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포자인데 문제집을 추런해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009312
수포자가 초등학교때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망한 시점은 시계보기부터이고, 도형파트도 약합니다. 헌재는, 기초를 다시 잡을 겸 무료인 ebs에서 수학기출문제를 풀고 있는데 부족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1. 초등학교는 연산만 풀 수 있다면 상관 없다고 하던데 초등심화도 풀어야 하나요? 중학교 문제집은 현재 집에 있는게 수학방이라는 개념 문제집만 있습니다.
2. 기초 문제집은 개념부터 시작해서 쎈까지 풀어도 상관없나요?
3.고등학교는 특성화고라서 아는 문제집이라고는 블랙라벨이나 쎈밖에 모릅니다. 기초 문제집이나 어떤 수준의 문제집을 또 풀어야 할까요?
여담이지만, 수학 문제를 풀때 머리속으로 암기보다는 자꾸 손가락을 사용하는데 안 좋은 습관인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재수학원에서 진짜 미친놈 하나 있었음. 수능 1달 남은 시점이었음 애들 다 조용히...
-
나도 여장 4
해보고싶다
-
역대급 귀찮음
-
여장 ㅇㅈ 3
해도됨?
-
ㅅㅂ 나도 재종가고 싳다고
-
작년에 리밋 수강해서 큰 줄기 개념들은 알고 있는데 올해 실개완으로 혼자 해도...
-
진짜 ㄱㅇ로 오해할것같다
-
흠냐뇨잇 ㅅㅂ 생2 런해?
-
뭐라하지도 못하겠음 티원때 본인발로 나가셨다며... 그럼 우리 감독 누가하냐 스벌..
-
자퇴할려면 4
본교방문해야하네
-
n수를 좀 많이 했고 수능 원점수는 다 100점 나옵니다. 학원에서 아이들을 정말...
-
첫 풀이 3000덕 드리겠습니다! (+자작 아닙니당)
-
진짜 그냥 숫자 자체가 되게 마음에드는 그런거
-
지금 내부 회의중이시라함 ㅋㅋㅋ
-
보통 국어 1 수학 4~5 영어 2~3 25수능은 화작98 미적50 영어79...
-
이상한꿈 ㅈㄴ꾸더라
-
흐에ㅣㅣㅔ
-
신택스랑 파데중 고민중이에요. 제발 알려주세요 선생님들
-
둘중 어디고름?
-
하루에 한번씩 추가모집발표 하는건가요?
-
이거 어카냐
-
말그렇게하지말라하니까 적반하장으로 뭐라하길래 진짜 내가한두번참은거아니고 적으면...
-
지금 장재원 공통 미적 듣고았고 강기원 미적 대기 스2쯤 풀려서 어떻게 할까...
-
판단부탁 2
디엠 분석가 구함 소개팅할사람한테 중매인이 내사진 보냈는데 반응 분석좀
-
성관계하다가 여자인줄 알았는데 보추여서 ㅈㄴ싸우다가 깨버렸는데 이거 좋은꿈이야
-
현역은 깡이 있어야지 자신있게 가자
-
개쩌는 공부계획 1
a4로 나만의 수학교재를 만들기 아 잇올에서 스테이플러 하루종일 찍어댈거임
-
고3 수학 노베 3
다시 고1 수학부터 하는데 열심히 하면 노베 극복할 수 있겠죠? 하루에 5~6시간 합니다
-
수학 못해서 못 알려주겠다
-
잘때마저도 좆같게
-
소신발언 2
경제 경영이 문과에서 제일 높은데 상경이라 해야되는거아님??
-
반수 상담 1
현역 수능 언미물지 97 87 2 68 96 아주대 수시 교과 붙어서 옴 반수해서...
-
난 스티카라고 발음함
-
팔로워 목록은 팔로우한 순서대로이다….? 대충 맞는 것 같은데.. 그럼 다들 첫...
-
며칠 전까진 텐타시온 노래에 꽂혀서 주머니에 총 넣고 다녔는데 야구 시즌 다가오니까...
-
국민대 정시 추가합격생인데 기숙사 들어가기 많이 힘든가요??
-
9모 다시보는줄 알았음
-
근데 작수는 약간 20 21 은 기출에서 못보던 소재인것같음
-
진짜 궁금 만약 저 둘 다 되는 성적이라면?
-
기가 쭉쭉 빨리네..
-
2등급정도되면 n제 ㅈㄴ푸는게 맞지않나?
-
기생집 3점 문제집 다 풀었고 단원당 평균 4개 틀렸는데 어삼쉬사랑 4점 기출문제로...
-
레알피곤... 2
번역일은 거의 없었는데 행정일이 또 많아져서 바빴다는... 눈 감으면 바로 잘거 같다...
-
남들이 고민하는 시간에 이분이 둘다 가져가시고 정치까지 하심 ㅇㅇ
-
주식을 추천해주고 죽이고 싶은 사람에겐 선물을 추천해주고 사랑하는 사람에겐 N수를 추천해줘라
-
근데 이미 사서 풀고있긴함
-
나만 에피없어 16
사실 대학도 못갔어
수능을 준비하시는 거라면 초등학교~고1 과정은 어떤 문제집을 선택하는지가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강의나 자습서 등을 통해 이론을 배웠다면 쎈 정도의 문제집을 풀면 될 것 같네요.
제가 자습서라고 한 것은 소위 말하는 '수학의 정석' 같은 류의 책을 말하는 것인데, 쎈처럼 문제가 잔뜩 실린 것보다는 이론에 대한 설명이 주가 되고, 문제는 배운 내용을 적용해 보는 정도로만 실린 책을 말한 것입니다. 수학의 정석이 초~중 과정은 출판되지 않는 것으로 아는데, 제가 예전에 공부했던 기억을 떠올려 보면 <풍산자>가 괜찮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런데 수포자라면 자습서를 보고 낯선 개념을 스스로 이해하는 건 힘들 수 있다고 생각하고... 고등 EBSi의 <50일 수학>이라는 교재와 강의를 통해 이론을 배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요약하자면 자습서나 강의(강의를 추천합니다)를 통해 이론을 배우고, 쎈 같은 적당한 문제집 아무거나 풀면서 배운 바를 익히면 되겠습니다.
계산을 할 때 암산이 힘들어 손가락을 사용할 정도라면, 사칙연산 등 간단한 계산 문제가 많이 실린 <기탄수학>같은 교재를 통해 연산 훈련을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주제넘는 참견입니다마는... 지금 말씀하신 정도의 상태라면 수능 수학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적어도 2~3년 간은 아주 열심히 공부해야 할 것 같습니다. 목표로 하는 대학과 학과가 어떤 곳인지는 모르겠지만, 가능하면 수능 점수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논술 같은 전형이라든가, 수능 점수로 입학하는 전형이라도 눈을 좀 낮춰서 수학 점수를 반영하지 않는 대학과 학과에 관심을 갖는 것도 권하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