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얄 밀크티 · 1138981 · 22/08/03 15:28 · MS 2022

    무리수e의 정의는 알려져있다라고 서술되어있으니 받아들여야하고 나머지는 그 정의를 이용하여 다 증명할 수 있습니다.

  • 로얄 밀크티 · 1138981 · 22/08/03 15:30 · MS 2022

    증명을 한번쯤을 해봤다면, 그 이후에는 다음의 극한식들을이용하여, 문제에 주어진 극한들을 계산하기만하면 끝입니다.

  • 책참 · 1020565 · 22/08/03 16:01 · MS 2020

    위에 로얄 밀크티 님 설명이 정확합니다. e의 정의만 외우시고 사진에 1은 e의 정의를 통해 증명 가능, 2는 분자를 t로 치환하는 방식을 통해 1로 증명 가능, 3은 로그의 밑변환 공식을 통해 1로 증명 가능하며 4는 분자를 t로 치환하는 방식과 로그의 밑변환 공식을 통해 1로 증명 가능합니다.

  • 책참 · 1020565 · 22/08/03 16:03 · MS 2020

    결과적으로는 네 공식 모두에 익숙해지셔서, 문제 푸는 동안 접할 e 관련 극한 계산들은 쉽게 처리하실 수 있어야합니다

  • 의예24 · 1028894 · 22/08/03 18:41 · MS 2020

    그냥 익숙해지는거 밖에 답이 없는거죠???

  • 책참 · 1020565 · 22/08/03 19:35 · MS 2020

    네! e의 정의 여러 번 써보시고, 저기 나온 것들 많이 유도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