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많아요 [1152407] · MS 2022 · 쪽지

2022-08-02 13:08:13
조회수 753

이감 1회차14번 오류인듯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817997

5번선지 포도당을 간과 근육에 "글리코겐형태"로 저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답변못함

포도당을 굳이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하는지 안 나와있음

답지는 무슨 공복일때 포도당으로 쓰기위해서 저장한다는데

글리코겐형태로 저장하는 이유가 될 수없음

이감 ㅈ구데기

3번선지는 분명 본문에서 pck는 인산화를통해 단백질을 활성화 한다고 해놓고활성화ㅂㄱㄴㅇㅈㄹㅋㄱㄲ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수민@이감 · 429250 · 22/08/02 14:38 · MS 2012 (수정됨)

    1. 혈당의 농도가 지나치게 높게 유지되면 안되는데, 음식물을 섭취하면 혈당의 농도가 높아집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인슐린이 다량 분비됩니다. 그리고 인슐린은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되도록 돕습니다. 즉 혈중 포도당의 농도를 일정하게 만들기 위해서 글리코젠 형태로 저장한다는 겁니다. 이는 첨부된 지문 분석지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 "본래 PKC는 IRS1 ....이 세린을 지님에도 그 활성화에 관여하지 못한다." 명시되어 있는데요... 일단 해설지는 확인해본건가요?

    의견 표출은 별로 상관이 없는데요.
    주어진 콘텐츠를 최대한 활용하는 쪽으로 학생이 공부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나이많아요 · 1152407 · 22/08/02 14:45 · MS 2022

    과도한 pkc는 세린을 인산화과정을통해 변형시킨다는데 그러면 과도한경우에는 활성화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글리코겐형태로 저장해야하는 이유가 없습니다. 포도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해야하는 이유를 지문에 찾을 수 없어요. 그냥 단순히 포도당을 간과 근육에 저장한다 이랬으면 공복시에 쓰려고 저장하나보다 이유를 찾을 수 있지만 글리코겐형태로 저장한다? 왜 포도당형태가아니라? 답이없는데요

  • 이수민@이감 · 429250 · 22/08/02 14:51 · MS 2012

    2. 선지에서 '글리코젠 형태로' 저장한다는 것은 '포도당을 그대로가 아니라 왜 굳이 하필이면 글리코젠 형태'로 저장하는지를 묻는 것이 아닙니다. '형태'라는 표현이 들어간 것은 지문에 '형태'라는 표현이 그대로 있기 때문입니다. 학생이 의도한 방향으로 선지가 구성되려면 '간이나 근육에 포도당을 글리코젠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해 두는 이유는 무엇일까?'가 되어야 합니다.

  • 나이많아요 · 1152407 · 22/08/02 14:48 · MS 2022

    보통의 pkc는 세린에 인산화를 통해 단백질을 활성화 하지만 irs1에 세린에는 영향을 주지못한다. 하지만
    과도한 pkc는 irs1의 세린에 인산화를 통해 변형시킨다
    라고 받아들였습니다 그래서 활성화로 봤구요
    근데 선지는 과도한pkc가 나오는데 왜 틀린건지

  • 이수민@이감 · 429250 · 22/08/02 14:50 · MS 2012

    1. 그 바로 밑에 과발현된 PKC는 IRS1의 세린을 인산화시켜서 인슐린 수용체에 결합하지 못하게 한다고 되어 있지 않습니까. 이걸 '활성화'로 생각했다면 그냥 오해입니다. 애초에 IRS1은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하여 활성화된다고 기술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PKC의 작용으로 인슐린 수용체와 결합하지 못한다면 당연히 활성화되지 않습니다. 이는 전부 지문 분석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 나이많아요 · 1152407 · 22/08/02 16:37 · MS 2022

    무슨 뜻인지는 알겠는데 본래pck ~안된다
    다만 과도한pck~변형시킨다 저는 본래 안되지만 다만이라는 예외사항에서는 된다고 봤네요 그이유는 인산화통해 단백질을 활성화한다고했는데 결국 pkc는 인산화를 하긴 하지만 irs1을 변형만시키지 활성화는 안한다는건데
    의도적으로 그렇게 서술한건지

  • 이수민@이감 · 429250 · 22/08/02 16:43 · MS 2012

    다만은 '세린의 인산화'에 걸리는 거죠.
    그리고 과발현된 PKC에 의해 IRS1이 활성화된다면, GLUT4가 왜 충분히 활성화되지 않겠습니까.
    IRS1이 활성화되면 정상적으로 인슐린 수용체도 기능하고, 그러면 연쇄적으로 혈중 포도당을 세포 내부로 유입시켜서 혈당을 낮추었겠죠. 지문의 초점에도 부합하지 않습니다.

  • 나이많아요 · 1152407 · 22/08/02 16:56 · MS 2022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거 같습니다.

  • 이수민@이감 · 429250 · 22/08/02 15:34 · MS 2012

    이해가 됩니까? ㅈ구데기는 아니죠?

  • 이수민@이감 · 429250 · 22/08/02 17:02 · MS 2012

    다만이 IRS1을 활성화시키는 예외 사항이 아니며, IRS1이 활성화되지 않는다고 이해하는 것이 글의 초점이 부합한다는 부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