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1등급분들은 해석이 어느정도 되시는건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518760
기출문제보면 그냥 단어가 외우는뜻대로만 나오는것도아니고
amount to(~와 동일하다) 수준의 숙어는 그냥 쏟아져 나오는 수준이던데
이런 숙어들도 대부분 알고계신건가요? 대충의역해서는 해석할수없는 숙어들도 많이나오던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에휴 에휴
-
화학에서 넘어왔는데 원래 지금쯤이면 n제랑 브릿지 벅벅했을텐데 할게 너무 없으니...
-
28수능 수시 0
28수능 수시때 1등급이 되려면 모든 과목이 현행 9등급제중 2안으로 들어와야...
-
ㅠㅠ
-
6평 전에 ebs 꼭 다 봐야하나요?? 남은 시간동안 기출하고 간쓸개에만...
-
'핵보유국' 인도·파키스탄, 6년만에 군사충돌…서로 미사일공격(종합2보) 3
인도, 분쟁지 카슈미르 등 파키스탄 9곳에 미사일 폭격…"8명 사망" 파키스탄도...
-
번역체말고 국문으로 쓰여진 소설을 더 많이 읽고싶다..
-
그냥 오늘 글이 하나도 안 읽힌다 이런 날 수능 보면 5등급 나올 것만 같은 컨디션
-
타라타라타타타
-
다시들어가야지 0
아이고 수학해야함
-
수학 문제 풀었던거 2주있다 다시 풀었는데 그 풀이과정이 거진 기억이 나는데......
-
짝짝
-
숭배합니다 Goat 신 상 혁
-
에너지 소모 개심한듯 에타 정치게는 안하는게맞다..
-
중학교: 적당히 놀면서 적당히 해서 스킬 좀만 투자하면 최저 50~최대 80은 잘...
-
강의들은 파트 기출 쭉 푸니까 행동영역들 떠오르면서 풀이방향 잡히는거보고 계속 듣는중
-
으음...
-
이준석, 이공계 육성 공약… "과학자, 국가 영웅으로 예우" 5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가 과학자, 연구자, 기술자 등을 우대하는 내용의 공약을...
-
술을 매주 쳐 마시면서 한 달 한 번 여행도 감 하아
-
끼얏호우~ 2
오전공부 4시간 50분
-
맛점 2
-
요즘 이것만 봄 1
지용이형 리즈시절
-
에라 모르겠다
-
소개해달라할까ㅋㅋ
-
모교에서 성적 다 앎?
-
군대 가면 0
그냥 돈이나 모아야지 갑자기 든 생각
-
원래라면 어제 8시 쯤엔 다 올라왔어야하는데 07 06들 빠졌네
-
엄빠한테 합격하고 “나 이제 계의(GAY)야 남자 좋아할 수 있어!” ㅇㅈㄹ했다가...
-
하2 2
이이이
-
2506,09,11 22번으로 나온 only나열 수열들 몇분이면 푸세요
-
5년 뒤엔 17
일본에서 살고있을 수 있을까
-
오르비 댓글에서 본 미친 삼각함수 문제가 드릴6일줄이야.. 한문제는 그냥 못풀겠다 ㅋㅋㅋ
-
결정 끝.
-
다른 과목 시간때문에 단어만 외우고있는데 수능때 2등급은 맞는게 목표라서요 슬슬...
-
190일의 기적 누리게 해주실분 구함 고3임
-
점심에 자는 엄청난 자유 아.. 이 얼마만인가…
-
[속보] 서울고법 “이재명 재판, 대선 후 6월 18일로 변경” 4
“법원, 어떤 외부 영향이나 간섭 받지 않아” 고법 “선거운동 기회 보장하고 공정성...
-
김동욱 연필통 다들 푸시나요? 그냥 다른거 풀지 괜찮으면 그냥 풀지 고민입니다
-
아오 머리아파 학원 일 정리하면 과외를 얼마나 더 해야하는거디
-
학교에서 해명 논리랍시고 psi가 기본량이다 ㅇㅈㄹ했다는데 이거 어케 조지죠
-
생윤 어렵구나 0
선지에서 생각 많이해야하네요 문학같음
-
오랜만에 사치를 0
맛있네
-
6,9,수땐 안이러겠지 제발
-
◕‿◕
-
인생 망함 8
구제책 없나
-
가만히 있다가는 과외 학생들한테 하반기 때 따일 수도 있을 것 같음 ㅋㅋ
-
화학이 ㄹㅇ 가망이 없는데... 2학기에도 1로 올릴 수 있고...
-
기하 기출문제집 5
추천해주세여~ 수분감 자이 한완기 등등 꽤 있는데 기하는 기출이 중요한듯 해서...
-
◕‿◕
기출문제보면 그냥 단어가 외우는뜻대로만 나오는것도아니고
amount to(~와 동일하다) 수준의 숙어는 그냥 쏟아져 나오는 수준이던데
이런 숙어들도 대부분 알고계신건가요? 대충의역해서는 해석할수없는 숙어들도 많이나오던디..
A. 언어 시험의 본질은 일단 '읽고 이해하는 것'에 있습니다. 그래서 영어로 쓰인 글의 구조나 짜임새를 파악하기 전에 선행되어야 할 것은 '영어라는 언어 자체를 읽을 줄 아는 능력'인 것이고요. 애초에 뭐라고 쓰였는지조차 못읽으면 구조, 짜임새를 공부하는 이유가 없으니까요. 우리가 국어 비문학을 공부할 때 글의 구조를 공부하지만, 한글을 모르는 외국인이라면 한글(한국어)부터 공부하듯 말입니다.
그래서 FM대로, 보수적으로 답변을 드리면, 그런 숙어들의 상당 부분은 모두 알고 있어야 하는 게 맞고, 많은 1등급 학생들이 그렇게 숙어 공부를 따로 해줍니다. 숙어'장'이 괜히 따로 나와있는게 아닙니다. (ex: 능률보카 숙어편)
다만, 결국 일정 수준 이상에 오르고 나면 문제마다 묻는 유형과 풀이 방식이 어느정도 정형화되어있는 것도 사실이며, 또 영어도 많이 접하다 보면 언어적인 센스도 늘기 때문에, 꼭 완벽하게 모든 것을 읽고 완벽하게 이해해야만 답을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이 얘기를 듣고 '아 그럼 완벽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네'라는 마인드로 영어공부를 하면 보통 결과가 좋지 않게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르비는 학습 성취도가 굉장히 높은 커뮤니티라 여기서는 '그냥 해도 1등급 나오던데? 문법, 독해같은거 왜해? 난 단어 모르는거 많지만 1등급 나오던데? 대충 단어만 봐도 2등급 나오던데?'의 반응이 흔하지만, 그건 오르비 내에서의 얘기일 뿐이지, 현실은 1등급 5~7%대 밖에 안나옵니다. 정말 단어를 잘 몰라도, 문법, 독해를 잘 못해도 1등급이 누구나 나온다면 강사님들도 단어, 문법, 독해 강조를 안하시겠지요. 그냥 그 학생들 개개인에게만 적용되는 얘기일 뿐입니다.
능률보카 숙어편을 외우고있습니다만 정말 to,at같은 전치사와 go,down같은 동사가결합한 전형적인 형태의 숙어들만 나와있고 amount to 나 let alone, by and large같은 기출에나오는 숙어들은 없는것들도 정말많더라구요 ㅜㅜ 그래서 어느정도까지 알아야할지가 고민이네요
저는 그런 것들을 '관용적인 부사구'나 '관용적인 전치사구' 등으로 부르고 있고, 본인이 언급하신 look for같은 구동사와는 조금 다른 성격의 표현들입니다. 그래서 숙어책에도 잘 실려있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문제는 이런 걸 정리해놓은 교재가 시중에 없다는 점이고.. (적어도 제 기억 속에서는 그런 걸 꼼꼼하게 담아놓은 교재를 본 기억이 없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런 것들을 지난 5년동안 모아 제가 집필하고 있는 교재에 모두 담아놓았습니다.
보통은 그런 것들을 다뤄주는 교재가 없다 보니 학생들이 기출을 분석하면서, 부딪쳐가며 일일이 학습하고 암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지요.. 원래 그렇게 부딪쳐가면서 학습하셔야 합니다. 다른 많은 분들도 그렇게 학습하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