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에서 성공하려면 구조를 이해해야한다(2022 연고대 사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70036
안녕하세요 피오르 컨설팅 대표 유인우입니다.
입시에 대한 해석과 분석의 길은 다양하겠지만,
작년 연고대 문과에서 성공을 거두려면 전반적인 구조를 아는게 필수적이었습니다.
이게 결과의 전부를 설명하진 못하겠지만,
일부분에 대한 해석이 될 것이라고 보여져서
한번 올렸던 글을 새롭게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2022학년도 연고대의 경쟁률은 2021학년도에 비해서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연대가 입결에서 조금 더 선방했습니다
반대로 말하자면 스나 혹은 애매한 성적의 학생들은 고대를 써야만했습니다.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배경지식으로 알아야하는 것은
21학년도 응시생 39만 5천
수학가형 15만 나형 24만
22학년도 응시생 43만명
사탐 22만 5천명(과탐1개+사탐1개 포함) 과탐20만명
으로 단순히 따진다면 이공계 학생들은 늘어났다라는 것 입니다.
그것도 많이.
다만 문과 학생들 중에서도 미적 + 과탐을 응시한 학생들이 있다보니
비단 이과라고 장담지을 수는 없긴하겠죠.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이론상 문과는 줄고 이과는 늘어난 것 같은데...
연고대 문과에서 작년보다 모집 인원이 500명정도가 증가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문과학과에서 이렇게나 경쟁률이 높아졌다는 것을 설명하려면
물론 다양한 이유가 있긴하겠지만,
일단 기본적으로 2021학년도 연고대 문과는 경쟁률이 비슷했습니다.
근데 올해는 전반적인 경쟁률도 늘어났고,
3.35 : 1 -> 4.06 : 1
연대와 고대에서 꽤 차이를 보이긴했죠.
4.26 :1 VS 3.87 : 1
그럼 진짜 이유는 무엇일까요?
1. 2022학년도 입시의 특수한 상황
- 본격적인 교차지원의 첫해, + 불수능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연대도 그렇고 고대도 그렇고 문과 경쟁률이 상당히 많이 올라갔습니다.
기본적인 그 이유는....
원래 연고대에 지원할 수 있는 가능권, 즉 capacity는 정해져있습니다.
모집인원은 정해져있지만 그것을 위해 경쟁하는 사람도 원래는 비슷하죠.
근데 올해는 이과 교차지원 인원으로 인해 그 케파가 늘어났고,
이과 교차지원으로 인해 원래는 서성한을 써야하는 인원이
아쉬움이 많이 남은 덕분에 상향 지원을 많이들 했을겁니다.
뿐만 아니라 수능이 어려웠던만큼
재수를 각오하고 연고대에 스나하는 학생들도 많았을겁니다
(반수생의 경우 작년에도 많았기 때문에 이 이유는 차지해두도록 하겠습니다.)
그 중에서 연대의 경우 경쟁률이 상당히 많이 올라갔는데
아무래도 막판 경쟁률이 많이 낮았기 때문에
연대를 쓸지 고대를 쓸지 애매한 인원 = 그 사이트에서 4-5칸 왔다갔다하던 학생들,
그리고 스나를 하는 학생들이
연대로 많이 뛰어들었습니다.
경쟁률 블라인드 타임에 현혹되었지만
실제 결과는 이런 애매한 학생들이 많이들 연대로 뛰어들었기 때문에
고대 문과에서 허리층이 다소비어서 컷 선방을 하지 못했다고 보여집니다.
2. 반영비의 차이
근데 더욱 신기한 것은
고대는 문과를 제외한,
나머지 학과의 경쟁률이 전체 평균보다 낮으면서 동시에
21학년도 정시보다 경쟁률이 낮아졌습니다.
반면에 연대는
문과 학과를 제외한 나머지 학과들의 경쟁률이
평균 경쟁률보다 오히려 높고,
심지어 21학년도보다 경쟁률이 높아졌습니다.
물론 다른 해석도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연고대에서 주요한점이
바로 각 대학마다 문이과 반영비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것 입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이과 학생들은 기본적으로 문과 학생들에 비해
국,수 성적과 탐구 성적이 상대적으로 덜 정비례합니다.
즉 문과는 국수를 잘 보았으면서 동시에 사탐도 잘 보는 케이스가 정비례하는 편이지만
이과는 국수를 잘 본다고학생들이 과탐도 잘 보는 케이스가 상대적으로 빈번합니다.
즉....문과학생들은 동일하게 연고대에 지원했는 반면에,
(또한 선호도가 연고대가 비슷하다는 가정하에)
탐구를 상대적으로 망친 이과는 사탐 반영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문과 연대로 지원하고...
탐구를 상대적으로 잘본 이과 또한 과탐 반영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이과 연대로 지원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것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최상위권에서 탐구를 포함해 모든 과목을 골고루 잘 본 학생들의 수 보다
국영수는 잘 보았지만 탐구는 상대적으로 못본 학생들의 수가 더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올해는 연대가 고대보다 이러한 학생들에게 더 많이 선택받았고
결과적으로 경쟁률의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물론 이 경쟁률이 펑크와 항상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고대 문과가 상대적으로 선방하지 못한이유는 앞서서 말씀드렸듯이,
교차지원하는 이과학생들은 연대로 몰리고,
애매한 성적의 문과 학생들은 원서 접수기간이 다른 이유로 인해 연대로 쏠림현상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결과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연대 인문 교차 + 서강공 조합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반면 연대 인문 + 한양대 공대 는 한양대가 탐구의 비율이 높다보니
해당 조합은 많지 않았습니다.
또한 연대+서강공 조합의 학생들은 실제로 많은 학생들이 연대에 잔류한 경우가 많긴했습니다.
결론을 말하자면,
입시를 전반적으로 볼 줄 아는 눈을 기르려면
이런식으로 대학별로 반영비를 잘 꿰고 있어야하고
이러한 반영비들을 통해 학생들의 지원 구조를 잘 알면
50%정도는 성공할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당장의 감정에 너무 휩쓸리지 않아도 됩니다
-
나 매웠구나? 3
순해진거임 이게
-
이런거 알아도 되는 사람만 남았나 봄 걍 옆에서 하기도함
-
수2 적분 문제 1
1. 188 2. 191 3. 194 4. 197 5. 200
-
오르비에서 친구사귀고 남친/여친사귀는거 나쁘지않음 생각보다 외모도 다들 준수함
-
명작 수학문제 16
진짜 명작임 가장 빨리 풀어서 본인 풀이 올리면 오천덕드림ㅋㅋ
-
낮엔 껌딱지마냥 따라다니고 밤에는 방문 열어달라고 문 벅벅 긁음 문 열어주고...
-
심지어 그중 한번만 친구임
-
님들 그거 앎? 2
소화 안됐는데 자야될때는 왼쪽으로 누우면 배 덜불편함
-
내 첫글은 4
-
전부다 계삭하고 손필기 다 지워야지 시머인재가 고소때리기 전에 예전엔 개별적으로...
-
님들한테 얘기함 0
나 오르비 초창기때 여기서 이름털린적있음
-
기억이 안남 ㅅㅂ 진×*...
-
신상 털린거 3
이름 학교 반 동아리 사는곳 얼굴 나이 등등
-
사실 오르비가 부끄럽긴해
-
내첫글은 2
물리 질문글이었는데 고인물들이 막 몰려와서 알려주고감
-
한 명은 유튜버고 나머지는 다들 알거 같고 선배도 금테있고 참 인생 ㅈ됐노!
-
연재희 Evolved slave ll 절대현주해 강풀화1 힘들어하지마
-
왔을때부터 젖지대머리라고 씨부리진 않았구나
-
ㅇㅇ
-
고고고고고
-
이상한 질문글이였음 호구지 호구
-
오호 0
지구과학 꽤 재밌네 근데 2단원은 너무 노잼인데
-
근본.
-
대학 다니다 1주일만에 그만두고 강대 위업 들어갔다가 2일만에 그만두고 양지메가...
-
옯바 2
오늘은 정말 일찍 자야해요 내일 새벽 4시에 일어나야해서 흑흑
-
암산? 계산력?은 전보다 훨 좋아진거 같음..
-
특정 당할 정보를 안 줬기때문임
-
맞팔구 10
-
'오르비'라는 커뮤가 부끄러운건가요? 지금까지의 활동이 부끄러운 건가요?
-
몰라 안세봄 일단 무한대발산쌉가능같음
-
이거 아시는 분 있으려나
-
진짜 ㄹㅇ 젖지프사보고 저건 뭐하는사람이지 프사 뭣같이 생겼네하고 오르비 들어왔는데...
-
나 알고있으면 오르비 한다는건데 ㅋㅋ
-
다음 그림과 같이 질량 2kg인 물체 A는 3m/s의 속력으로, 질량 1kg인 물체...
-
졸라슬프네 1
난 전썸녀도 없고 현썸녀도 없고 전여친도 없고 현여친도 없고 ㅅㅂ 인생 헛살았노…
-
이건 쉬운듯 보이지만 막상 답답하네
-
작년에 단과학원같은거 없이 잇올에서 하루종일 생재수 했는데 현역때랑 비슷한 점수...
-
황제 화반 포부 스터딘 홍다희
-
사실 06아님 남자도 아님 사실 올해 수능도 안봄 사실 한국에서 안살고잇음
-
현실은 인터넷과 다름
-
댓글로 ㄱㄱ
-
이걸 가 말아 잇올에 이미 신청을 해두긴 함
-
내 오르비 첫 글 13
기억이 새록새록하다 벌써 옛날 일 같네....
-
요즘들어서 더 심해지는 것 같음
-
아침 오르비 정독하면서 등교 점심 학교에서 아이패드로 가재맨,랄로,도파 시청 저녁...
현실적으로 저게 가능한가요,,,
수험생 입장에서는 대학별로 반영비 달달 외우면 큰 그림은 보실 수 있을거에요
수능끝나고 해도 충분하겠죠,,?
물론이죠 수능 치고 시간 은근 많습니다 ㅎㅎ
수능 이후에는 저희 팀을 비롯해서 아마 많은 분들께서 입시 관련된 글 많이 올리실테니 활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넵!

확실히 입시는 독립적이라기보단, 각 대학의 위계 서열, 반영비, 당해 수능 특징, 특이한 요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돌아가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좋은 글 잘 보고 가요 ㅎㅎ
맞습니다. 어떨때는 한가지 사항만 보고 예측했던게 맞을 수도 있지만 초심자의 행운과 같은 느낌이라... 입시는 많이 복잡하긴합니다 ㅎㅎ
제가 작년 그 4~5칸 연대 불나방이었는데..ㅋㅋ
작년에 원서질이 수능공부보다 힘들었네요
어쩌면 수능보다 더 어려운 부분도 있긴 한 것 같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