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수에 관해서 상담글좀 부탁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4841
이번에 수능을 치루고 화학 전공을 하려는 이과생입니다.
평소 보다 1등급씩 내려가서 그닥 좋은 대학교를 못가게 되었는데요..
저는 재수를 고려하고 있는데 부모님은 대학에서 학점관리 잘해서 대학원을 매우좋은곳으로 가라고 하시더군요
12월달 부터 고민중입니다.
어떤 방법이 좋은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020학년도 고3 9월 평가원 모의고사 수학 나형 1~30번 풀이입니다. 1
9월 모의고사가 얼마 안 남아서 작년 9월 수학 나형을 풀어보았습니다. 건강...
-
2020학년도 고3 9월 평가원 모의고사 수학 가형 1~30번 풀이입니다. 1
1번 0:00 2번 0:16 3번 0:26 4번 0:39 5번 1:00 6번...
-
모교에서 9월 평가 접수하면 재학생들이랑 학교에서 시험 같이 봐요? 0
왜 저 고3때는 재수생이랑 시험 같이 본 기억이 없죠?
현역이시면 재수 추천이요
대학원도 중요하지만,
어쨌든 학사가 많이 중요하다고 다들 그러더라구요..(제 친구들 석사생들...)
감사합니다.ㅎㅎ
음 현재 대학원생인데요.
최종학력은 대학원이 되겠지요? 석사 박사
물론 학사도 중요하겠지만 최종학력 우선입니다.
감사합니다 ㅎㅎ
우리나라는 대학교 학력 > 대학원 학력 입니다.
적어도 님이 취업할때까지는 안바뀌어요.
현역이면 무조건 반수라도 해보세요.
어떻게 대학교 학력을 대학원 학력보다 높게 치나요.
학부에서 배우는 걸 회사에서 알고 있는데,..회사에서도 석사와 박사를 우대하여 학교에서 공부한 것을 호봉으로 쳐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학위가 있는 것은 진급에 굉장히 유리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공학계열 회사에서는 학위가 진급의 조건이 되기도 하니까요.
대학원에서 많은 연구과제들을 통해서 얻은 경력과 논문들이 대학교들어갈때 수능시험 성적보다 못하다고 평가되지 않습니다.
이미 회사에서 그런점을 감안을 하고 있죠. 설계, 연구직에서는 학부출신들은 뽑지도 않습니다.
국방과학연구소, 항공우주연구소과 같은 연구소에서는 학부생을 뽑는 정도라면 행정직정도만 뽑고 있고,
연구직이라면 반드시 최소 석사는 되어야 뽑고 있고 그것고 70%는 박사를 요구하고 있지요.
그렇다고 학부생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그만큼 공부더 한 사람을 우대해주는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