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진로는 뭐뭐가잇을가요; 현실적으로 가능한선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65515
최상위 의대 지원할 성적이 나왔는데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개인적인 의견 0
가재맨보다 오르비가 건전하다? - 난 가재맨도 보고 오르비도 해서 모르겠음. 그냥...
-
문붕이는 슬프다…
-
나도 차단당햇나 2
-
그린라이트임?
-
거기선 그냥 저격글에 똑같이 욕박는게 나음 물론 저격먹을 짓 자체를 안해야 되는거고
-
현재 고 3입니다 열심히 한거같은데 3모 점수가 더 떨어져서 고민입니다 겨울방학때...
-
올해도 그 맛을 느끼겠군
-
수능 전에 기숙사도 방 빼야하잖아
-
ㅈㅅㅎㄴㄷ ㅈㅅㅎㄴㄷ
-
6모 이후커리는 0
일단 6모때까지 할거 다 끝내고 생각해야지..
-
소신발언 3
가재맨 보는 사람이나 오르비에 그런글 쓰는 사람이나 지금 결국에 한쪽 의견만 듣고...
-
재종 다니면서 담배를 안필수가잇는거에요? 저희는 담배외출도 안되가지고 죽겟습니다...
-
너무 고로시 ㄴ 0
민주당 청년위원으로 들어가서 공천받고 여의도 입성하면 감당가능함?
-
아침 점심 저녁 세끼 다 강대에서 해결함 미침 ㄹㅇㅋㅋ
-
사랑해 난 여기밖에 없어 다들 날 버리지 말아줘
-
소신발언) 5
오르비 닉 언급할때 초성으로 말하는거 짜침 상남자답게 풀네임 언급해야
-
수2 자작문제 0
첫 정답자 3500덕 드립니다
-
독재 퇴근 완료 4
-
저런 사람도 부둥부둥 챙겨주려는게 난 신기해
-
한화 1위네 0
뒤에서
-
ㅅㅅㅂㅇ) 2
가재맨보다 오르비가 훨씬 건전하다ㅋㅋ 그리고 걍 본인 뒷담(?)까는걸 알았으면 보고...
-
그러니까 알 수 없는 소식통에 따르면 팜하니님이 친구 뒷담을 하다가 유튜브에 박제...
-
일단 문제를 2가지로 분류 1) 1도 모르겠는 문제 2) 가닥이 안잡히는 문제 1은...
-
대체 왜 마지막으로 기억했을 땐 30명 이하였는데
-
설마 은테까지 달고도 메인 한번도 못가본 사람이 있음? 3
생일놓침..
-
전부 새상품 입니다 수분감은 비닐만 뜯고 사용 안했어요...
-
텔레그렘 스팸 메시지 온거 답장하면 안좋은일 생길수 있나 8
홧김에 보내봤는데 보이스피싱 전화 수백통 날라오는거 아니겠지
-
(현피아님) 복싱카페에서 날 잡고 스파링하고 서로 피드백 주고받다 저녁 먹어봤는데
-
어렵네오르비..
-
화장실 앞 의자에 탄산음료랑 얼음컵 준비해놓고 샤워 끝나고나서 마시면 이게 섹스임
-
허허... 3
방금 보고왓는데 저분 좀 걱정되네.. 가재맨 저기는 원래 방송컨셉이 좀...
-
아 ㅋㅋ 친구한테 들키는 건 약과...
-
디시 일베 뭐 이런거에 비해 매우 양호한 편 아닌가 가끔 저격같은 글 올라오긴...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재수 생각하면 확통도 나쁘지 않을 거 같은데.... 1
하.....왜 벌써 재수할 생각을 하는거니 빡통아 ㅠ
-
그래서 그분 탈릅함? 17
나한텐 호감고닉이었는데... 친구사이는 내 알바가 아니고 그냥 철판깔고 오르비 하자
-
물론 퍙소애 쓴 글 냐용따라 다르겠지만
-
삼수해서 그런가 먼가 마음의 쉼터임 여기가 사람들도 이정도면 착한것같고 조은디...
-
오늘낮에 강의실에서 졸다가 꿈에서 왼쪽에 옯붕이 앉혀두고(?) 같이 강의듣는중에...
-
A남자 - 말 많고 사교성 좋음 - 카톡 친구 1천명 - 깐족대는 스타일 -...
-
시대기출 0
시대기출푸는중인데 강기원쌤 교재에서 본 문제들이 꽤많은데 기출이라 어쩔수없는걸까요..
-
나도 확통할걸 그랫나 시발 왜 깝쳣지 지금이라도 확통할까 고민중임...
-
우쒸 0
흰티 입었었는데 누가 내 등에 국물 묻혔나봐요 빨간 국 묻어있는데
-
방식으로 융합되거나 상호작용하기 위한 자원이 제한되어 있고 행동화 경향성 또한 높다...
-
원래 어려운거 맞죠!??? ㅅㅂ.......
-
맛은 닥후
-
킬러협회라고하죠 매일 저격사건이 일어남
-
생명컨 3
자이 수특 상크스 프로모터 끝냈고 16모고 추론형모고 풀고있는데 강의업뎃맞춰풀어서...
-
재수강제됨
변리사 연구원 회사원 창업 밖에모르겟움
선배들한테물어보세여 ㅋㅋ
전공이 무엇인가요?
1.학부졸업후 기업취직, 엔지니어생활, 50대 퇴직. 2.석박사후 기업이나 국책연구소 연구직 또는 교수직. 기업은 연구위원이나 임원트랙. 50대퇴직. 국책연구소 경영간부직까지 가면 61세정년. 교수 65세정년 3.변리사나 행정고시 등 전문직. 변리사는 거의 영업직, 경쟁치열. 행정사무관 이상 공무원 안정적. 3급이상 퇴직후 산하기관장. 정년보장. 4. 1,2경력후 창업. 중소기업 임원직 갈아타기 등 산업계 생존투쟁. 등등이에요.
일단 상위권 이공계는 2번 트랙으로 가장 많이 가는데 의대 못지 않은 로딩 기간과 학업난이도가 있고 세부전공선택과 지도교수 역량에 의해서 진로가 크게 좌우됩니다.
자세하당 ㅋ.ㅋ 근데 행정고시는 문과애들이 대부분가잖아욘
행정고시도 직렬이 많은데요 그 중에 기술직이라고 흔히 말하는 기술고시가 이공계분들이 많이 도전 합니다 ㅋㅋ
행정고시 기술직도 있고 일반직 행정고시 치는 공대생도 많아요
아 기술직도 행정고시라고 부르나요? 몰랐네요 ㅋㅋ 그냥 기술직5급인줄 일반행정고시는 대부분 문과라는거였어요 ㅋ.ㅋ
맞아요 공대는 진짜 사랑으로 가는거 아니면 만족하고 다니기 좀 그럼
공대생이 어떤 직업을 위해 공부한다면 패배자입니다. 공대생이 평생 업으로 가져가야 할 것은 '직업'이 아니라 자신의 전공과 그에 상응하는 아이디어입니다. 학생들이 석박사 과정을 밟는 것은 단순히 석박사를 거쳐야 경쟁력이 있다는 이유가 아니라 자신의 전공 학문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 그리고 공대생이라면 지도교수 밑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배우는 연구원의 생리를 배우러 가는거고요. 내가 공대를 나와서 무슨 직업을 가질까, 어느 회사에 다닐까라는 점 보다는 무슨 공부를 평생의 업으로 삼을지를 생각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