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수능 역사상 가장 어려운 문제인 171130, 현실적으로는 어떻게 풀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741669
벌써 먼 옛날 얘기이긴 하지만 준킬러의 시대가 들어닥친 요즘 수능 수학이랑은 다르게
4-5년 전의 수능 수학은 킬러문제, 즉 21 29 30번 세 문제만으로 상위권을 변별했습니다.
특히 그렇기에 이 세문제의 난이도가 매우 높았고 30번이 극악이었죠.
그렇기에 수능 역사상 난이도가 가장 높은 문제를 논한다면 수학 가형 171130, 181130 은 빠지지 않고 탑 3안에 들어갑니다.
여기서는 171130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문제는 사실 여러분들이 기출을 공부하면서 많이 접해보았을 겁니다.
문제자체가 너무 많이 꼬여있어서 야매로 답을 도출해내는게 이득인 181130이랑은 다르게
문항 자체의 퀄리티도 매우 높기 때문이죠.
우리는 이 문제를 풀 때에 주로 기울기 함수를 사용한다고 들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기울기 함수가 익숙한 요즘이랑은 다르게 저 시절엔 기울기 함수라는 개념이 매우 생소했기에
이 문제의 정답률을 매우 낮았죠.
그래서 저때엔 현장에서 기울기 함수를 떠올리기가 매우 힘들기에
기울기 함수를 모른다면 어떻게 풀어야 할까를 고민해 본 결과 기울기 함수를 사용하지 않은 풀이법을 개발했습니다.
우선 이런식으로 f(x)를 분수함수로 나타내어 보도록 하죠. 이젠 이 친구를 미분해 줍시다.
이렇게 되네요. 여기서 이 f'(x)를 관찰해 보도록 하죠. 분모는 항상 0보다 크기 때문에 분자만 잘 관찰한다면
f(x)의 증감을 파악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분모는 4차함수네요. 분자의 4차함수를 잘 분석하면 될 것이겠군요. 일단 분자의 4차함수를 분석하기에
지금은 너무 정보가 부족하기에 일단 이정도까지만 파악하고 g(x)에 대한 정보를 도출해 보도록 하죠.
(나)의 조건에 따라서
이라는 관계식이 도출될 것이고 이를 앞서 구했던 f(x)와 f'(x)에 대입한다면
이것과
이것이 나오네요. 얘네들을 연립만 잘 해준다면
이 됩니다. 자세한 계산과정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이 관계식을 다시 에다가 대입을
한 다음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식이 나옵니다.
이렇게 될 것입니다. 이 식을 잘 관찰해본다면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 얻어지게 됩니다.
(alpha, g(alpha))와 (beta, g(beta))는 모두 직선 y=M(x-a)를 지나게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이 점들에서의 g(x)의 기울기가 M이기 때문에 이 직선이 결국 이 두 점의 접선이 될 것입니다.
이젠 이것을 그림으로 알기 쉽게 표현해 보도록 하죠.
그림이 약간 이상하긴 하다만 다음과 같이 사차함수와 직선이 접합니다.
그러므로 이를 식으로 표현하자면 아래와 같이 됩니다.
지금까지 앞서 말했듯이 g(x)에 대한 정보를 도출해 내었습니다.
정보를 도출해 내었기 때문에
이제는 f'(x)의 분자인 사차함수를 분석해서 f(x)의 증감을 판별해 볼 차례네요.
이 g(x)를 f'(x)에다가 통째로 대입하고 정리해보도록 하죠.
도출 과정을 위한 계산은 매우 귀찮으니 생략할 것입니다.
이렇게 정리가 되네요. f'(x)=0에서 alpha와 beta가 극값인건 자명하고 이젠 다음으로
의 근을 구해보도록 하죠. 이것의 근은 매우 복잡하기에 그래프로써 관계를 봅시다.
이런 식으로 두 근중 하나는 x<a에 다른 하나는 alpha와 beta사이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하지만 앞서 정의했듯이 이 함수는 x>a 일 때만을 다루므로 f(x)의 극값은 alpha, beta, alpha와 beta의 사이에 있는 값 이렇게 총 3개가 됩니다.
g(x)의 극값은 f(x)보다 작아야 하지만 사차함수의 극값은 항상 3개 혹은 1개만 가능하니 g(x)의 극값은
한 개가 되겠군요.
이제는 모든 과정이 끝났습니다.
여기에서 g'(x)=0의 근이 1개 혹은 2개일 조건을 찾으시면 M>=216이 나올 것입니다.
이것에 대한 계산은 이미 많은 기출문제집 등등에서 다루므로 생략합니다.
이렇게 쓰고 보니까 171130은 정말 까다로운 문제같네요.
공대오지마라 의치한가라라는 말을 마지막으로 떠납니다.
0 XDK (+1,000)
-
1,000
-
...
-
작년에 검사가 됐다넹...힘들겠당...
-
6개월 이내 찍은 사진을 쓰라던데 그냥 있는거 쓰면 안되겠죠?
-
야구 올스타전 2
갈?말? 잠실에서 11년만에 함 두산팬인데 뽑힌선수가없음...
-
6평 성적표 0
국 표142 백100 수 표140 백99 영 1 생1 표64 백92 지1 표65...
-
오랜만에 추억팔이겸 미제 오르간 두둥기러 예술전당 ㄱㄱ ㅎㅎㅎ
-
안녕하세요~ 생1을 가르치는 피램수강생입니다. 7모 주요 문항 해설지...
-
병신특) 0
실모 97점 맞음
-
"20"점차이 이게 샤대식 환산점수 20점 맞나
-
80분동안 분노의질주함 (50+30분) 수영하고 나오니 3.x kg빠져있음ㅋㅋㅋㅋ...
-
[속보]대통령실, 尹 6촌 근무 논란에 "인척이라고 채용 않는 게 차별" 9
[서울=뉴시스] 대통령실, 尹 6촌 근무 논란에 "인척이라고 채용 않는 게 차별"...
-
그냥 이정도 양만 무지성으로 돌려도 1뜹니다… 독재생은 자의적으로 슈능까지 저정도...
-
암기량 뭐가 더 많나요?
-
4점 22,30번 3점 7번,24번,27번 와 이점수는 진짜 맞기 힘든데 이걸 전부...
-
이정도까지 난이도는 아니였던거 같은데
-
커피마시면서 정신차리고 있어용... 으악 엄청 피곤 :(
-
1.양치기 2.존나틀리는만큼 성적이 오른다. 진짜 수학이든 과탐이든 존나틀려야한다
-
효율적으로 시간을 사용하는것같나요? 난 독재가면 조는게 가장 무서워서 그냥 재종...
-
69수능 은 평가원이 주관하고 교수들이 만드는걸로 아는데 그럼 교육청은 각 지역에서...
-
이틀 이상 된 것 같은데 먹으면 큰일나려나...
-
야식안먹고 낮잠안자구 잘때수면안대 필수장착하면 5시간만자도 개운해짐 0
제기준! 갠적으로 수면안대가 ㄹㅇ신세계 꿈안꿔본게 얼마만인지
-
4점짜리만 다 틀렸고 현재 리본+쎈+기출력+리본워크북 푸는 중입니다! 9모까지...
-
석차 알려면 행정실로 문의하라네
-
작수 수학 3등급 원점수 69로 기억 백분위 기억안남 6평 수학 1등급 원점수 85...
-
연기신청 내고왔음 아직도 심장뛰네 ㅋㅋㅋ
-
결시가 *인건 나도 몰랐음 ㅈㅅ 근데 결시가 *라는건 제2외국어를 신청을 한거잖아...
-
문학공부 문제집 0
기출문제 강기분밖에 안 하고 더 많이 풀어보고 싶어서 살 예정인데 그냥 마더텅 사면 되나요??
-
집모의로도 불가능할거같은데. 하물며 현장에서???
-
본인 지병팔이도 하고
-
썰 ㄱㄱ
-
작년수능 엎어제낀 내탓ㅅㅂ
-
ㅅㅌㅊ?
-
왤케 성대가 많음
-
'최상위권 수험생 커뮤니티 오르비'
-
목표등급은 2~3등급입니다.. 대성패스밖에 없어요
-
6월달까지 디자인 입시하다가 지금 그만둘까 고민중이에요 6평 기준 국영탐탐한...
-
개념 왤케 자세하게 물어보냐... 한지 2개 틀리고 세지 1개 틀림 100프로...
-
당연히 2에서만 교점을 갖는다는거보고 접한다는게 특수하다는걸 떠올리긴하지만 저는...
-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 오르비 (orbi.kr)
-
대학생 분들은 수험생일때 기준으로요 가장 근사값으로 투표 부탁드립니다
-
안그래도 울고싶은데 없는련이 나대네 아물론 성적이요
-
인증 요구하는건 열등감임
-
기말 성적 다 나왔네오 11
문학 96.2 영어 100 수학 100 화학 95.4 생물 96.3 지구 100...
-
찌질하게 성적인증 해달라고 하지 마시길 질문받습니다
-
집중관리반은 고정석 없나요? 있다면 책상이랑 사물함이랑 일체형인가요??
-
앞으로 남은 4개월동안 불태우기 위해서 독학재수기숙 들어가려고 합니다. SN...
-
과목특성상 수학 고정 100은 진짜 상대적으로 국어에 비해선 흔한데 국어 고정...
-
병신련이네 ㅋㅋ 11
방금 미라클타임을 까먹고 블큐를 사며 한말임
-
아시는분?
칼럼추
오
공대갈꺼면 대학원도 생각하라
칼럼조이고
그러니까 칼럼을 읽고 고득점을 해서 꼭 의치한 입성하라는 뜻이시죠?? 감사합니다!!
진짜 PTSD오진다..
정병훈은 천재고
216은 신이다
나 궁금한데 이거 수2아니고 미적이야?
아 분수함수의 미적분을 썼으니까 미적이네요
수2는 분수함수를 못다루니 미적분이죠
기울기함수 풀이가 존재해서 수2로 나와도 됩니다.
수2로도 풀 순 있어용
우왕 ㅅㅂ 나는 수능 포기해야 하나 하..
ㅇㅇ
공대가라
이 칼럼을 보고 신호 및 시스템 과목과 디지'탈'신호처리의 기초 과목에서 S+을 쟁취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문재인으로 봤으면 개추

형님 칼럼 멋있습니다진짜 저 문제는 기울기 발상을 못 떠올리면 손도 못 대는 것 같아요ㅠ
극대극소의 정의를 활용한 부등식 풀이로도 같은결과가 도출되더라고요.
저거1년뒤 181130 문제도 진짜 조호오오온나 어렵지않나요..
이거 호훈이 이렇게 풀었던거같은데
유튜브에 이 문제 풀이 올라와있는데
수학문제 해설 보고 감탄한거 그게 유일했음 ㅋㅋ
확통이 답이다!
동기 17수능 수학 다 맞았던데ㅋㅋㅋ
진짜 현실
아니 삼차함수가 어떻게 극대점이 2개냐고
아 ㅋㅋㅋ
17수능 -x^4+ax^3+bx^2+cx+d잡고 개형 파악했는데 계산 꼬여서 108나오고 틀림
아 저 문제 너무 어려워서 끄적이지도 못하고 넘겼어요…
이문제 수분감에 있나유?
당근
안풀고 넘겼던 기억이
개인적으로이건 쉬웠고 181130이 진짜 어려워서 풀면서도 짜릿해했던 기억이 남네요
이사람 멀쩡한글 쓴 거 처음봤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