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학년도 6월 평가원 수학 15번 눈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052771
1) 수열 전체에 k(k+1)을 곱하면 쉬워진다.
0보다 작거나 같을때 k를 더하고, 양수일 때 (k+1)을 빼며 얻어지는 수열이다.
2) 예시를 들기 위해 k=5를 넣어보면
0->5->-1->4->-2...
0에서 k를 더하면 더하면 양수가 되고, 바로 빼서 -1이 된다.
즉 두 단위씩 묶으면 -1씩 빼 나가게 된다.
3)좀만 더 잘 생각 해보면, -5에 도달했을 때는, 0이 된다. 원래라면 빼야하지만, 0보다 작거나 같으므로 다시 한번 더하게 된다.
4) 즉 (2k)번 덧뺄셈을 반복해서 -k에 도달하면, +k를 해서 0이 된다.
즉 이 수열은 k에 대해, 2k+1 단위의 사이클임을 알 수 있다.
초항이 0이었으니, 1+(2k+1)n (n은 0이상의 정수)마다 수열이 0이 된다.
따라서 21의 인수를 생각하면 된다.
1,3,7,21이 21의 인수이며, 2k+1이 인수가 되면 된다.
k=0(k>0이 전제이므로 불가),1,3,10이므로 다 더하면 14.
Comment) 잘 모르겠으면 나열 좋죠. 좋은데, 조금만 생각 더 해서 어차피 수열에 특정 상수를 곱해도 상관이 없다는 것만 발견했어도 풀이가 절반은 줄었을거임
나열 전 선제적 논리도 중요함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워낙 국어 노베이기도하고 , 암기식 머리라 글을 너무 늦게 읽어서 시험볼때 진짜...
-
내가 이걸 왜 풀고 있는거냐
-
얼버기 5
-
오기를 바래요
-
흠; 좆됏네
-
잠깐 잠자다가 방금 일어났는데 나 자고 있을때 친구가 디엠이랑 릴스 좀 보냈거든?...
-
생윤은 칸트를 잘 가르치고 있다 - 수험생을 위한 칸트 정리편 0
*이 글은 필자의 뇌피셜이 난무하는 글입니다. 오늘은 교육 과정에서 멀리 뛰기...
-
아무도 없군 7
이제부터 여기는
-
궁금한거잇으신분 5
이래봐도 나름 6수 160 80 8의 스펙을 가지고잇음
-
주변에 여는가게가없네
-
상어 먹고 싶다 3
.
-
피해망상이 있음 4
어짜피 다들 나 병신취급하는거 같음
-
밸런스게임하자 25
밸런스게임 시켜줘 잘 답해볼게
-
서울대 3명보낸??평반~ㅈ반고이구... 모고 17 18번도 겨우풀수준이고 시험이...
-
굿나잇 2
ㄴㅇㅂㅈ
-
돈줘 2
돈내놔
-
너무졸리네 1
흠
-
인생 업적 1
구구단 외웟음
-
-
행복하게 살자 3
살.자마려워
-
7월 <- 좋아하는 친구 만날듯 12월 <- 수능 끝나고 성형할 예정(늦으면 1월 초)
-
뻥임 안 보여줌 몇개 잇긴함
-
아이유 우울시계 이거 반복해서 들으면 눈물이 쏟아짐...
-
무물보 8
선넘질 ㄱㄴ
-
수능수학적 정보가 많은 칼럼보다 좀 경량급 칼럼이 호평받은거 나름 충격이라...
-
오목2 1
공격
-
오목 시작 0
가볼게요
-
자다가 깼네.... 안녕하세요? 처음 뵙겠습니다
-
있었다는 흔적을 남기고 싶음
-
ㄹㄹㄹㄹ 이러고 잇으면 머하나
-
사문 인강 1
임정환 듣다가 27강 도표에서 걸쳐서 무슨말을 하는지 도통알수없고 판서랑 책이랑...
-
현역 고3이고 이번 3모 화작 3개틀리고 74점 나와서 2떴는데 언매 해도...
-
새르비 1
새르비 여러분들 맞팔해요
-
와 ㅈㄴ섹시하네 3
-
새벽이라우울하군 1
잘까
-
연계였어서 그냥 쌩으로 물어봐도 될 문항을 빈칸형으로 15번에 박아서 물수학이란 평을 듣게함
-
다 나가네 걍 1
으음
-
5등급 현역 정파 국어 공부법 좀 알려줘 제발!!!! 간절함!!!!! 2
잉단 난 정신 개늦게 차림 고1 2학기때 정신 차린줄 알앗는데 아니엿고 고2때가...
-
아니면 리세마라 기회라도
-
수의대
-
더 푸는건 시간 좀 아까운데 그냥 자야겠다
-
폰끄고 자라 넵
-
D-221 0
영어단어 영단어장 day1 영어 어려웠던 문장 복습 힘 빼고, 휴식기간 가졌으니...
-
뭐지 5
f 개형까지는 찾았는데 c ak는 뭐지 삼각함수의 치역과 관련이 있는 걸까
-
또 풀어볼까
-
인생 망한 시점 2
2005년 9월 8일
논리수학..? 논리화학? 논리물리..?
ㅁ?ㄹ
순간 뭐지? 했는데 넣다보니 나오긴 하더라고요 ㅋㅋㅋㅋㅋ
주기의정수배?느낌맞죠?
네
작년서바초반회차에 저런 비스무리한 논리있었는듯...
말씀하신 대로 하니까, 항이 0이기만 하면 돼서, k(k+1)을 곱한 수열이 0이 되는 거랑 동치라서 더 간단하기는 하네요. 근데 의문인 게, (2k+1)단위의 사이클이라는 걸 현장에서도 바로 확신하고 갈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 저도 이 글을 보고 나서 푸니까, 사전적인 인식 때문에 k=5, k=4 두 케이스만 확인하고 그렇다고 결론을 냈거든요.
단순히 제가 수열 문제풀이 누적치가 적어서 그런건지는 몰라도요...
두개 씩 묶었을때 -1인거에서 확신할 수 있어요
그래도 쫄리면 대입을 해도 되긴 합니다
수열 전체에 k(k+1)을 곱하는 발상은 어케 하는걸까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