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헹 [489199] · MS 2014 · 쪽지

2015-02-06 00:43:48
조회수 1,336

의료기계를 만들고싶다면 학과가..어케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57353

의료기계는 공대인가요 의대인가요... 궁금하네요


공대와 의대 석박사들이 서로 연구를 해야나오는게 의료기계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으어어어어어아싸 · 480769 · 15/02/06 00:47 · MS 2013

    의공학과..?

  • 펭귄2호 · 432331 · 15/02/06 00:48 · MS 2012

    특화된곳이 있습니다.

    성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

  • 에헹팧 · 471171 · 15/02/06 00:49 · MS 2019

    국제생물의학공학

  • 푸헹 · 489199 · 15/02/06 00:49 · MS 2014

    궁금한것이 의료기계는 당연히 발전을 해올텐데 그런것은 어느분들이 개발하시는거죠??
    교수님들인가요? 기업???

  • 둔칸 · 550142 · 15/02/06 00:59 · MS 2014

    기업이요. 일본 샤프였나... 가 유명합니다.

  • 얼굴큰 · 548148 · 15/02/06 00:59 · MS 2014

    저도 관심있어서 주변에 알아보니 의공학보다는 기계과를 나와서 대학원이나 유학을 의공학으로 가는게 낫다고 하더군요. 혹시 기계를 배우다가 뜻이 바뀔수도 있고, 아무래도 의료기계를 개발하기를 원하신다면 석박사 출신이 주로 하니까요... 근데 성대 거기 특성화학과는 잘 모르겠어요. 거긴 학부자체를 잘 미뤄주니까 더 나을수도? ㅎ

  • 방학은침대화함께 · 555681 · 15/02/06 01:12 · MS 2015

    주로 기계나 전기전자같은 공학으로 가서 의사들의 자문을 받는다고 하더군요
    의료기기로 유명한 기업은 제너럴일렉트릭, 필립스, 지멘스 등이고 특히 GE의 MRI기기 세계 점유율은 독보적인 1위입니다

  • 푸헹 · 489199 · 15/02/06 01:16 · MS 2014

    많이 아시네요...이런 것에 흥미가 많은 학생인데 저런곳에서 일하려면 공대 석박사까지는 해야하나요? 대학졸업만으론 힘들다거나 ...?

  • 방학은침대화함께 · 555681 · 15/02/06 01:24 · MS 2015

    대학물 1년반먹어서 기공졸업한 선배도 알음알음 알고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 제대로 된 회사가 없어서 의료기기는 무조건 외국계로 가야한데요
    학부졸업하고 바로 연구원으로 들어가든 석사따고 경력직연구원으로 들어가든 크게 상관은 없지만 자신의 입지를 고려했을 땐 학사졸업 후 바로 들어가(도록 도력하)는 게 더 낫다는 선배의 말씀이 있으셨습니다ㅋㅋㅋ

  • 푸헹 · 489199 · 15/02/09 14:09 · MS 2014

    아..이런생각은 하면 안되는데 갑자기

    의공과와 의사 어느것이 월급?이 더좋은지 궁금합니다

  • steady.hyun · 545826 · 15/02/06 07:36

    님의 진로에 딱 맞는 학과가 의공학과인데요. 대표적인 의공학과로는 고대 바이오의공학부, 성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 한양대 전기생체, 경희대 생체의공, 연대 원주 의공학과 등이 있습니다. 연대 원주 의공학과가 전통이 제일 오래되었고, 성대나 고대같은 경우 신입생 모집은 올해가 처음입니다. 입결상으로는 성대 > 고대 > ~ 인 듯 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의공학부 졸업생들은 의공기사가 아니라 정말 엔지니어 입니다. (의료기기 수리, 보수가 아닌 개발)

  • steady.hyun · 545826 · 15/02/06 07:38

    지금까지의 일반적인 루트는 애초에 한국의 의료기기 시작이 작아서 학부부터 올라오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교수님들만 봐도 전자 혹은 기계를 전공하시고 의공학을 대학원에서 전공하셨습니다.
    올해 상위권대학에서 갑자기 의공학과를 신설하였기에 이들 아웃풋은 좀 지켜봐야겠구요. 전자나 기계를 가고 석사이상을 따면 학부과정에서 의공학을 전공할지에 대한 고민을 좀 더 할 수 있어서, 즉 길이 넓어서 좋을 듯 합니다. 애초에 의공학에 뜻을 두었다면 학부부터 의공학을 밟는게 약간이나마 전문성이 있다고 생각하구요.

  • steady.hyun · 545826 · 15/02/06 07:41

    그리고 마지막으로 의공학이 기계, 전자, 생물 부분을 모두 다루기 때문에 학부과정으로는 부족해 보입니다. 석사 이상이 요구되며 님이 원하시는 개발 및 연구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작업을 하려면 석사 이상을 따야 할 듯 합니다.
    가장 좋은 루트는 상위권 대학 의공학과에 진학한 후 해외대학에서 석사 이상의 과정을 마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시장이 좁아 (8년후 정도에는 어떻게 변할지 모르겠네요) 의료기기 회사를 바로 떠올려보면 삼성메디슨 정도인데, 해외쪽으로 가면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좋은 회사가 많기 때문에 세계적인 판에서 놀아야 할 듯 합니다.

  • 푸헹 · 489199 · 15/02/07 01:25 · MS 2014

    어딜 물어봐야할지도 모를만한 내용을 이리 자세히 설명해주시니 정말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열심히하고싶은데 석박사...까지는 공부만 한단 것인데 돈이걱정이네욤 하하하 ㅠㅠ

  • steady.hyun · 545826 · 15/02/07 01:30

    장학제도 생각보다 아주 잘되어있습니다 소득분위 장학금 받으시고 의지만 있으시다면 성적장학도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성대 글바메는 붙으면 사년전액장학에 한달에 50씩 돈도나옵니다ㅎㅎ

  • 푸헹 · 489199 · 15/02/07 02:07 · MS 2014

    의료기계를 만들지 의사가 될지 어쨋든 제가하는 일이 돈을 벌며 사람 살릴 수 있는 일을 하고싶긴한데 학과도 정말 다양하고 머...사회상황까지 고려해야한다니 학생으로서는 머리가 터질 것 같네요

    뜬금 없는 질문이지만 저는 기초생활수급자 자녀인데 장학금이 말씀해주신 학과만 그렇게 잘되어있나요? 제 기억상 뉴스에선 항상 대학등록금 문제가 자주 나왔던 것 같아서 공부 열심히 해도 결국 돈 문제 때문에 취직하러 다녀야 하진 않을지 걱정이네요

  • steady.hyun · 545826 · 15/02/07 07:32

    기초수급자이시라면 일단 제가 언급했던 대학들은 국장덕에 얼추 모두 공짜 비슷하게 다니실 수 있구요 이건 의공 뿐 아니라 다른 학과에도 적용됩니다

  • steady.hyun · 545826 · 15/02/07 07:56

    의대의 경우는 학비가 좀 더 비싼데 이 부분까지 국장으로 커버가 되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 푸헹 · 489199 · 15/02/07 10:04 · MS 2014

    친절하시고 자세한 답볍 정말 감사드림당ㅜ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