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학 해설 논란에 대한 생각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693002
보자마자 드는 생각이 있어서 글 씁니다.
저는 시중 교재로 학생들과 수업할 때도 저런 질문을 수도 없이 많이 받습니다. 심지어 작년 수능 탄궁가에 나온 '아마도 하느님 너희 삼길 제 날 위하여 삼기셨다'라는 구절도 메인 글과 완전 똑같은 질문이 있었죠. 그 말을 듣고 저는 "나도 예찬적 태도라고 생각하기는 하는데, 일단 A가 아니니까 넘어가"라는 말을 했고, 그 학생은 얼마 안 가 그만뒀습니다.(???) 지금 보고 있으려나요.
사후적인 해설을 원하는 건지, 아니면 확신을 줄 수 없다고 생각해서인지는 모르겠네요.
아까 댓글 보니 다른 문학 해설에는 얼마나 오류가 많을까 뭐 이런 얘기도 있었는데, 솔직하게 말하면 이상한 것들이 매우 많습니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들에 관련해서, 이제 와서 내 말이 맞다 했지? 식으로 숟가락을 얹으려는 것도 아닙니다. 제 유튜브 해설 간간이 보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저는 원래 저렇게 해설합니다. 내가 보기엔 이런데, 일단 해설에서 저렇게 말하니 두 가지 가능성을 모두 생각하되 우선은 해설대로 생각하자.
실제로.. 쪽지로도 문학 해설 관련해서 다른 의견을 제시해주신 분들이 많았습니다만
하나가 틀렸는데 나머지 선지를 판단할 이유가 없음에도 여러분이 불안해 하는 것은, 다음에도 이런 식으로 나왔을 때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 때문이겠죠.
한 가지 말씀드리자면, 지난 10년간 문학에서 모든 케이스가 애매한 선지는 출제된 적이 없습니다. 기출을 보면 알게 되실 겁니다. (실제로 2004년 학년도 수능 언어 영역 오류 이후로, 한 번도 국어에서는 복수 정답 처리 같은 게 없었죠. 오류가 없었다고들 하는데, 복수 정답 없음 = 오류 없음으로 귀결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
결국, 애매한 선지에 대해 머리를 싸매고 고민할 이유가 없다는 뜻입니다.
가장 좋은 건, 이렇게 이슈화된 이야기들을 보고, 아 이렇게도 될 수 있겠네? 하고 넘어가는 거죠. 심지어는 평가원 공식 자료도 있으니까요.
문학적 표현에 관해서 심도 있는 토론을 할 수는 있겠지만, '수능' 문학을 푸는 수험생 입장에서는 "아 또 난리났네. 수능이 그렇지 뭐."하고 넘어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어차피 다음에 저러한 관점 때문에 이해를 잘못한다 해도 정답을 고르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을테니까요.
써놓고 보니 '수능의 현 주소' 같은 비판 글로 보여질 가능성이 있을 거 같은데, 저는 언제나 중립을 지킵니다. 딱 하나만 빼구요.
그저 수험생의 입장에서 수능을 준비하자! 라는 글이었습니다.
다음 칼럼의 주제는 '우리가 기출 분석을 할 수 없는 이유'입니다. 아마도 아시겠지만, 정말 그렇지는 않겠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XDK (+100)
-
100
-
대황젠ㅋㅋ 0
ㅋㅋ 상성은 상성이지 ㅋㅋ
-
옆 테이블에 아주머니가 앉으셨는데 어느 순간 보니까 매월승리가 놓여져 있었음......
-
제가 글을 잘 쓰는 재주가 없어서,, 조금만 양해를 부탁드리고 시작하도록...
-
넌 뭐야? 1
용감한 쿠키 기여워
-
반가운 오르비 1
-
달지 말라고 해도 달거긴함
-
나 이번에 처음암
-
아는게없어
-
질문을 거꾸로하면 문질
-
보통 뉴분감 공통/선택 전부 완강하는데 얼마나 걸리죠? 2
74일 잡고 있는데 너무 긴가요? 월: 수1 뉴런 + 시냅스 화: 수1 수특 +...
-
왜지우심
-
뭔가 당연하기도 하면서 생각해보면 왜 사용 기한이 주는데 가격이 오르지?
-
오르비 한산하네 2
-
허수야… 제발 2
진짜 오늘 왜그래.. 진짜 왜 그러는거야…
-
지금 마플시너지, 쎈이랑 다 풀었고 수분감 step1까지도 얼추 끝났는디 이제 뉴런 들어가도 되나?
-
사실 이미 다녀옴.
-
작년에 뉴런 안하고 수분감만 풀었었습니다 기코 -> 수특 -> 커넥션 -> 6평전...
-
시퀀트였는지 코시퀀트였는지는 기억 안 나눈데 저런 공식 하나 있지 읺았나요...?
-
안냐세요, 어디에특별히 하소연할 곳이 없어 조언도 구하고자 글 남겨요.. 간단히...
-
더콰이엇도 좋네 0
The Real Me 듣는 중
-
앱 lesser 작수 백분위 83(원점수 82점) 독해력 백분위 84
-
하닉가고싶은데 1
건대 전전이랑 시립 전전컴 가서 하닉 잘 갈수있나요? 뭐 본인 역량이겠지만..
-
특전 특성화고 직탐으로 서울다 일반전형쓸수 있다는데 직탐표점메리트면 내신 cc여도...
-
오처넌어치의 기대감을 사는것 같다
-
새로운 스타일이어서 잘 모르겠음 ㅡㅡ
-
이 글은 블로그에 작성한 글 입니다. 블로그에서 원문 확인하기 :...
-
인설의 탐구 선택 12
인설의 목표로 일단 언매, 미적은 확정이고 탐구를 정해야 하는데 뭘 해야 할까요??...
-
43퍼보다 높은 대학 어디 어디 있음?
-
부러워요.... 아싸는 못가서 울엇어
-
서울대 간호 0
확통 사탐으로 농어촌 정시 지원 가능한가요?
-
여자셨음??? 과외 시장에 계신데 ㄷㄷㄷㄷ
-
정시 인설의 수능 2개틀림 수학,화1,생1 할 생각임
-
그래서 자고 일어나니 2시라 방금 아침겸점심겸저녁으로 한솥 도시락 먹음 대체 무슨 일이 일어난거지
-
인강 0
솔직히 말하면 인강은 과탐이랑 뉴런정도만 들어도 괜찮을까요 나머지는 독학으로...
-
지1 공부량 0
재수생이라 시간은 많고 오지훈 풀커리(오즈모고포함) + EBS수특수완봉투모고등?...
-
지인선 n제 2
드릴이랑 비교해서 난이도 어떤가요? 드릴3,4,5 거의 다 풀어서 하나 사려고 하는데
-
어휘 3개틀림 아
-
왜 우리학교는 0
자꾸 학생표본 수준과 맞지않는 부교재를 골라서 이상한문제를 내놓을까..
-
현재 시야 ㅇㅈ 8
예예~~
-
이동석(2010) 중세국어 어기 `번`의 단어족...
-
대학 탐방가는데 저녁쯤 될 것 같아서ㅜㅜ 건물 밖만 버고 올건데 몇시까지 열려있는지...
-
씻으러 가자 4
-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0673396/ U CAN DO식...
-
넵
-
그것마저 째고싶다 아 허리 너무 아픈데 ㅅㅂ..
-
본능이란 대단하네
체감상 수능당일날에는 문학선지에서 애매한걸로 답을 가르는 상황은 없었던거 같아요

이게 맞나..?하고 고민하려다가 다른 게 아예 말도 안 되는 설명인 걸 발견하고 헐레벌떡 정답 고른 다음 넘어가는 게 국룰
엌ㅋㅋㅋㅋ 사막에서 우물을 발견한 거마냥 기쁘죠ㅋㅋㅋㅋ
예전에 홀수 할때 좋았던게시중 문제집 해설 a사 b사 ... 해서
최종적으로 결론은 이렇다! 근데 이 선지는 어떻게 판단하자!같은거 있었는데 좋다고 느꼈던..
그리고 그거 보다보면 신기한게
각자 다른 회사들에서 똑똑한 분들이 만든 기출 해설이 다 조금씩 다른 부분이 있더라고요

아예 정답을 특정짓기는 어려운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근데 홀수가 뭔가요 아무리 따라가려 해도 사설을 안 보다 보니 뭔가 줄임말 같긴 한데 잘 모르겠네요 ㅋㅋㅋㅋ

http://www.holsoo.com/m/index.html?기출문제집?같은거 파는 곳인,, 저기서 나온 기출문제집 이름도 홀수고용
저도 전적으로 동의해요. 다만, 문학은 평가원 해설을 어떻게 하는지는 참고할 필요성도 있는 거 같아요. 선지 자체가 애매한 게 없다 보니 출자자의 의도를 좀 알고 있으면 나름 좋다고 느꼈어요. 그래서 6,9모 끝나고 문학 해설지는 꼭 봤네요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고 본인이 잘못 생각한 걸수도 있겠죠. 아무래도 저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입장이다 보니 제 생각에 애매한 건 다른 분들 해설까지도 참고하는데, 웬만하면 제가 의문을 가진 부분에 대해서는 해답을 찾기가 좀 힘들더라구요문학 선지는 애매한 것들 중 ‘이건 진짜 아니다 ㅋㅋ’ 싶은 걸 고르라는 것 같은 느낌이더라구요 ㅎㅎ

애매함은 있어도 못 고를 일은 없다! 이런 느낌이죠평가원이 문학을 출제할때
앵간해선 안건드리는 지점이 있죠 ㅋㅋ
자기들도 이의제기 처리가 상당히 고달픈 일이라는 걸 누구보다 잘 알 테니..
이건 근데 요즘 웬만하면 다 알죠?
뭐.. 다 아는 이야기일 거라 생각했는데, 마음 속으로는 불안감이 여전한 학생들이 맞는 거 같아요. 무슨 말인지 알아도, 다르게 내면? 또 이렇게 나오면? 이런 생각들 때문에 끊임없이 정답을 찾는 거겠죠.
보기먼저읽고 지문들어가면 답고르기가 더 쉽더라구요

오.. 저는 거의 보기를 안 보고 풀어서 그 부분은 좀 다르네요치대의 품격
저도 문제를 풀 때 보기를 하나 하나 정독하는건 아니지만 어느정도 참고해서 보면 글이 잘 읽히는 것 같더라구요.
예를들어서 2015 b형에 최두석의 낡은 집과 오장환의 고향 앞에서 문제들을 풀 때,
먼저 보기에서 귀향과 귀향의 미완이라는 것을 참고해서 지문을 읽으면
오장환의 고향에서는 귀향을 하지 못해 귀향이 미완의 형태로 남게 되었고
최두석의 낡은 집은 귀향은 했지만 고향에서 가난하게 사는 가족들의 모습 때문에 고향이 고향처럼 느껴지지 않으므로 귀향이 미완의 형태로 남게 되었는 것을 조금 더 잘 캐치해 내어 나머지 문제들을 푸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그래도 무조건 풀 때 보기먼저 봐라! 는건 아닙니다

수험생의 불안함도 당연하지만 선생님의 답변은 더 현명하네요. 공감합니다 옳게 된 공부법이죠
사실 대부분 생각을 비슷하게 할 텐데 표현이 조금 다를 뿐이겠죠박광일이 말합니다 . " 학생은 여기까지 "

신기하게 유튜브 라이브 때도 그 분 언급이 많이 되더라구요 한 번도 본 적은 없지만 감옥에 가 있는 건 압니다..ㅎㅎ그리고 그 말도 바로 공감이 가네요

라이브.... 예정 기다리는 중인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