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결은 별로 차이 안나도 아웃풋이 압도적으로 차이 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853619
<무조건 까는 사람들이 많으니 객관적으로 들어주세요)
서
연고
서성한
중경외시
건동홍
국숭세단
광명상가
한서삼
다들 아시겠지만 이 순위는 서울권 대학 학교순위입니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건동홍 위로... 아니 요즘은 국숭위로
대학의 한라인에 대한 입학 점수의 차이는 거희 나지 않습니다
즉 수능 점수 몇개로 윗라인으로 갈수 있다는것이겠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졸업생 평가 아웃풋은 어떨까요?
졸업생 수준도 입결따라 갔다면 별로 차이 안나야
맞는것입니다
하지만 어떤가요?
얼마 차이 안나던가요?
★아뇨 압도적으로 차이납니다★
왜 그럴까요? 왜 별 차이없는 수준의 입학생을 받아놓고
졸업생은 왜 아주 크게 차이가 나는걸까요?
지방에서 명문소리 듣는 학교들보다도 입결이 높아서 더 높은 수준의 입학생을 받는데도 졸업생 수준은 압도적으로 차이가 나면서 밀리는걸까요?
그건 바로
학교수준
즉
학교의 실력입니다
제가 전에 올렸던 "한서삼이 서울대 입결을 가진다면?" 글을 참고해보세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명학 일리 - 어법 - 신택스 -알고리즘 풀커리타면 어떨까요??
1
반죽할 그릇에 김치를 담고 가위를 이용해 작게 잘라주세요.
요렇게 하면 도마도 깨끗하고
국물도 흐리지 않아 좋아유~
잘라 놓은 김치양은 대략 종이컵으로 2컵 정도 됩니다.
2
그리고 부침가루 1컵을 넣어주세요.
김치전 만들 때
김치와 부침가루의 비율이 중요한데요
2:1 비율이 좋아요.
김치가 2 부침가루가 1입니다
3
김칫국물 1국자 넣어주고
4
여기에 참치 통조림 1개(85g)을 넣어주세요.
순살 참치가 없어 아쉬운 대로 고추참치를 사용했어요.
요건 취향껏~ 고추참치도 나쁘지 않아요.
너무 익은 김치를 사용할 때는 설탕 0.5 정도 넣어주심 신맛이 덜해진답니다
5
이제 모든 재료를 섞어주고
부족한 반죽 농도는 물을 조금씩 넣어가며 조절해 주심 된답니다.
저는 물 대신 탄산수를 넣었어요.
6
팬이 달궈지면 식용유를 두르고
반죽을 조금씩 올려가며 얇게 펴주세요
7
앞, 뒤로 노릇노릇하게 부쳐줍니다.
8
김치전 완성 ^^
된장국도 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