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verain [1136241] · MS 2022 · 쪽지

2022-05-31 23:17:30
조회수 518

한수 1차 푼사람 들어와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915307


플라톤이 이성 욕구 나누는 문제에서 8번에 1번선지

오류같지 않음? 이게 왜 답인지 이해가 안되는데

관련한 해설이나 설명 영상 잇으면 링크라도 걸어줄수 잇을까?

도저히 모르겟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Ataraxia_oo · 1137836 · 22/05/31 23:19 · MS 2022

    아까 풀었는데 모두 비합리적이 틀렸다고 판단했던 거 같네요

  • Ataraxia_oo · 1137836 · 22/05/31 23:21 · MS 2022

    플라톤은 그런 적 없음 이렇게

  • loverain · 1136241 · 22/05/31 23:24 · MS 2022

    위에서 5번째 줄에 영혼의 이성만 합리적 욕구를 가진다

    이말 바꿔서 말하면 영혼의 욕구는 비합리적이다

    라고 해석되지 않나요? 이성'만'이라 햇으니

  • Ataraxia_oo · 1137836 · 22/05/31 23:29 · MS 2022

    제 기억이 맞는지 모르겠지만 아마 그 욕구가 이성과 관련된 거랑 이성x인 그런 느낌으로 나뉘었는데 저기서는 그냥 욕구라고 해서 모든 욕구가 틀렸을 걸요 저도 해설지는 안 봐서 정확하진 않아요

  • 경 재 · 864675 · 22/05/31 23:22 · MS 2018

    “욕구와 관련한 부분은 모두 비합리적이라는~“으로 바꿔야 맞는 선지인듯해여

  • loverain · 1136241 · 22/05/31 23:26 · MS 2022

    '욕구는'에서 '욕구와 관련된 부분'으로 바꿔서 뭐가 달라지는지 이해를 못하겟네요.. 저는 똑같이 보입니다..
    위에 제 댓글 보고 무엇이 잘못되엇는지 설명해주실수 잇을까요..

  • 한수 연구조교 · 829113 · 22/06/02 12:36 · MS 2018

    안녕하세요, 한수입니다:)
    해당 문제에 대한 해설 답변 드리겠습니다.

    플라톤은 인간 영혼의 욕구가 모두 비합리적이라고 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①은 틀린 선지입니다.

    (나)의 마지막 문단에 따르면, 플라톤은 영혼을 (1) 이성 관련 부분과 (2) 욕구 관련 부분으로 나누었고, 이중 (1)만이 합리적 욕구를 가진다고 했습니다. 이 말은 (2)는 비합리적 욕구를 가진다는 뜻을 함축합니다.

    즉 플라톤은 영혼의 욕구가 모두 비합리적이라고 한 것이 아니라, (1)은 합리적 욕구를 갖지만 (2)는 비합리적 욕구를 갖는다고 주장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나)의 글쓴이는 (1)뿐 아니라 (2)가 갖는 욕구(갈증 해소)도 합리적일 수 있다고 반박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나)의 글쓴이는 영혼의 욕구가 모두 비합리적이라는 플라톤의 주장을 오류라고 본 것이 아니라,
    영혼의 욕구 중 (2)이 갖는 욕구가 비합리적이라는 플라톤의 주장이 오류라고 보고 있는 것입니다.

    질문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loverain · 1136241 · 22/06/03 00:13 · MS 2022 (수정됨)

    감사합니다 이해가 되엇네요
    저는 영혼을 이성과 관련된 부분과 '욕구와 관련된 부분'으로 나누엇다 에서 '욕구와 관련된 부분' 을 1번 선지가 설명하는줄 알앗는데
    갈증해소 욕구, 탐구 욕구 등을 언급하는 선지엿군요... 원래 의도가 이렇게 중의적으로 의도해서 낸건지 여쭙고 싶습니다


    "플라톤이 영혼의 이성만을 합리적인 욕구를 가진다' 라는 문장을 참고햇을때 '욕구와 관련된 부분은 비합리적이다' 라고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이렇게 생각해서 1번을 바로 맞다고 생각했습니다)

  • 한수 연구조교 · 829113 · 22/06/07 16:18 · MS 2018

    아래의 플라톤 주장을 보면 그가 ‘영혼의 욕구와 관련된 부분’과 ‘욕구’ 개념을 별개의 것으로 구분해서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영혼의 이성과 관련된 부분’ = 이성적 숙고 기능 + 욕구1(진리 탐구)
    ‘영혼의 욕구와 관련된 부분’ = 욕구 충족 위한 이성적 숙고 기능 + 욕구2(갈증 해소 등)
    이 중 욕구1만이 합리적이다(= 욕구2는 비합리적이다).

    이러한 구분에 따르면,
    플라톤이 욕구1과 욕구2를 모두 비합리적인 것으로 보았다는 1번 선지는 옳은 진술이 될 수 없습니다.

    ① 인간 영혼의 욕구는 모두 비합리적이라는 플라톤의 주장은 오류이다.

    만약, 1번 선지가 다음과 같았다면 이는 플라톤이 욕구2를 비합리적인 것으로 보았다는 뜻이므로, 옳은 선지가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① 인간 영혼의 ‘욕구와 관련된 부분’이 갖는 욕구는 비합리적이라는 플라톤의 주장은 오류이다.


    질문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실 경우 한수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