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투개꿀 [520572] · MS 2014 · 쪽지

2015-03-01 02:40:03
조회수 4,716

공대 진로는 뭐뭐가잇을가요; 현실적으로 가능한선에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65515

최상위 의대 지원할 성적이 나왔는데


별로 의사되고싶단생각이없어서 막연하게 공대에 들어왔는데요...

의대버리고 공대와놓고 그냥 회사들어갈꺼면 걍 뻘짓한거같네요

어떤길들이 잇을까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스나 · 511046 · 15/03/01 02:42

    변리사 연구원 회사원 창업 밖에모르겟움
    선배들한테물어보세여 ㅋㅋ

  • 연의왕자 · 558994 · 15/03/01 02:50 · MS 2015

    전공이 무엇인가요?

  • 에피택시 · 533974 · 15/03/01 02:57 · MS 2014

    1.학부졸업후 기업취직, 엔지니어생활, 50대 퇴직. 2.석박사후 기업이나 국책연구소 연구직 또는 교수직. 기업은 연구위원이나 임원트랙. 50대퇴직. 국책연구소 경영간부직까지 가면 61세정년. 교수 65세정년 3.변리사나 행정고시 등 전문직. 변리사는 거의 영업직, 경쟁치열. 행정사무관 이상 공무원 안정적. 3급이상 퇴직후 산하기관장. 정년보장. 4. 1,2경력후 창업. 중소기업 임원직 갈아타기 등 산업계 생존투쟁. 등등이에요.

    일단 상위권 이공계는 2번 트랙으로 가장 많이 가는데 의대 못지 않은 로딩 기간과 학업난이도가 있고 세부전공선택과 지도교수 역량에 의해서 진로가 크게 좌우됩니다.

  • 아스나 · 511046 · 15/03/01 03:36

    자세하당 ㅋ.ㅋ 근데 행정고시는 문과애들이 대부분가잖아욘

  • 비바 · 372801 · 15/03/01 04:25 · MS 2011

    행정고시도 직렬이 많은데요 그 중에 기술직이라고 흔히 말하는 기술고시가 이공계분들이 많이 도전 합니다 ㅋㅋ

  • 에피택시 · 533974 · 15/03/01 09:17 · MS 2014

    행정고시 기술직도 있고 일반직 행정고시 치는 공대생도 많아요

  • 아스나 · 511046 · 15/03/01 09:44

    아 기술직도 행정고시라고 부르나요? 몰랐네요 ㅋㅋ 그냥 기술직5급인줄 일반행정고시는 대부분 문과라는거였어요 ㅋ.ㅋ

  • 열대구피 · 553048 · 15/03/01 08:49 · MS 2015

    맞아요 공대는 진짜 사랑으로 가는거 아니면 만족하고 다니기 좀 그럼

  • 의대애의대애 · 479565 · 15/03/05 01:29 · MS 2013

    공대생이 어떤 직업을 위해 공부한다면 패배자입니다. 공대생이 평생 업으로 가져가야 할 것은 '직업'이 아니라 자신의 전공과 그에 상응하는 아이디어입니다. 학생들이 석박사 과정을 밟는 것은 단순히 석박사를 거쳐야 경쟁력이 있다는 이유가 아니라 자신의 전공 학문에 대한 깊이있는 고찰, 그리고 공대생이라면 지도교수 밑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배우는 연구원의 생리를 배우러 가는거고요. 내가 공대를 나와서 무슨 직업을 가질까, 어느 회사에 다닐까라는 점 보다는 무슨 공부를 평생의 업으로 삼을지를 생각하시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