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bi조선생 [112180] · MS 2005 · 쪽지

2015-03-13 16:13:08
조회수 9,772

경영학과 진학, 진로 관련 -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98439

3월이 벌써 절반쯤 지나갔네요. 여전히 봄 같지 않은 날씨 때문에, 몸도 마음도 참 추운 3월입니다.

고학번 화석(내가 화석이라니)이라서 더 추운 건지...


해야 할 일은 산더미처럼 쌓여있지만. 하기 싫어서 글 하나 써 봅니다.


해마다 이맘때쯤 많이 받는 쪽지 중에, 이런 게 많습니다. (논술 관련 질문 다음으로 많습니다.)


"저는 ***가 되고 싶은데요. 그러려면 경영학과에 가야겠죠?"

"저는 경영학과에 꼭 가고 싶어요. 뭘 준비해야 할까요?"

"정말로 경영학과 나오면 취직이 잘 되나요?" 등등....


많은 학생들이 경영학에 관심을 갖고 계신 거 같습니다. 그런데 생각보다 진로에 대한 정보는 부족한 듯 싶고요.


그래서 경영학과 진학이나, 진로 관련해서 여러분들이 궁금한 점에 대해서 최대한 알려드려 볼 생각입니다.

뭐든지 물어보세요 :)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셔틀버스예약! · 556153 · 15/03/13 16:16

    타 과에 비해서 취업시 경영대만이 갖는 장점은 무엇일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21 · MS 2005

    무플 걱정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_._)

    각 기업에서 입사지원시 자격요건으로 "상경계 전공자"를 걸어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기타 인문계열 취준생들이 지원하기 어려워지니까 일종의 제한경쟁으로 인한 이점을 누릴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 될 수 있죠.

    (경영대 뿐만 아니라, 경제학과, 통계학과 등의 상경계 공통사항)

  • 시나브로♥ · 537865 · 15/03/13 20:32 · MS 2014

    이런경우 자격요건에 이중전공이나 복수전공이 포함된건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37 · MS 2005

    네, 본전공이 뭔지는 상관 없습니다.

  • 뮤서움 · 550172 · 15/03/13 16:22 · MS 2014

    공대 복전이나 이중전공 많이 하나요?
    그리고 한다면 경쟁력 잇을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29 · MS 2005

    경영학을 제1전공으로, 공과대학 전공중 하나를 제2전공으로 공부하신다는 말씀이신가요?

    개인적으로, 경영학 + 공학(컴퓨터공학, 전자공학 등) or 수학 등의 테크를 타는 건 엄청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합니다.

    공대 분들이 경영학을 이중전공하는 경우는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으나, 경영학이 본전공인 학생이 공대에서 이중전공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공부하기 어려워서.....)

    할 수만 있다면,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 + 경영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겁니다.

  • rheorkwk12 · 545625 · 15/03/15 00:19 · MS 2017

    실제로 하시는 분들도 있나요?? 저도 경영학과 전공으로 하고 이과전공 복수전공 해보고싶어서요ㅠㅠ 많이 힘들겠지만...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3:54 · MS 2005

    많지는 않으신 거 같습니다. 그런데, 처음부터 뜻이 있었던 분들은 도전하시는 경우가 많더라구요.

  • 신촌의독수리 · 513818 · 15/03/13 16:27

    경영학과 수업 재밌나요?ㅎㅎㅎㅎㅎ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30 · MS 2005

    도...독수리....!?

    경영학과 수업.. 재밌습니다. (라고 말해야겠죠) ㅋㅋ

    사실 경영학과 수업은 재미로 듣는다기보다는, 의무로 들어왔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정치외교학과 수업이 더 재밌었습니다.

  • 신촌의독수리 · 513818 · 15/03/13 16:32

    제가 나중에 사업을 하고싶어서 회사경영 , 그리고 주식경제 쪽으로 공부를 심화적으로 생각인데 경영학과에선 다배우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38 · MS 2005

    전반적으로 다 배울 수 있습니다. 회계/재무/마케팅/생산운영관리 등의 전공기초과목을 수강한 후, 각자 자신의 관심 분야에 대한 선택과목을 이수하게 되는데요.

    더 많이 배우고 싶은 쪽으로 자신의 세부전공을 설정해서 공부할 수 있습니다.

  • 고사국합격자 · 396796 · 15/03/13 16:27 · MS 2011

    cfa대해 간략히 설명해주세요 cpa와 비교도좀 부탁드립다 또한 경영학과에서 컴공 복수전공 한 효과가 있을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36 · MS 2005

    음.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CFA는 재무, 투자와 관련된 국제자격증이고, CPA는 회계분야의 최고 전문자격증입니다.

    CFA는 미국에서 주관하고 있고,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이기는 하지만, 그 자체로 직업이 되지는 않습니다. CFA시험을 pass하고, 증권사나 보험사 등에서 일하게 되는 거구요.

    CPA는 "회계사"인데요. 회계사도 재무, 투자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이지만, 여기에 더해서 기업의 회계자료에 대한 "감사"업무를 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회계사는 국제자격증은 아니고, 한국회계사 (KICPA), 미국회계사 (AICPA) 이렇게 나라마다 자격증이 따로 있을 겁니다.

    재무, 증권, 투자 관련된 일을 하고 싶다면 CFA 시험을, 회계, 세무, 감사, 컨설팅 업무를 하고 싶다면 CPA 시험을 준비하시는 게 일반적입니다.

    경영학과에서 컴퓨터공학 복수전공.. 하면 위에도 설명했듯이,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경영학에서 사실 모델링이나 시장분석, 전략수립 등 여러 측면에서 컴퓨터공학의 도움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이죠.

  • 신촌의독수리 · 513818 · 15/03/13 16:39

    혹시 천사세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41 · MS 2005

    천은... 안 사겠습니다 ㅋㅋㅋ (부끄럽게...)

  • 다기능 · 563394 · 15/03/13 16:40 · MS 2015

    경영학과를 나와서 회사의 사원으로 일하는것 말고,다른 직업은 어떤것이 있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6:46 · MS 2005

    사실 저는 모두가 다 회사원이라고 생각하는데요. 단, 어느 회사에서 일하는지가 다를 뿐 ^^

    일반적인 기업의 사원 이외에, 생각나는대로 쭉 나열해 보겠습니다.

    1. 금융권 종사자 (펀드매니저, 외환딜러, 투자자문사 등)

    2. 컨설팅 업계 (경영진단/자문, HR컨설팅 등)

    3. 금융공기업 (금융감독원, 한국거래소 등)

    4. 공무원 (5급 공개경쟁시험-구. 행시-재경직, 일반행정직 등)

    5. 경영학자 (석/박사 - 각급 연구소 - 교수 등)

    6. 회계사/세무사

    7. 법조인 (사법시험 / 로스쿨 - 변호사 / 판사 / 검사)

    8. 마케팅 전문가 (홍보전략 : 광고회사 회사원?....)

    9. 창업 (벤처 / 스타트업)


    더 생각나는대로 추가해 볼게요. 이따가.

    아....

    10. 학원강사 ( ^^; )

    11. PD / 영화감독 (김한민 감독)

  • 아스나 · 511046 · 15/03/13 17:13

    한전 수자원공사 이런 공기업은 다 이과만뽑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20 · MS 2005

    아닙니다. 제가 누락했네요.

    사실, 공기업, 사기업 구분 없이 모든 회사에서, 모든 전공을 가진 지원자들을 다 뽑습니다.

    경영학과를 나와서 조금이라도, 자기 전공의 도움을 받는 분야 위주로 먼저 생각하다 보니까 안 썼네요. 죄송합니다.

  • 아스나 · 511046 · 15/03/13 17:29

    아니에요 ㄷㄷ 이런글 써주셔서 오히려 감사합니다. 모든대기업공기업이 모든학과다뽑긴하는데 이과를 많이뽑는거군요? 공기업도 대기업처럼 이과를 많이뽑나요? (아 이건 경영학과에 관련된게아니라 잘 모르시려나 ㅠ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39 · MS 2005

    1. 아무래도 많은 기업들이 제품을 만드는 데에는 "기술"이 필요하고, 엔지니어가 아닌 사무직으로 근무하더라도, 기술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공계 전공자를 더 많이 뽑을 수 밖에 없을 겁니다.

    2. 회사마다 다르다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보통 행정직의 경우에는, 문/이과 전공 무관하게 모두 다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가 많고요.

    기술직이나, 사업분야와 관련된 기술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사무직에 있어서는 이공계를 선호하게 됩니다.

  • 아스나 · 511046 · 15/03/13 17:12

    경영학과와 경제학과의 차이점이무엇인가요? 그리고 어디가 취직에 더유리할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18 · MS 2005

    쉽게 설명해 드리자면, 경영학은 "어떻게 하면 가치를 창출하고 성장시킬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주를 이루고, (더 쉽게 말하면, 돈 버는 방법)

    경제학은 "돈이 어떻게 시장에서 굴러다니나" 를 연구하는 것이 주된 관심사입니다.

    포인트가 꽤 다르죠. 경영학은 남의 돈에는 크게 신경 안 쓰는데, 경제학은 남의 돈을 포함해서 시장경제 전체가 어떻게 운영되는지를 신경 쓰니까요.

    취직에 있어서 유불리는 크지 않다고 봅니다. 전공의 특성상 약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어요. 예를 들자면, 행시 재경직 등을 준비하시는 데에는, 경제학을 전공하시는 게 더 유리하고, 컨설턴트를 꿈꾸신다면 경영학이 좀 더 도움이 된다든지. 이런 식입니다.

  • 아스나 · 511046 · 15/03/13 17:22

    우와 ㅎㅎ 감사합니다. 그런데 행시볼때 원하는 직렬을 자기가 정할수있는거에요? 맞다면 행시중에 제일 인기있는 직렬이 무엇인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25 · MS 2005

    직렬이 다양합니다. 재경직(지식경제부, 금융위원회, 국세청 등의 부처로 가는 직렬), 일반행정직 (가장 많은 인원 선발, 거의 전체 부처로 다 가는 직렬), 교육행정직 (교육부?) 이런 식으로 골라서 시험 볼 수 있습니다.

    가장 인기있는 직렬이라... 음. 글쎄요. 응시인원은 일반행정직이 제일 많지 않나 싶고, 재경직도 인기 많은 것 같고요. 그 부분은 정확하게 계산하기가 어렵지 않나 싶어요. ^^;

  • 아스나 · 511046 · 15/03/13 17:26

    그렇군요 ㅎㅎ 감사합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29 · MS 2005

    ^^

  • nopaynorespect · 562407 · 15/03/13 17:29 · MS 2015

    1.금융감독원 경영직렬의 경우 경영학과가 아니면 준비하기가 어렵나요 ?
    금감원 준비에 있어서 경영학과가 타 과에 가지는 이점이 궁금하네요.
    그리고 연고대 비상경의 경우 금감원 준비하는 것이 가능한지 , 혹은 어떠한지 알고싶습니다.

    2.7급 공무원 준비에 있어서 경영학과가 도움이 되나요?
    만약 아니라면 공무원 준비에 제일 도움이 되는 과는 어떤 과인지 알고싶네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34 · MS 2005

    1. 경영학과 아니어도, 경영직렬 합격하시는 분들이 꽤 있다고 들었습니다. (경영학과 선배 중에 법학직렬 합격하신 분도 계셨었습니다.)

    경영직렬이 아무래도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하고, 경영학과에서 배우는 전공과목들이 시험 과목과 연결되는 측면이 있기 때문에, 금융감독원 입사시험을 준비하는 데에 유,무형의 이익이 있다고 볼 수 있죠.

    상경/비상경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어차피 필기시험을 통과해야 하는 거고, 꼭 학교 전공수업에서 이 과목들을 들어야만 시험준비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니까요.

    (회계, 세무 학원들, 인강, 많이 있습니다 ㅋㅋ)

    2. 공무원 시험은 사실 전공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급수와 무관하게, 직렬별로 시험과목의 차이가 다소 있기 때문에. 특정 학과 전공자들이 약간의 유리함을 가져갈 수는 있겠죠.

    위에서 예로 들었던 5급 재경직 같은 경우, 경제학과의 심화 전공과목들이 시험과목으로 들어가 있을 겁니다. 이 경우는 경제학과가 유리할 수 있을 거고요.

    행정법, 민법, 정치학 등도 들어가 있으니까, 각 전공자들이 약간씩은 유리할 수 있겠죠. 그렇지만, 기본적으로 수험공부는 학교와 별개로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과정이 필요할 겁니다.

  • Holy Knight · 499969 · 15/03/13 17:38 · MS 2014

    컨설팅업이 꿈입니다. 경영학과 나와서 무조건적으로 cpa를 취득해야할까요?
    cpa를 딴후에 학벌의 영향이 크다는데 맞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7:42 · MS 2005

    1. 컨설턴트가 되기 위해서 CPA 자격증을 취득할 필요는 없습니다. 단, 회계사 업무를 하시던 분들이 컨설팅 쪽을 함께 하시게 되는 경우가 꽤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무조건 따야 하는 건 아니지만, 아무래도 회계사 자격증을 가진 상태에서 컨설팅 업무를 하시게 된다면 더욱 경쟁력을 갖출 수 있지 않을까요.

    2. 학벌이라.. 영향이 크다면 크고, 작다면 작은 부분인데요.

    전문자격증의 유무 > 학벌의 영향력 이렇게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리고, 그 이후에는... 우선 라이센스가 있으면, 학벌보다는 실무능력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veiner · 526390 · 15/03/13 18:07 · MS 2014

    산업인력개발학을 진입할 예정인 학생입니다. 복수전공으로 경영 혹은 경제를 생각중인데 선택의 폭은 비슷할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8:14 · MS 2005

    경영학을 복수전공하신다면, HRD 말고 다른 분야쪽 수업을 많이 들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아마, 수업은 인사관리 쪽을 들으면 편하긴 하실텐데... 그렇게 되면, 학점 잘 받기는 쉬워도, 나중에 남는 건 별로 없으실 거 같아요.

    경제학을 복수전공하신다면, 노동경제학 쪽과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쪽은 제가 자세히는 모르지만... 선택의 폭은 확실히 넓어지실 겁니다.

  • veiner · 526390 · 15/03/13 20:46 · MS 2014

    네 인사관리는 전공수업에서 어느정도 배울수 있다고 들었어요 저도 여러가지 더 조사해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33 · MS 2005

    ^^

  • 호지게스 · 557839 · 15/03/13 18:09 · MS 2015

    딱히 꿈이없고 그냥 돈을 많이벌고싶고 경영경제쪽이 재밌어보여서 경영학과지망하는 학생입니다.경영학과나와서 갖는직업중에서도 수입이 상위권인직업은 뭐가있을까요?
    그리고 공대이중전공하면 많이힘든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8:17 · MS 2005

    많은 분들이 호지게스 님과 같은 생각으로 경영학과에 오십니다.

    수입이 상위권인 직업이라... 같은 직업을 가져도, 워낙 개인차가 심한 것이 요즘 상황이다 보니 뭐라고 딱 정해서 말씀드리기가 힘드네요.

    그리고, 직업과 직장을 분리해서 생각하실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어떤 직업을 가졌느냐도 중요하지만, 어느 직장에서 일하느냐에 따라 연봉이나 처우는 많이 달라지니까요.

    공대 이중전공은, 쉽지는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사실 공대 뿐만 아니라, 이중전공 자체가 힘들긴 합니다. 이수학점도 높아지고, 아무래도 두 가지 분야를 다 공부하는 게 쉽진 않죠.

  • 호지게스 · 557839 · 15/03/13 18:18 · MS 2015

    감사합니다! 우선 들어가고 고민해봐야겠네요

  • 키드 · 497960 · 15/03/13 18:14 · MS 2014

    성공해서 찾아뵙겠습니다.
    성대성애자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3 18:18 · MS 2005

    ^^ 응원하겠습니다

  • 고대하던외고 · 541907 · 15/03/13 18:38 · MS 2014

    지금사실 연세대경영학과 가려고하고 부전공을 컴퓨터공학으로 하려고하는 고1학생입니다. 한가질문드리고싶은건.... 경제와 경영의 차이점이궁금해요.. 사실되게고민을 많이했엇던 부분이기도하구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2:57 · MS 2005

    앞서 간략하게 적어드렸었는데요. 몇마디 덧붙여보자면.

    경제학은, 각 경제주체들 (정부, 가계, 기업) 의 행동과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사회분석적 학문입니다. 사회 전체적인 관점에서, 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고 있는지 (혹은, 효율적으로 배분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사회 전체의 효용이 증대되고 있는지 (혹은 증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다룹니다.

    경영학은, 사회 전체에 주목하기보다는 "기업"이 그 성과를 높이고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는 방법에 주목하게 됩니다.

  • 고대하던외고 · 541907 · 15/03/15 01:23 · MS 2014

    그렇군요.. 그러면 경영학을 전공하면 기업에 대해 알수있다는건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3:55 · MS 2005

    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그렇습니다.

  • 매생매생 · 554590 · 15/03/13 19:14 · MS 2015

    서연고 경영도 취업시 많이..힘든가요..?
    연고경 목표로 하고 있고 가서 컴공 복전을 할건데
    대기업 들어가고 싶어요...ㅠ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2:58 · MS 2005

    요즘 취업은 누구나 다 힘든 것 같습니다. 특정 학교, 특정 학과에 진학한다고 해서 뭔가 결과가 보장되는 시대는 지나간 것 같습니다..

  • Kbene · 554563 · 15/03/13 19:36 · MS 2015

    비교과 경제 관련으로 채워도 괜찮을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2:59 · MS 2005

    스펙이 어떤 쪽으로 쌓여 있느냐보다는, 그 활동들을 통해서 어떤 스토리를 이끌어낼 수 있느냐가 더 중요합니다.

    경제 관련 활동을 많이 하셨다면, 충분히 경영학과 진학과 관련지어서 어필할 수 있을 겁니다.

  • 사수러브 · 561167 · 15/03/13 19:38

    고경 >>>> 설경 트루???

  • 아스나 · 511046 · 15/03/13 22:05

    ????? 이분고대훌리?

  • 무릉계 · 414735 · 15/03/13 22:44 · MS 2012

    둘다 봍고난 후 고경가세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00 · MS 2005

    하나 빼고 다 좋다고 합니다. 그 하나가 뭔지....진실은 저 멀리...

  • 2015수리만점 · 531527 · 15/03/14 16:30 · MS 2014

    제친구가 고경이랑 설대농경제 붙엇는데 설대감ㅋㅋ

  • 네네치킨 · 472116 · 15/03/13 19:52

    물류쪽으로 진로를 잡고있습니다.
    예를 들면 현대글로비스나 cj gls 등등 여러 물류관련기업이 있는데 경영학과 학생중에서 저처럼 물류쪽으로 취직하는 학생들이 있나요
    그리고 물류쪽은 경영 학과가 나은지 경제학과가 나은제 궁금합니다.
    아 또 대학교에 물류관련 동아리가 있는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01 · MS 2005

    유통/물류/생산관리 쪽으로 취업하시는 분들 많이 있습니다.

    물류 쪽은 경영학과 or 산업공학과 쪽이 더 좋다고 봅니다.

    유통/물류 관련 학회가 있습니다.

  • 물천바라기 · 559202 · 15/03/13 19:55 · MS 2015

    산업공학과도 상경계열로 볼 수 있나요?

  • a Doom · 552040 · 15/03/14 01:13 · MS 2015

    거기는 이과인데요

  • 물천바라기 · 559202 · 15/03/14 09:47 · MS 2015

    통계도 엄밀히 따지면 이과계열이고 상경이라 여쭤본거에요 ㅎ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02 · MS 2005

    커리큘럼상 상당 부분 유사하나, 기업들이 상경계열로 분류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 jeka · 551149 · 15/03/13 20:17 · MS 2015

    서성한 경영도 bcg나 맥킨지 들어가는사람 있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02 · MS 2005

    당연합니다. 많이 가신다고 알고 있습니다.

  • 요정왕 할리퀸 · 484234 · 15/03/13 20:19 · MS 2013

    안녕하세요!
    경영학과에 진학한 후 전략, 회계, 재무를 공부한 후, 컨설팅 업체에서 컨설턴트로 일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질문 드리겠습니다.

    1. 경영학과 단일(심화)전공을 택하는 학생이 제법 있을까요?
    개설된 전략, 회계, 재무 강의를 모두 다 듣고, 그 외에 다른 경영 과목들도 수강하고 싶은데 졸업 학점이라는 게 있잖아요.
    대략 학기당 시간표 짜본 결과 계절학기 포함해도 4년 졸업은 무리일 것 같아 복수전공 안 하고, 심화전공으로 갈까 생각 중입니다.

    2. 경영학과에서 통계학을 복수전공하는 학생 중 통계학 학사과정까지만 마치는 경우가 있나요?
    사실 복수전공에도 흥미가 있긴 해서 말이죠.
    경영을 주전공으로 하고, 복수 전공으로는 경제학, 통계학 등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통계학과의 경우 대학원을 나와야 쓸만하다고 하더라구요.
    저는 컨설팅 업무를 2~3년 정도 익히고 MBA를 간 후, 다시 컨설팅 업체로 돌아오고 싶거든요.
    MBA를 가는데 통계학 석사, 박사과정까지 밟는 것은 지나치다고 생각해서 아예 통계학과로의 복수전공을 피하는게 나을지 고민입니다.

    3. 부전공도 취업 시 인정을 받나요?
    복수전공 학점이 안 나오거나, 경제학, 통계학을 다 듣고 싶어서 부전공도 고려 중인데요.
    사실 부전공 필요 학점이 복수전공에 비하면 낮잖아요.
    부전공이 복수전공 만큼은 아닐지라도 학문을 배우긴 했다고 인정해 줄까 모르겠습니다.
    여차할 경우 주전공 1개, 복수전공 1개로 하고 관심 있는 다른 과목은 청강이나 독학을 하는 방법도 생각 중입니다.

    4. CPA의 경우 2년 실무수습을 안 받을 생각이라면 자격증을 따지 않는게 나을까요?
    회계가 관심 분야라 CPA 시험을 볼 생각입니다.
    하지만 저는 회계법인 말고 컨설팅 쪽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CPA를 취득하더라도 실무수습을 못 받을 것 같은데요. (회계법인도 컨설팅 겸업하는 경우가 있지만, 꼭 가고 싶은 컨설팅 업체가 있어서요. 뭐 이것도 컨설팅 업체에 들어갈 실력과 경험이 있어야 하겠지만;)
    그럴 경우 CPA 시험을 합격했다는 것만으로 장점이 있을지, 아니면 의미 없을지 궁금합니다.

    질문이 많이 길어졌네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09 · MS 2005

    1. 저도 단일전공이고, 제 동기들 대부분이 단일전공으로 졸업했습니다. (연계전공 외교통상학 이수중이나, 이는 이중전공이 아닙니다) 공부하고 싶고, 일하고 싶은 분야의 수업을 심도 있게 들으시는 편도 좋습니다.

    2. MBA는, 사실 경영학을 학부에서 전공한 분들을 위한 과정이 아닙니다. 학부에서 다른 학문을 배운 분들이, 전문석사과정을 통해서 경영학을 배우는 거거든요.

    학부 : 주전공 경영학 / 제2전공 통계학 -> 컨설팅펌 입사 -> 경영학석사과정 (MBA 아님) or 해외 Business School 이런 식으로 많이 가시는 거 같습니다.

    3. 부전공도 없는 것보단 당연히 나을 겁니다. 그런데, 과거와 달리 학부를 오래 다니는 경향이 생기면서, 이중전공으로 졸업하는 경우가 많아서 예전만큼 인정해주는 분위기는 아닌 듯 합니다.

    4. CPA 합격 후, 회계와 직접관련이 없는 분야에서 일한다 하더라도, 근무경력을 인정받아 자격증을 부여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직접 관련 없는 분야는 2년 근무가 아니라 5년 근무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전문자격증의 경우, 사실 시험을 통과했다는 사실이 중요한 게 아니라, 실무수습 과정을 거쳐서 해당 자격증을 가진 사람들만 할 수 있는 특수한 일에 대해 "실무능력"을 갖춘다는 것이 더 큰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시험에만 합격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장점이 되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 요정왕 할리퀸 · 484234 · 15/03/14 17:39 · MS 2013

    자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경영학 석사 과정이랑 해외 비즈니스 스쿨에 대해 좀 더 찾아봐야 할 것 같네요.
    다시 한 번 시간 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앞으로의 진로 결정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7:56 · MS 2005

    또 궁금한점 있으시면 언제든 물어보세요 ^^

  • 유코감자 · 529471 · 15/03/13 20:23 · MS 2014

    경북대 비상경/충남대 상경이면 어디가는기 낫나요 집이 대구면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10 · MS 2005

    앞으로 어떤 일을 하고 싶으신지에 따라 다른 것 같습니다... 어려운 질문이네요.

    장래희망이 어떤 쪽인지 적어주시면 다시 댓글 달겠습니다.

  • 유코감자 · 529471 · 15/03/15 21:52 · MS 2014

    전 금융쪽이나 공기업으로 가고싶습니다..근데 너무 고민이되네여 아무래도 아무런 연고가 없어서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22:03 · MS 2005

    시중은행, 증권사 쪽을 원하신다면 멀더라도 충남대 상경계를, 공기업 가시려면 경북대 가시면 됩니다.

    공기업이든, 어디든, 입사필기시험을 치러서 선발하는 경우는, 자신의 본전공과 크게 상관없이 필기시험 실력으로 승부를 볼 기회가 남아있습니다.

    이 점 참고하시면 선택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듯 합니다.

  • 유코감자 · 529471 · 15/03/15 22:08 · MS 2014

    대구쪽 공기업갈려면
    충남대여도 상관없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22:55 · MS 2005

    지역인재전형 등을 제외하면 큰 차이 없을 겁니다. 주로 지역명이 들어있는 공단, 공사 등에서 해당 지역 출신들을 다소 우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쪽을 염두에 두시는 거면, 경북대 가시는 게 안전하겠죠.

  • oopp · 564818 · 15/03/13 20:46 · MS 2015

    사업하는게 꿈인데요 경영학과 나오는게 도움되겟졍..? 사람들이 사업할거면 꼭 경영학과 안나오고 아무 학과나 나와도된다해서 ㅜㅜ 경영학과에서 회사운영법이나 이런거 알 수 있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12 · MS 2005

    음... 회사운영방법이나 이런거.. 배우기는 합니다. 그런데, 사실 학교에서 배우는 게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경영학과 학부 수준의 지식을 갖추었다고 해서 바로 경영을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우스갯소리로 이런 말을 합니다.

    1학년때는 CEO의 마인드로 입학했다가, 4학년때는 인턴으로 졸업한다고....

    어떤 분야의 사업을 하고 싶으신지요? 해당 사업분야와 관련된 전공을, 학부에서 배우시는 게 더 좋을 것 같습니다

  • 베누와함께꿈을 · 410512 · 15/03/13 21:44 · MS 2012

    학벌로 이익보기는 힘든 포지션이라..공기업 준비하는거 어떨까요?? 조폐공사하고 인천공항공사 생각하는데 공기업과 cpa/cfa중 어느 쪽이 더 가능성 있을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14 · MS 2005

    공기업 준비하신다면, 해당 기업의 필기시험 준비에 집중하시는 게 더 좋습니다.

    전문자격증 소지자들도 공기업 입사시험 많이 응시합니다. (일부 공기업은 가산점을 주기는 합니다만, 전문자격 갖고 있다고 해서 공기업 합격을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가능성은 뭐라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개인차가 있어서.... 알고 계시겠지만, CFA는 시험이 영...어............

  • bg123 · 561841 · 15/03/13 21:57 · MS 2015

    요즘 문과 중에서도 상경계열이어도 이과에 비해 취직에서 밀린다는 평도 있던데 어떤가요..?? 그리고 대학 급에 따른 취직이나 대우에 있어서의 차이는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17 · MS 2005

    이과에 비해 취직이 어려울 수 밖에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전체 산업에서 제조업 (전자, 중공업, 자동차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70% 정도 되는, 제조업 중심 경제구조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해당 산업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관련인력의 수요가 훨씬 큽니다.
    (금융,서비스산업 중심 경제구조를 갖추고 있는 영국 같은 경우는, 금융/재무/회계 쪽 인력수요가 큰데, 이 부분도 이공계 인력들이 잠식해 나가는 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취직이나 대우의 차이라... 여러분들이 익히 들어 알고 계시는 대기업들은 학벌, 학점 등으로 인한 차이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 바둑교본 · 503210 · 15/03/13 22:06 · MS 2014

    1. 경영학 전공 + 공대 복전(가능한진 모르겠지만) 이 큰 메리트가 있을까요?

    2. cpa를 따기위해서 꼭 경영학과를 갈 필요가 있을까요? 상대적으로 상경계열이 문사철보다 가기힘드니까... 문사철들어가서 cpa공부하는것도 생각하고있어서요 학점은 독학사로따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19 · MS 2005

    1. 위에서도 썼던 거 같은데, 메리트 있습니다.

    예) 금융계 : 경영학 + 수학 / IT산업군 : 경영학 + 전자공학, 컴퓨터공학

    2. 경영학과 다니는 거랑 CPA 준비하는 거 사실 직접적인 연관성 없습니다.

    비상경계 : 독학사로 24학점 이수 -> 응시 -> 합격
    상경계 : 학교수업 8과목으로 24학점 이수 -> 응시 -> 합격

    이 차이밖에 없어요.

  • 민족고대 애국경영 · 493540 · 15/03/13 22:25 · MS 2014

    전 경영컨설턴트,펀드매니저가 꿈이에요 ㅠㅠㅠㅠ올해꼭 연고대 경영학과 합격해야지!기받고갈게요 ♡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19 · MS 2005

    화이팅!!

  • 꿈꿀 · 485119 · 15/03/13 22:36 · MS 2013

    위에 답변에서 경영보다 정치외교학이 더 재밌다고 하셨는데 구체적으로 어떤부분이 그런가요?

    아 또 혹시 주변에 개발학 공부를하시는분들이 있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21 · MS 2005

    음 ㅋㅋ 글쎄요. 사실 양쪽 전공을 동일한 비중으로 들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그냥 경영학은 의무감으로 듣고, 정치학 수업은 재미로 들어서 그런 거 같습니다 ㅋㅋ

    개발학이라고 하심은, 사회개발학을 말씀하시는 건가요? ㅜㅜ 못 본거 같습니다.

  • K.LuPIn · 536691 · 15/03/13 23:07 · MS 2014

    경제 경영중 취업과 소득 비교 가능할까요
    또 정외과랑도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22 · MS 2005

    ㅠㅠ 그런거 차이 없어요... 그냥 회사에 가서 조금씩 다른 일들을 하게 될 뿐...

  • 서울대경제수석 · 407390 · 15/03/13 23:29

    경제학과 지망했었는데요. 작년에
    경제라는 학문을 좋아해서 그랬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경영가도 미시거시원론은 배우잖아요. 그니까 전 재수도했기때문에 올해는 더실용적인 경영학과로 진로잡으려하는데 경영도 경제학 배울기회는 충분한가요? 그리고 한국은행.생각있는데 경영학과나와서 한은가는건 어떤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23 · MS 2005

    경영학과 가도 경제학 배울 수 있고, 경제학과 가도 경영학 배울 수 있습니다. 기회 충분합니다.

    경영학과 나와서 한국은행이라..... 조사역느님..... 최고죠 ㅋㅋㅋ

  • wani14 · 556294 · 15/03/14 00:19

    경영이나 경제학전공자중에서 언론고시나 언론사공채로 많이 가는 편인가요?
    전형적인 상경계열로서 cpa나 기업공채를준비하면서 기자나 프로듀서를 꿈꾸고있는데 좀 뜬금없다싶을정도인지 모르겠습니다.(상경계가 적성에도맞고 너무좋습니다 안맞는게아니라서).....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25 · MS 2005

    언론사, 많이 가시는 것 같지는 않은데, 꽤 있습니다. (딱 떠오르는 분은 오상진 선배님..)

    어.. CPA 준비와 기자/PD 시험 준비는 동떨어진 영역인 것 같습니다. 이런 케이스를 잘 보진 못했어요.

    다만, 회계/재무 관련 전문지식을 갖추고, 경제전문기자가 된다면, 시너지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전문적 시각으로 기사를 쓸 수 있겠지요.

  • 공산주이 · 556344 · 15/03/14 11:55 · MS 2015

    저는 경영학과를 나온 사람들을 다루는 사람이 될 것입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26 · MS 2005

    인사관리 전문가. 응원합니다.

  • finance engineering · 551385 · 15/03/14 12:28

    법조인이 되고 싶어 로스쿨을 가려면 공대보단 경영학과를 가는 게 낫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3:27 · MS 2005

    어려운 질문이네요.

    음. 로스쿨의 도입취지가, 법학 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에 대한 지식도 갖춘 변호사의 양성. 이기 때문에

    공대 출신 변호사, 경영학 전공한 변호사 등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딱히 어느 쪽이 더 낫다고 말하긴 어려울 거 같습니다.

  • 아스나 · 511046 · 15/03/14 13:47

    변리사될거면 공대가낫고 변호사될거면 경영이날듯

  • 백곰달편 · 518827 · 15/03/14 14:37 · MS 2014

    적성이나 소질에 대한 희미한 느낌마저
    잡히기 어려운 사람입니다

    사회생활하다 남들보다 늦게
    수능준비 하는 사람입니다
    문과공부중인데요,

    그저 막연히
    '아 난 창업할거니까 사업하려면
    경영학으로 가는게 낫겠지?'
    거의 이 정도 수준인데요

    갈피가 잡히지않아
    막연히 사업할 생각으로
    경영학과에 진학하려는 사람에게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1
    가서 무얼배우는지도 잘 모르고

    2
    고졸로도 창업할수있다지만
    이에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와

    3
    대학생활에대한 미련도 남아있어서
    먹고살기바빠 허둥대다
    조금 뒤늦게 준비해봅니다
    뭣도 모르고 갔다가 적성에 안맞으면
    어쩌나 싶기도하네요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4:56 · MS 2005

    1. 크게 6가지 분야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회계 : 기업의 정보를 담아내는 언어 (쉽게 비유하자면, 가계부를 쓰고, 정확히 읽어내는 것)

    재무 : 운영에 필요한 자금을 어떻게 조달하고, 관리할 것인지 배우는 것

    마케팅 : 내 상품을 사도록 하는 활동

    생산운영관리 : 상품생산과정을 관리하고, 품질을 유지하는 활동

    경영전략 : 신사업 전략 수립, 시장에서의 포지셔닝 전략 - 마케팅과 연결

    인사관리 : 어떤 사람을 어떻게 뽑아서 어디에 배치할 것인지

    모두 기업의 경영에 필요한 것들입니다. 당연히, 배워두면 창업에 도움이 되실 거구요.

    2. 아이템만 확실하다면, 학교와 상관 없이 지금 바로 창업하는 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경영환경은 하루가 다르게 바뀌기 때문에, 지금 확실해 보이는 것도 다음 달이면 이미 한물간 아이템일 수 있거든요.

    확실한 아이템 없이, 아직 큰그림만 그리고 계신 경우라면, 학부에서 경영학 공부를 하시면서 조금 더 배우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3. 경영학은 "적성"을 많이 타는 전공은 아닙니다. 저도 경영학이 막 좋고, 꼭 배우고 싶어서 경영학과를 다니게 되었던 건 아니구요.

    전반적으로 얕고 넓게 배운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백곰달편 · 518827 · 15/03/14 16:38 · MS 2014

    친절한 답변 대단히 감사드립니다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6:43 · MS 2005

    응원하겠습니다.

  • 대마니 · 506381 · 15/03/14 15:24 · MS 2014

    영어를 잘하지 못하면 굉장히 고생한다고 하던데.. 대학교 내에서 영어강의 비중이 얼만큼인지 그리고 그다지 영어에 자신없어도 충분히 따라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ㅎㅎ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5:29 · MS 2005

    저도 영어 딱히 잘하지 못하는데요. 음.. 영어 잘하면 유리한 건 사실입니다. 교재가 원서인 경우가 많고, HBR Article도 읽어야 하고, 영어로 된 텍스트를 많이 읽어야 해서요.

    영어강의 비중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큰 의미는 있다고 볼 수 없겠지만... 주요일간지 대학평가의 요소로 쓰이기도 하고, 영어로 강의하는 것을 더 편하게 생각하시는 교수님들도 많으셔서요.

    그러나, 원어민처럼 회화에 능해야만 수업을 따라갈 수 있다거나, 그렇지는 않습니다. 충분히 잘 다니실 수 있을 겁니다.

  • 태치 · 492530 · 15/03/14 16:27 · MS 2014

    화학과 전공 중인학생입니다!
    경영학을 복수전공 하고싶은데 시너지가 날까요??
    아니면 화학과는 복수전공을 뭘로해야 경쟁력이 세질까요??
    화학공학으로 전과하는게 취업에 유리할까요??
    화학공부가 재밌지만 앞으로 취업이 걱정되는 학생이 질문 올립니당! ㅎ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16:32 · MS 2005

    1. 시너지효과는 당연히 있을 겁니다. 다만, 경영학 복수전공하는 과정에서 학부 졸업이 1년 정도 늦어지실텐데요. 어떤 쪽이 더 유리한지는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2. 사실 이공계 진로에 대해서 제가 자세히 알지는 못합니다. 일반 사기업 취업에는, 화학과보다는 화공과가 더 유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2전공으로 화학공학을 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 Kbene · 554563 · 15/03/14 18:22 · MS 2015

    컨설턴트는 학부 졸업만으로는 되기 힘든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1:54 · MS 2005

    제 동기가 학부 졸업하자마자 BCG 컨설턴트가 된 걸 보면, 학부졸업만으로 충분한 것 같습니다.

  • 괜찮아2 · 526647 · 15/03/14 18:56 · MS 2014

    1.경영학과를 전공하면서 공대쪽이나 어문계열로 복수전공을 하고싶다는 생각을 오래했는데 가장 시너지나기 좋은 과추천 부탁드려요.
    2.제가 중학생때부터 돈이 돌아다니고 경제적인 면에 관심이 많아서 막연하게 경영학을 꿈꾸었는데, 이제는 사업이나 무역같은거에 관심이 많거든요..이런 이유로 진학해도 괜찮은거겠죠?
    3. Cpa따서 회계사나 세무사쪽 분야는 어떤지도 궁금합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1:58 · MS 2005

    1. 음. 공대쪽에서는 컴퓨터공학이, 어문계열에서는 영문학이 가장 경쟁력 있지 않을까 합니다.

    2. 네. 좋아하시는 분야와 연결되어 있네요. 부럽습니다.

    3. 사회적으로도 인정 받고, 처우도 괜찮은, 좋은 직업입니다만.. 회계사 분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일이 힘들다고는 하시더군요. 흔히 쓰는 표현 중에, 회계사를 "자본주의의 파수꾼"이라고 하죠. 그냥 좋은 직업이라고 생각해서 회계사의 길을 걷는 것은 쉽지 않을 것 같고, 건전한 자본시장을 만드는 데에 일조하겠다는 마음으로 접근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 괜찮아2 · 526647 · 15/03/14 22:02 · MS 2014

    댓글 감사합니다. 열심히 하겠습니다.

  • ㅇㅁㅇ1 · 526784 · 15/03/14 19:01 · MS 2014

    저는 고3 여자고 연세대 경영학과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외국계 기업으로 취직하는 비율이 얼마나 되나요?

    2. 3대 컨설팅기업 학벌 마지노선이 서연고카이스트포항공대라고 오르비에서 자주 언급되던데 사실인가요?


    3.학부를 졸업하고 컨설팅회사에 바로 입사하는게 꿈인데, 주변에 경영 컨설턴트가 되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어떤 준비를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4. 경영학과 학점따기 어려운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0 · MS 2005

    1. 주변 지인들을 보면, 여자분들이 외국계기업을 선호하고 실제로도 많이 가는 것 같습니다. 비율이 높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숫자로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20% 정도 되는 거 같습니다)

    2. 사실이 아닌 것 같은데요. 서강대 경영/컴공 복수전공하신 지인이 소위 말하는 3대 컨설팅펌에서 컨설턴트로 일하고 계십니다.

    3. 경영전략학회를 많이들 하시는 거 같았고, 영어공부를 많이 하셨습니다.

    4. 다른 전공에 비해서,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고 알고 있습니다. (아... 근데 왜 내 학점은...ㅠㅠ)

  • 부대찌개먹고갈래 · 484640 · 15/03/14 19:47 · MS 2013

    통계학과랑 복수전공하는 경우도 많은가요? 이런 경우 어떤진로를 갖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1 · MS 2005

    보험계리사 준비하시는 분들도 봤고요. 석박사 과정 밟으시면서 경영학자의 길을 준비하시는 경우에도, 통계학과 복수전공을 많이들 하시는 거 같습니다.

    금융공학 쪽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거 같네요.

  • 안달루시아 · 544426 · 15/03/14 20:02 · MS 2014

    정치외교학과 수업들으신거같은데 정외과 전망이나 진로에대해 얘기해줄수있으신가요? 또 경영학과는 적성에 많이 좌우되는지 그리고 발표수업이많은지 알려주세요ㅠ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3 · MS 2005

    정외과 수업은 들었으나, 전망이나 진로는 솔직히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죄송합니다.

    정외과에서 로스쿨 준비하시는 분들 요즘 많은 거 같고, 공무원시험이나 공공기관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이 봤습니다.

    경영학과 수업들은 적성을 많이 타지는 않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경제학과 수업들이 ...... 적성을 좀 타는 거 같습니다.

  • smpark3216 · 469205 · 15/03/14 20:31 · MS 2013

    고려대 산업경영공학부나 연세대 정보산업공학과 가서 경영학 복수전공할 수 있나요?
    이과생인데 그런 케이스로 CPA 딸 수 있나요?
    정외과 진로가 어떻게 되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4 · MS 2005

    1. 둘다 가능할 겁니다.

    2. CPA 수험과, 자신의 전공은 전혀 무관합니다.

    3. 정외과 ㅠㅠ 바로 윗 댓글 참고해 주세요. 정확히 몰라서 죄송합니다.

  • 수민b · 558435 · 15/03/14 20:54 · MS 2015

    스페인어학과는 전망이어떤가요??
    ㅇ정확히 생각해보지는 않았지만 스페인에서 취업을하고싶거든요 ㅠ 제가워낙축구를 좋아해서 ㅠ 뭐 관련된직업이있을까요 참고로여자
    또 동국대 정도가려면 수능 적어도 어느등급까지는 나와야할까요 ㅠ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6 · MS 2005

    스포츠 마케터!? 어떨까요. 스포츠산업이 성장하고, 엔터테인먼트 기능이 강화되면서, 스포츠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는 추세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스페인에서 축구 관련된 쪽으로 취업을 하고 싶으시다면, 스페인어학과를 가시는 것보다는, 경영학이나 광고, 홍보 쪽을 전공하시고, 스페인어는 따로 (학원을 다닌다든지) 공부하셔서 도전하시는 편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스페인어학과 나와서, 스페인어만 잘 한다고 해서.... 해외취업을 할 수 있는 건 아닐 테니까요.

  • 심겹살 · 513458 · 15/03/14 21:13 · MS 2014

    마케팅 쪽으로 일하고싶은데

    통계학과랑 경영학과중에 너무 고민이에요 ㅠㅠ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7 · MS 2005

    경영학과 진학하시는 편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한창 인기 있었던 빅데이터 마케팅 (물론, 지금도 진행 중입니다만..) 등에 통계학적 지식이 많이 쓰이는 것은 사실이지만.... 마케터로 일하기 위한 지식은 기본적으로 경영학과에서 많이 다룹니다.

  • 동동치미 · 558724 · 15/03/14 21:18 · MS 2015

    조선생님 쪽지드렸습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07 · MS 2005

    답장 드리겠습니다.

  • 키라님 · 565021 · 15/03/14 21:55 · MS 2015

    고3이과생입니다 현재 금융공기업(한국은행) 금융권종사 컨설팅순으로 지망하고있습니다
    원래 통계학과를 가서 한국은행을 보고있엇으나 통계는 이과가 서울대후 중대더라고요
    설통갈 성적은 안되서 중통가야하는데 그러면 아무래도 학벌에 밀릴거같습니다(중대비하xx)
    공대나 수학과를 가서 복전을 해야하나요? 복전한다면 무엇을 복전해야하나요?아니면 다른방법이있나요?
    또한 금융권종사나 컨설팅같은 경우 대부분 스펙이 뛰어나던데 최저학력은 어느정도인가요?
    저같은 경우 어떻게 하면 가장좋을까요 사실 공대는 크게 지망하지는 않고있습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10 · MS 2005

    1. 한국은행 입사시험을 통계직렬로 치르시는 건, 학부 본전공과 무관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물론, 학교수업과 동떨어진 직렬을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어렵긴 하겠지만요.

    수학과 가신 다음에, 통계학 복수전공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최저학력 같은 건 없는 거 같습니다. 개인의 능력이 더 중요합니다.

    3. 수학과 진학하신 다음에, 통계학 이중전공 또는 경영학 이중전공을 노려보시면 될 거 같고요.

    사실, 수학과 단일전공으로만 졸업하셔도 한국은행, 금융권 등 원하는 곳 가실 수 있을 겁니다. 수학의 쓰임이 워낙 많아서요.

  • 키라님 · 565021 · 15/03/15 00:44 · MS 2015

    죄송하지만 질문하나만더 남겨봅니다
    제가 사실 공대는 썩 좋아하지는 않지만 이과라서 살짝 고려 할수밖에없는갓같습니다
    반면 금융쪽은 좋아하고요
    금융쪽으로 간다면 어떤과를 선택하여서 무엇을 복수전공하는것이 좋은지
    공대쪽으로 간다면 어떤과를 선택하여서 무엇을 복수전공하는것이 좋은지
    알려주실수있으신가요
    금융은 공기업 금융권종사 정도 생각하고있고여 공대는 잘모르겟습니당 ㅠㅠ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3:57 · MS 2005

    금융쪽은 수학과 가시는 게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수학과가 싫으시다면, 물리학과 출신 퀀트들이 월가에서 많이 활동하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공과대학의 전공 중에 금융과 직결되는 분야는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복수전공은 추가적인 부분일 뿐, 필수요소가 아닙니다.

  • 유앤 · 503971 · 15/03/14 22:24 · MS 2014

    경영학과에서 로스쿨준비하시는 분들도 많나요???
    sky로스쿨 합격자분들 보면 학부가 경영경제학과 출신이 가장 많은 편이더라구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26 · MS 2005

    많은 편입니다. 과거 법학과를 지망하셨던 분들이, 로스쿨 제도 도입과 함께 학부 법학과가 폐지되면서, 경영, 경제학과 쪽으로 진학하신 경우가 많기 때문인 듯 합니다.

  • 아레테스 · 439881 · 15/03/14 22:40 · MS 2013

    여자분들 취업 어떤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4 22:48 · MS 2005

    동기, 후배들 보면 다들 잘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8학기 무휴학 졸업 후 바로 취직, 이런 케이스는 요즘은 많지는 않은 듯 합니다.

  • 셀피쉬 · 535918 · 15/03/14 23:35

    외향적인 학생은 경영, 내향적인 학생은 경제 가라는 말이 정말 맞는 말인가요?? 제가 발표같은거 하는거 정말 싫어하는데 경영가면 발표할 일이 많다고 해서요. 정말 발표 같은게 그렇게 많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2:29 · MS 2005

    조별 프로젝트를 많이 하기는 합니다. 저는 주로 발표 맡아서 하는 편인데, 모두가 마이크를 잡아야 하는 건 아니에요. 혼자서 깊게 생각하고 공부해야 하는 쪽은 경제학인건 맞습니다.

  • zz12 · 521254 · 15/03/15 00:58 · MS 2014

    와^^ 정말 수고많으십니다!!
    오랫동안 찾아보고 생각해봐도 마땅히 떠오르지 않아서 문과 재수생이 질문드립니다.
    제가 경영지도사나 ceo가 꿈이라서 대학교를 마치고 대학원을 가려고 하거든요 근데 학과선택을 어떻게 하는게 메리트가 있을까요?
    대학교 대학원 다 경영만 전공하면 좀 그래서 대학교를 경제로 다니고 대학원을 경영으로 갈까 생각도 해봤거든요.
    근데 경영이나 경제나 깊게들어가면 결국 이어질거 같아서 꺼려지네요.여러 학문을 종합적으로 아는게 좀 나을거라고 봐서...
    대학교 공대 복전도 생각해봤습니다.
    근데 제가 학과지식이나 경험이 풍부하지 않아서 답변부탁드립니다. 사회에 나와서 메리트나 경쟁력을 가지려면 어떤 테크(?)를 타는게 좋을까요?
    쓰고보니 두서없이 썼네요 죄송함다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3:59 · MS 2005

    경영지도사 라고 하심은, 경영지도사 자격증을 취득하신 후에 컨설턴트로 활동하고 싶으시다는 뜻인가요?

    학부만 다니신다면, 바로 경영학과 진학하시는 게 좋겠으나, 대학원까지 다니실 거면 학부에서 경제학 전공하신 후에 대학원에서 경영학 배우시는 편이 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거꾸로 경영학부 - 경제학 석사는 매우 어렵고 힘들 겁니다)

    경제학부 - 경영학석사 - 컨설팅펌 입사 순으로 가시면 좋을 거 같네요.

  • 전립선염 · 511966 · 15/03/15 01:25

    노무사따는사람은 별로없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01 · MS 2005

    많지는 않으신 거 같습니다. 법학 전공하신 분들이 노무사 준비하시는 경우를 꽤 보았고요.

    경영대에서 HR 쪽 커리어를 원하시는 분들이, 노무사 자격증을 필수로 여기지는 않으시는 듯 합니다.

  • 아르시오네 · 400551 · 15/03/15 01:36 · MS 2012

    K대 경제학과 재학중인 한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제 진로에 대해 좀 생각이 많은데, 혹시 선배들중에서 CPA자격증 따고 실무 경력을 쌓아 애널리스트로 넘어가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경제학과이긴하지만 다른 외한 딜러, 외국계 은행은 어떻게 입사하거나 준비를 하는지.. 좀 알고 싶습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07 · MS 2005

    그런 테크를 타신 분들이 없지는 않을텐데, 많은 것 같지는 않습니다.

    우선 회계법인에서 커리어를 시작하시는 경우에, 다시 증권 쪽으로 넘어가는 게 쉽지는 않은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법인에서는 감사 쪽 업무를 많이 하다 보니까, 증권 쪽 실무경력을 쌓을 기회는 많지 않은 듯 싶습니다.

    금융사 입사는 보통 금융투자협회에서 주관하는 자격증들을 취득한 후, 입사시험을 거쳐서 이루어집니다. 외국계 은행들은 인턴십 경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보통이고요. 자사에서 인턴으로 근무했던 이들 중에 평이 우수한 사람들을 우선적으로 채용합니다.

    자격증 관련 정보는 아래 사이트 참고해 주세요.
    http://license.kofia.or.kr/

  • 소신있는자 · 506280 · 15/03/15 01:36 · MS 2014

    이과 통계학과 지망생인데요 통계학과가 문과상경계열도 있고 이과자연과학대로도 있는데 이과로 통계학을 전공한다면 취업할때는 문과생들과 같이 같은분야에서 경쟁하는건가요? 아님 다른분야로 가는건가요 정말 궁금합니다 ㅠㅠ 이과 통계학과는 취업을 어느쪽으로 하는지 아신다면 알려주세요...그리고 보통 여자들은 몇살쯤이 취업적정나이라고 생각하시나요...?재수 삼수 하면 취업이많이힘드나요ㅠ???전공을떠나 보통 여자분들은 몇살에취업하는지 궁금해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11 · MS 2005

    통계직렬에 응시한다면, 문이과 무관하게 같이 경쟁하게 됩니다. 이과, 문과 구분 없이 통계학과 분들은 보험 / 증권 / 은행 쪽으로 많이 가시는 것 같습니다.

    취업의 적정 나이라... 요즘 보통 25살 쯤에 취업준비를 시작하는 거 같고, 실제 직장에 가는 나이는 천차만별인 듯 합니다. 심리적인 마지노선이 여30 / 남32(군대 감안하여...) 정도 되지 않나 싶은데, 이건 지극히 저의 개인적인 생각임을 밝혀둡니다.

    재수, 삼수 했다고 취업 힘든 거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한번에 대학 입학해도, 고시공부 한다고 중간에 경력공백 생기는 케이스가 더 위험하죠.

  • K.LuPIn · 536691 · 15/03/15 01:58 · MS 2014

    경영학과가 어떻게 컴공이랑 복전을 하나요?? 어느대학교가 가능한가요?? 상위6대학 중에서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12 · MS 2005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지, 제도적으로 막혀 있는 경우는 별로 없을 겁니다. (공학수학 등 이수과목이 많고 어려워서 이중전공을 실제로 많이 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희소성이 있고, 좋은 평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겠죠.

    http://www.yonsei.ac.kr/contents/sinchon/double.html 참조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12 · MS 200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12 · MS 2005

    현실적으로 어려운 것이지, 제도적으로 막혀 있는 경우는 별로 없을 겁니다. (공학수학 등 이수과목이 많고 어려워서 이중전공을 실제로 많이 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욱 희소성이 있고, 좋은 평가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겠죠.

  • Neweye · 499458 · 15/03/15 02:13

    28세에 입학하여 30대 초반에 졸업(서울대 경영학 + 수학 복수전공 기준)해도
    행정고시나 로스쿨, 학원강사가 아닌
    금융권 취직의 방법으로 수입을 낼 수 있는지요?
    늦은 나이라고 생각하여 질문 올립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23 · MS 2005

    그렇게 많은 나이 아닌 것 같습니다.

  • 내일은없다 · 375444 · 15/03/15 04:33 · MS 2011

    1. cpa랑 cfa중 무엇이 더 어렵나요?
    2. cpa패스 후 -> cfa 준비하는 거같던데, cfa만 따는건 별론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28 · MS 2005

    둘 다 어려운데요, 어려운 방향이 다릅니다.

    cpa는 응시자격 자체에는 큰 제한이 없고, 한국공인회계사 시험이라면 우리말로 출제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지 않습니다. (경영/회계학 관련 학점 24학점 이수 + 토익 700점? 정도)

    CFA는 우선 시험을 영어로 응시해야 하고, Lv1.은 학부 다니면서도 딸 수 있으나, Lv.2 와 3는 몇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어야만 응시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응시 자체가 쉽지 않은 부분이 있죠.

    CFA자격증을 취득하면, 재무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결코 별로가 아닙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28 · MS 2005

    둘 다 어려운데요, 어려운 방향이 다릅니다.

    cpa는 응시자격 자체에는 큰 제한이 없고, 한국공인회계사 시험이라면 우리말로 출제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지 않습니다. (경영/회계학 관련 학점 24학점 이수 + 토익 700점? 정도)

    CFA는 우선 시험을 영어로 응시해야 하고, Lv1.은 학부 다니면서도 딸 수 있으나, Lv.2 와 3는 몇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어야만 응시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응시 자체가 쉽지 않은 부분이 있죠.

    CFA자격증을 취득하면, 재무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결코 별로가 아닙니다.

  • ㅇㅁㅇ1 · 526784 · 15/03/15 09:53 · MS 2014

    연세대 경영학과는 장학금을 얼마나 주나요? 가정형편이 어려워서 받는 거 말고 성적으로 주는거! (신입생,재학생 모두 포함)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29 · MS 2005

    음... 성적장학금 받기 굉장히 까다롭습니다. 워낙 다들 공부를 잘해서 ㅠㅠ 최근 등록금 동결하면서, 더 줄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입학 시에 받게 되는 장학금을 노리시는 편이 더 좋을 거 같습니다 ^^;;;

  • jeka · 551149 · 15/03/15 10:13 · MS 2015

    ㅇㄹㅇ

  • 미장센 · 367699 · 15/03/15 13:35 · MS 2017

    제가 서성한 라인 산업공학과 인데 경영학과나 통계학과쪽으로 복전하려고 합니다. 어떤걸 복전하는게 더 좋은지 굉장히 고민이 됩니다. 그리고 산업공학과가 경영이나 통계쪽을 복전했을때 과연 좋은지에대해서도 궁금합니다. 그리고 3대컨설팅 회사같은 곳을 들어가기에는 학벌적으로 힘든정도인가요 ? 어떤 노력을 해야하는지도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IT컨설턴트와 경영컨설턴트중에 어떤쪽이 선호되나요 ?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4:34 · MS 2005

    산업공학과랑 경영학과는 커리큘럼이 많이 겹치지 않나요? 저라면 통계학 쪽을 할 것 같습니다. 산공이랑 경영은 너무 비슷해서, 인사담당자 입장에서 봤을 때, 특별한 강점이라고 인식하지 않을 거 같습니다.

    학벌적으로 전혀 힘들지 않습니다. 저 위에 댓글 단적 있는데, 서강대 컴공/경영 복수전공 하신 지인이 지금 컨설턴트로 활동 중이십니다.

    노력은. 영어를. 정.말. 열심히 하세요. 영어 많이 중요합니다.

    IT 컨설턴트는 정확히 어떤 일을 하시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단, 경영컨설팅 업계는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IT컨설팅 쪽이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 한대11 · 513236 · 15/03/15 16:07 · MS 2014

    CPA전망은 어떻게 보시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8:52 · MS 2005

    글쎄요... 이건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 같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한샘가온 · 440262 · 15/03/15 16:17 · MS 2013

    댓글 하나하나 읽고 질문드립니다!!
    가끔 통계학과에 관한 질문이 보이는데

    저는 올해 k대 정경대를 입학해 통계학과 전공을 생각하는 학생이구요, 이중전공 제도를 이용해서 경영을 제2전공으로 하고싶습니다.

    1.저같이 생각하는 경우 향후 지원가능하고 통할만한 직업군엔 어떤것이 있을까요?

    2.가만보니 보험, 카드,증권 등이 통계학과의 주요진로로 보이는데 이에 경영과를 이중전공하는것이 혹시 컨설팅이나 투자은행등에 어필할때 크게 작용할수 있을까요?

    3.경영과를 이중전공으로 노리는것이 금융인으로의 전문성을 높여줄지, 통계에 컴공을 이중전공으로 하는것이 전문성을 높여줄지 모르겠습니다.

    4.학부졸업생으로써 통계학과도 충분한 것인지, 의문입니다. 혹여 석사 이상의 학위를 필요로들 하시는지...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8:57 · MS 2005

    1. 보험 쪽에서 유리할 듯 합니다.
    2. 사실 이중전공을 했다는 것 자체만으로, 엄청난 가산점을 얻거나.. 이런건 아니죠. 다만, 경영학만 공부한 사람보다, 데이터 분석과 활용에서 우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분명 유리합니다.

    3. 컴공 쪽이 더 좋을 것 같은데..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이 여기서도 적용될 것 같네요. 어차피 지금의, 그리고 앞으로의 금융은 사람이 의사결정하는 부분은 극히 제한적일 거고. 프로그래밍에 의존하게 될 거니까요. 점점 더 심하게.

    4. 연구소 등을 제외하면 오히려 석사 학위 갖고 계신 분들 부담스러워하는 경우도 있다고 얼핏 들었습니다 (몸값이...ㄷㄷ)

  • 미장센 · 367699 · 15/03/15 16:17 · MS 2017

    바로 위에 댓글 남겼던 사람입니다 좋은 댓글 감사드려요
    그런데 영어는 그러면 듣기쓰기말하기읽기 전부 다 굉장히 잘해져야된다는건가요 ?
    저희나라 좋은기업도 좋지만 저희나라에 있는 외국계기업도 되게 좋다고생각해서그렇습니다. 그 위에서 댓글 다신거 전부다봤었는데 복전하면 보통 1년정도 더 다니게되는건가요 ? 사실 저는 대학원 생각이 전혀없습니다 바로 취업하고 싶은생각이 더커요. 만약에 제가 복전을 할생각이라면 1년을 더잡고 커리큘럼을 잡는게 옳은생각일까요 ?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19:01 · MS 2005

    말하기-듣기까지 되어야 영어를 잘하는 거라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읽기-쓰기까지는 잘 하는 경우가 많은데... 말을 잘 못하죠.

    국내에 들어와 있는 외국계기업도, 업무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습니다.

    제가 프랑스계 회사에서 좀 근무했었는데, 이메일 중 절반 이상이 영어였습니다.

    복전하게 되면 보통 1~2학기 정도 더 다니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수학점도 늘어나고, 여러가지 요인들로요. 미리 이부분 감안해서 계획 세우시는 게 현명할 듯 합니다.

  • 미장센 · 367699 · 15/03/15 16:18 · MS 20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엉덩이바노비치 · 565231 · 15/03/15 16:24 · MS 2015

    부산에 사는 고3학생입니다. 장래희망은 공인회계사나 경영컨설턴트인데요.
    성균관대 경영학과에 입학하는게 일단 목표입니다.
    1. 경영컨설턴트가 되는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국내 컨설팅회사도 괜찮나요?
    2. 서울시립대에는 세무학과가 있던데 세무학과와 경영학과는 많이 다른가요?
    3. 공인회계사의 미래 전망이 어떤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20:59 · MS 2005

    1. 학부나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공부한 뒤, 인턴 등을 거쳐서 컨설팅펌에 입사하게 됩니다. 공인회계사 자격증을 가진 분들이, 회계법인에서 일하시다가 법인에서 함께 운영하는 컨설팅펌에서 일하시게 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법조계에서도 모든 일을 김앤장에서만 하는 것이 아니듯이, 컨설팅 업무도 외국계 대형펌에서만 하는 게 아닙니다. 국내 컨설팅펌에 대해 자세히는 모르지만, 꼭 외국계라고 좋은 것만은 아닙니다.

    2. 경영학과에서도 세무 쪽을 다루기는 하지만, 세법학 자체에 대해 심도 있게 배우지는 못합니다. 그 부분을 더 깊게 배운다고 보시면 되지 않을까 합니다.

    3. 이 부분은 제가 말씀드릴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 같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한대11 · 513236 · 15/03/15 20:42 · MS 2014

    일단 제가 여러가지 직업에대해 관심이잇어서요.
    우선
    1, 컨설턴트쪽은 말빨이 좋아야 된다는데 맞나요??.
    2.은행쪽은 영업말고는 살길이 없나요?, 은행다니는사람들말들어보면, 실적안좋으면 언제잘릴지 모른다고 해서요..
    3. 금감원들어갈떄요. CPA없으면 많이 불리하나요?.
    4. 자산관리사쪽도 관심이잇는데, 대게 수명이 짧던데, 퇴직후에는 대게 무엇을 주로하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21:03 · MS 2005

    1. 언변이 뛰어나면 당연히 유리하긴 하겠죠. 개인적으로는 화려한 언변보다는, 다양한 업종에 대한 지식과 "통찰력"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2. 다 그렇지는 않다고 들었습니다. I모 은행 같은 경우 영업실적에 대한 압박이 없다고 들었습니다. S모은행은 실적압박이 좀 있다고 합니다.

    3. CPA 시험과, 금감원 경영직렬 시험과목이 유사하고, 전문자격증 소지자에 대한 가산점이 있기 때문에, CPA이신 조사역님들이 많이 계십니다. 그렇다고, 모두 다 CPA 이신 건 아닙니다.

    4. 앞으로는 고액자산가들의 개인자산관리 서비스 수요가 더욱 늘 것 같습니다. 노하우가 있고, 영업능력이 있다면 수명은 개인차가 클 거 같고요. 퇴직 후....까지는 제가 아직 잘 모르겠습니다...

  • 한대11 · 513236 · 15/03/15 21:37 · MS 2014

    그 인터넷사이트를 돌아다니다보면,
    현직 회계사다,현직 은행원이다 이렇게 글이 많이 보이던데,
    보면 대게 그 직업에대해 비관적이더라고요.
    특히 S은행같은거는 기본퇴근시간이 11시라면서, 절대오지말라던데, 이런분들의 말을 어디까지 믿어야되는걸까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5 21:45 · MS 2005

    다른건 모르겠고, 그 S은행이 제가 말하는 S은행이 맞다면... 기본 퇴근시간이 11시, 그거 사실입니다.

    보통, 자기 직종에 대해서 정말 좋다고 말씀하시진 않아요.

    페이팔 창업자인 피터 틸이 강연에서 그런 말을 하더라고요.

    본인이 "밖에서는 모두가 들어가고 싶어하고, 안에서는 모두가 나가고 싶어하는 직장"을 다니다가, 때려치우고 창업한 거라고. 직접 다녀보지 않으면, 나한테 맞는지 안 맞는지, 정말 힘든지 견딜만한데 징징대는 건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세상에 쉬운 일은 하나도 없습니다. 하고 싶은 일, 걷고 싶은 길이라면 밀고 나가세요.

  • 바나나중독자 · 503254 · 15/03/15 23:09 · MS 2014

    철학을 메인으로 하면서 경제학이나 경영학을 서브로 전공하시는 분도 계시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6 13:50 · MS 2005

    제가 직접 만나보지는 못했는데요. 계시다고 알고 있습니다.

  • 연세Yig · 530809 · 15/03/15 23:57 · MS 2014

    풋.오버,선물옵션등 주식관련은

    경영에 가깝나요 경제에 가깝나요~~?ㅎ^^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6 13:51 · MS 2005

    경영학 - 재무 or 금융공학 쪽입니다.

  • 피너 · 444133 · 15/03/16 22:54 · MS 2013

    1. 제가 컨설팅펌 또는 로스쿨을 가려고 하는데 컨설팅펌으로 갈 경우 단일심화전공이 나을까요 아니면 이중전공이 나을까요 이중전공을 추천하신다면 어떤 전공을 추천하시나요??

    2. 맥킨지 같은 해외 컨설팅펌은 들어가기 어려운 걸로 아는데 보통 한 학번에 몇 명 정도 가나요? 그리고 컨설팅펌도 로펌처럼 파트너라는 것이 있는 걸로 아는데 파트너 다는 거는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고 봐야하나요? 컨설팅펌도 로펌처럼 어쏘일 땐 업무강도가 높고 파트너 달면 업무강도가 낮아지나요?

    3. 경영학과 내에서도 마케팅 재무 등등 여러가지로 갈리는 것으로 아는데 컨설팅펌에 들어가려면 어떤 분야를 배우는 것이 좋나요?

    4. 해외 컨설팅펌의 경우 국내에는 없고 해와에서 일을 하게 되나요? 보통 홍콩을 많이 가는걸로 아는데 다른 많이 가는 곳도 있나요?

    5. 마지막으로 글쓴이님께서 컨설팅펌 혹은 로펌에 갈 기회가 생겼을 때 어디를 선택하실건가요?

    질문이 너무 많은 것 같네요.. ㅠㅠ 죄송합니다 ㅠㅠ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7 12:42 · MS 2005

    1. 이중전공이 필수인 거 같지는 않습니다. 굳이 하신다면 통계학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2. 사실 이 부분은 잘 모르겠습니다만, 로펌, 어카운팅펌, 컨설팅펌 등 분야를 막론하고, 파트너가 된다는 건 쉽지 않습니다. 파트너가 될 수 있을만큼 경력이 쌓일 동안, 경쟁에서 뒤쳐지지 않는다는 것 자체도 쉽지 않고.. 경력이 쌓였다고 자동으로 지분을 가지게 되는 것도 아니니까요.

    업무강도 = 실무량이 줄기는 하겠지만, 영업에 대한 압박이 생길 겁니다.

    3. 보통은 경영전략, 재무, 마케팅 쪽 많이 하시는 거 같습니다.

    4. 해외컨설팅펌의 서울사무소에서 일하는 경우도 있고, 홍콩, 상하이 등 아시아의 다른 사무소에서 근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학능력이나 해당 프로젝트와 관련된 경력 등에 따라 달라질 겁니다.

    5. 둘 다 안가고 싶습니다. (ㅋㅋㅋ)

  • 피너 · 444133 · 15/03/18 23:19 · MS 2013

    아 파트너 달고 난 후에는 영업이 필요하죠... 사실 로펌 가려는 것도 영업 없는 김앤장이 목표라 가려하고 있습니다 ㅋㅋ

    그럼 주식 투자는 경영학과에 가깝나요 경제학과에 가깝나요?

    둘 다 절대 만만한 곳이 아니라는 것을 또 다시 한 번 느끼게 되었네요..

    질문 많이 드렸는데 모든 질문에 상세하고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9 07:49 · MS 2005

    증권 업종은 경영학 쪽이 조금 더 가깝습니다. 기업의 회계, 재무자료를 볼 줄 알아야 하고, 업황을 읽어야 하기 때문에요.

    경제학은 조금 더 큰 차원의 흐름을 보신다고 생각하시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미장센 · 367699 · 15/03/17 18:36 · MS 2017

    위에서 질문했던 사람입니다^^ ;; 계속 질문해보겠습니다 ㅎㅎ 죄송해여~
    영어공부를 하긴할껀데 저희나라안에선 회화 나름해보고 TOEFL이나 TOEIC 같은거 공부해보긴 할생각인데 솔직히 제가 노리고있는 것은 교환학생입니다 TOEFL 점수를 따서 교환학생을 가보려고하는데 영어회화에 도움이 될까요 ? 현재 군대에있습니다 ㅎㅎ;; 아직 전역하려면 1년7개월이 남았지만 군대안에서도 준비를 틈틈이 계속 하려고합니다 조언부탁드립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7 23:10 · MS 2005

    어학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최대한 그 언어를 쓰는 환경에 많이 노출되는 것이 최선인 듯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교환학생 가서 6개월이나 1년 정도 영어만 사용하는 환경에서 생활하게 된다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토익시험 준비는 사실 영어실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토익은 기술이다, 라는 CF도 있듯이요

  • 미장센 · 367699 · 15/03/18 19:43 · MS 2017

    그럼 교환학생을 가게되면 그 시간동안은 제대로된 전공공부하긴 힘든건가요 ? 솔직히 제가 거의 복전할확률이 100%라서 1년정도 학교 더다닐생각은 있는데 교환학생을 하게되면 혹시나 반학기정도 더하게되나 해서 질문해봅니다.. 군대에있어서 물어볼 사람이 별로없네요 ㅜ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8 22:49 · MS 2005

    교환학생을 가는 대학에서 전공과목을 이수할 수는 있습니다. 단, 본 학적을 두고 있는 대학의 전공과목과 같은 과목으로 인정받아야만 (교수님께 따로 인정 신청을 하셔야 할 겁니다) 이수한 것으로 인정될 거구요.

    아무래도 교환학생 가 있는 기간 동안에는, 수업을 듣기는 해도 제대로 된 전공공부를 하긴 힘들겠죠.

    보통 교환학생 다녀오면, 한 학기 정도 졸업이 늦어지는 것 같습니다. 저희학교 같은 경우는 졸업요건이 그렇게 까다롭지 않아서 (저희 이후 학번은 잘 모르겠지만...) 교환학생 한 학기 정도는 칼졸업에 큰 지장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1년 다녀오시면 한 학기 정도는 늘어난다고 보셔야 할 거 같아요.

  • 미장센 · 367699 · 15/03/19 20:13 · MS 2017

    아하 감사합니다 ㅎㅎ 현재 국장이랑 학교에서 장학금받는걸로 전액 장학금을 받고있는상태인데 교환학생 가면 돈이 많이깨질까요 ? 생활비나 거주비나 이런 여러가지측면에서요.. 집이 그리 넉넉한 형편은 아니라서 이런것도 걱정이되네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9 22:19 · MS 2005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주어지는 장학금도 많이 있을 겁니다.

    거주는 주로 기숙사가 제공되지 않나요? ^^: 제가 교환학생은 안 가봐서... 생활비는 그렇게 더 많이 든다고 느껴지진 않으실 거에요. 우리나라 물가가 그렇게 낮은 수준도 아니라서...

  • 내게의미있는3수 · 544603 · 15/03/17 21:58 · MS 2014

    ㅇㄹㅇ

  • M.zimic · 512095 · 15/03/18 01:38 · MS 2014

    기업에서 학부나 학과를 보고 판단할 때,
    정말로 경상학부 이외의 학부(어문계열 등)간 우선순위에는 별반 차이가 없나요? 있다면 어느정도인가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8 11:07 · MS 2005

    직무와 관련하여 경영, 경제 관련 지식이 특별히 필요하거나 하지 않다면, 상경계열과 인문계열 지원자도 차별하지 않습니다.

    해외마케팅이나 영업관리 등의 직무에서는 외국어능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어문계열 전공자들이 더 유리합니다.

  • M.zimic · 512095 · 15/03/18 11:32 · MS 2014

    아 그렇군ㅇ요...
    정성어린 답변 감사합니다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8 22:50 · MS 2005

    ^^ 질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소신있는자 · 506280 · 15/03/19 12:03 · MS 2014

    위에 질문드렸었는데 몇개만 더 질문할게요 ㅠ 통계학을 전공하고싶은데요(이과에요) 실제 기업에서는 통계는 문이과 구분없이 경쟁한다하셨는데 대기업이나 은행 증권 보험회사 공기업등에서 통계전공한사람들을 많이 뽑나요??? 통계전공자를 따로 뽑아주나요?아니면 복전 같은걸 해서 경영경제쪽으로 가는건가요..???? 글구 통계관련분들 대학원 많이 가나요 ?

  • Orbi조선생 · 112180 · 15/03/19 22:21 · MS 2005

    통계전공자의 수요가 앞으로 더욱 늘어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이터를 다루는 일의 중요성이 하루가 다르게 더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니까요.

    이중전공자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우대나 차별이 있지 않기 때문에, 통계전공자를 필요로 하는 자리에 <주전공 경영학+제2전공 통계학>인 분이랑, <주전공 통계학>인 분은 같이 경쟁하시게 될 겁니다.

    통계학과의 대학원 진학률은 잘 모르겠습니다...

  • 유코감자 · 529471 · 15/03/22 09:27 · MS 2014

    그냥 원래 비상경계열에서 상경복전하는거랑 본전공이 상경인거나
    기업에서 같게 보나요 다르게 보나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22 14:01 · MS 2005

    어떤 직무에 지원하느냐에 따라서, 약간 "다르게" 볼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더 좋게, 혹은 안 좋게, 본다는 것이 아니라, 말 그대로 "다르게" 판단될 수는 있습니다.

  • 유코감자 · 529471 · 15/03/22 14:59 · MS 2014

    보통 상경계가 지원하는 직무요.

  • Orbi조선생 · 112180 · 15/03/23 09:28 · MS 2005

    본전공이 상경인 분을 선호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