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즐리 [1084527] · MS 2021 (수정됨) · 쪽지

2022-06-10 22:51:44
조회수 3,085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 화학I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076362

1번

쉬우니 패스


2번

쉬우니 패스


3번

쉬우니 패스. 작년 수능과 같은 함정 선지도 없으니...


4번

(나)는 3s, (다)는 2p라는 걸 체크할 수 있고, (가)가 2s, (라)는 3p라는 걸 추론할 수 있음. 2l+1이라는 표현에 겁먹을 필요가 전혀 없었던 문제


5번

쉬우니 패스


6번

처음에 액체의 양이 더 많았을 테니 ㄱ은 옳은 선지, b=c이므로 ㄴ은 틀린 선지, ㄷ의 경우 2t일 때 (가)는 증발 속도=응축 속도이고, (나)는 증발 속도가 더 빠르니 틀린 선지


7번

Y가 H, Z가 N, X가 O, W가 Li이라는 거 체크하고 넘기기


8번

쉬우니 패스


9번

X가 산소(O), 마그네슘(Mg) 중 하나이고, 둘 중 하나를 대입해서 풀면 됨. 실제로 X는 마그네슘(Mg)임


10번

이온화 에너지 문제인데, X, Z가 2족이고 Y는 13족이라는 것 체크하면 됨. 이온화 에너지는 주기가 클수록 낮아지기 때문에 X는 마그네슘(Mg), Z는 베릴륨(Be)이고, 같은 주기에서 13족은 2족보다 제1 이온화 에너지가 작다는 걸 감안하면 Y는 붕소(B)임


11번

밀도 표시를 보면 1mL당 dg이라고 해석하면 됨. 즉, 100g이면 부피는 (100/d)mL

(나)에서 만든 용액에서 A의 양은 0.05mol이고, (다)에서 절반만을 사용했으니 0.025mol을 사용한 것임. 그리고 (다)에서 최종적으로 만든 용액에서 A의 양은 0.1mol이니 (다)에서 A ymL의 양은 0.075mol임.

(100/d)mL가 1mol이고, xmL가 0.05mol이니 x=5/d, ymL가 0.075mol이니 y=7.5/d

즉, x+y=25/2d


12번

A의 원자량을 알아야 반응한 A의 양(mol)을 측정할 수 있고, 이거하고 두 실험에서 수소 기체의 부피를 비교하면 B의 양(mol)을 알 수 있고, 이것과 B의 질량을 토대로 B의 원자량을 측정할 수 있음. 즉, ㄴ과 ㄷ은 필요가 없음.


13번

계산하면서 문자가 좀 많이 나옴...

밑의 단서에서 d=4n을 잡아내야 하고, 그 외에 2a+b=2d, 2a=c, 8+4a=2c+d도 찾아야 함. 또한 산화수 변화를 관찰하면 M은 +7에서 +n이 되고, C는 +3에서 +4가 되었으니 2(7-n)=c까지 얻었다면 미지수 개수 5개, 5개의 식이 나왔으니 연립해서 해결 가능. 실제로 해 보면 n=2, a=5, b=6. c=10, d=8이 나옴.


14번

W로 가능한 게 Na밖에 없어서 그렇게 어렵진 않음


15번

중화 적정인데... 어렵지 않으니 설명 생략


16번

pH/pOH에서 2/12, 10/4로 바꾸면 답이 쉽게 나옴


17번

X, Y는 이온이 아니기 때문에 전자 수=양성자 수로 생각하고 풀어도 됨
표를 보고 r=8을 추론할 수 있고, 제시된 다른 조건을 보면 (q+r)/(q+r+2)=7/8이 성립하고, r=8, q=6이 성립함. 또한 표의 자료를 보고 비교하면 p=6까지 도출됨.
즉, 구하면 다음과 같이 나옴


18번

찍기 쉬운 문제임

m=3, n=2 넣으면 답이 바로 나옴. 실제로 (가)는 C3H4, (나)는 N2H2임

m=5, n=1이 되기에는 선지에 분자에 5가 든 게 없고, m=1, n=3 넣기에도 분모가 3의 배수인 게 4번밖에 없음.


19번

음이온 수를 구하면 (가)에서 120n개, (나)에서 200n개

H2A의 부피가 (가), (나)에서 동일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가)는 OH-가 없는 산성/중성, (나)는 OH-가 있는 염기성으로 가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임.

(가), (나) 모두 A2- 120n개이고, (나)에서는 OH- 80n개, Na+ 320n개가 있음. 이때 (가)는 Na+ 240n개가 들어 있는 중성 용액

(다)에서 음이온 수는 8(20+V)n개인데, 이미 A2- 240n개가 들어있음. (다)가 산성/중성이라고 가정하면 V=10이고, (라)에서는 A2- 240n개, Na+ 240n개, H+ 240n개가 든 상태이므로 이온 수 비는 1:1:1, 답은 5번


20번

질량이 같을 때 밀도는 부피에 반비례하므로 실험 I에서 반응 전후 부피가 각각 7V, 5V라면 실험 II에서 역시 11V, 9V임.(반응 후 전체 기체의 부피 비가 I:II=5:9이므로)

두 실험에서 부피가 같은 양만큼 줄어들었으니 생성된 C의 양도 동일해야 함. 두 실험 모두 B가 모두 반응하고 A가 남고, 실험 II가 I보다 A가 2w만큼 많이 들어 있음.

실험 후 I, II에서 부피가 각각 5V, 9V이고, C의 양은 동일하고, A의 양은 II에서가 I에서의 5배이므로 이렇게 나옴.


A(g)

C(g)

I

V

4V

II

5V

4V

이때, 반응 전에 B(g)가 2V만큼 있었다고 추론할 수 있음. 실험 I에서 반응 전 B는 2V, A는 5V만큼 있었고, A는 4V만큼 반응함. 즉, A, B의 반응 비가 2:1이니 a=2

이때 반응 전 A, B의 양은 표와 같음

A 4V만큼이 2w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질량은 이렇게 나옴.


A(g)

B(g)

I

5V, 2.5w

2V, 0.5w

II

9V, 4.5w

2V, 0.5w

A 2w, B 0.5w가 반응해서 C 2.5w만큼이 생성되므로 반응 질량비는 4:1:5, 부피비는 2:1:2, 분자량 비는 4:2:5

a=2이고 B/C(분자량 비)=2/5이므로 곱하면 4/5, 답은 2번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맥심가렌 · 1147708 · 22/06/10 22:52 · MS 2022

    유치원생도 30점은 맞아올 화1이었는데 난 왜 29인지 모르겠다..

  • 라즐리 · 1084527 · 22/06/10 22:53 · MS 2021

    12번은 안 나올거라는 예상이 많았는데 결국 나와버렸군요...

  • 맥심가렌 · 1147708 · 22/06/10 22:53 · MS 2022

    틀딱 금속문제 나오는것도 빡쳤는데 원래 마스터했다고 생각하는 산화환원도 이번에는 뜬금없이 망가니즈 튀어나와서 멸망함 ㅋㅋㅋ 평소 실모보다 어림잡아 7~8점은 더 틀린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