
케플러 법칙에 의하면 M+m=k(a^3/p^2)인데 좌변의 m도 미지수라서
만약에 (가)의 행성질량이 엄청 컸더라면 공식에 의하여 별과 행성사이의 거리는 (가)가 더 길고
이때는 행성의 질량이 큰 것이 시선속도가 크다를 위반하고 별과 행성사이의 거리가 짧으면 시선속도가 크다는 성립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것 같습니다..
어떤 공식을 활용할때에는 그 공식이 가진 의미와 공식이 나오게된 배경을 전반적으로 이해해야합니다. 단순하게 공식만 적용하려 하면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교육과정 외의 것을 함부로 건드리면 안된다고들 하지요. 일단, 일반적으로 중심별의 질량은 행성의 질량에 비해 비교할 수 없이 크기 때문에 아무리 행성의 질량이 크게 차이나도 M+m값 자체는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중심별의 질량이 같다면 별과 행성 사이의 거리가 먼 쪽이 공전 주기가 길다고 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합니다. 쉽게 말하자면 이과황님이 말씀하신 '행성의 질량이 엄청 컸더라면' 자체가 성립이 안되는 가정입니다. 현 교육과정 지구과학1에서는 그냥 '행성의 공전궤도반지름이 클수록(별-행성 거리가 멀수록) 공점 주기가 길다' 라고 단순 암기를 요구하지요. 단순히 암기를 요구하는데에는 때론 이유가 있습니다. 이 모든 내용들과 원글 작성자께서 써주신 수식 전개의 논리 등을 모두 이해하고 습득하기에는 지구과학1에 배정된 시수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죠. 따라서 지구과학1에서는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짧을수록 중심별의 시선 속도 최댓값이 커진다' 와 '행성의 공전 궤도 반지름이 짧을수록 공전 주기가 짧다' 라는 내용을 단편적으로 암기하도록 하고 있고..이 문제도 이러한 내용만 암기하고 있으면 간단한 퍼즐 풀기로 풀 수 있는 문제입니다. 물론 저도 이렇게 겉핥기로 배울바에야 해당 단원을 지구과학1에서 빼버리는게 맞지 않겠나라는 생각이 들지만..이미 들어가 있는 이상 어쩌겠습니까.. 다행히 다음 교육과정에서는 빠지는 것 같더군요
장문 답글 감동이고 정말 감사드립니다…!! 이해 확실하게 되었습니다! 역시 닥마님 b
물2 하는 사람들은 이쪽은 저렇게 천체의 운동관련해서 나오면 유도해서 알수 있어요 ㅋㅋㅋ
서바에서 이렇게 해서 하나 맞은 적있음
여러분 지2를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