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 1 파동의 굴절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427717
아래 사진과 같이 첫번째 매질에서 두번째 매질로 서로 다른 두 단색광을 입사시킬 때 하나는 더 느려지고 하나는 더 빨라지는 경우도 실제로 일어날 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427717
아래 사진과 같이 첫번째 매질에서 두번째 매질로 서로 다른 두 단색광을 입사시킬 때 하나는 더 느려지고 하나는 더 빨라지는 경우도 실제로 일어날 수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혹시 이유도 알 수 있을까요?
개념의 문제인데.. 개념서 다시 보세요
단색광의 진동수에 따라, 매질에 따라 굴절률이 달라질 수 있다는 건 알겠는데 그 이상으로 무슨 개념이 쓰인건지를 모르겠어요.. ㅜㅜ
예를 들어 A에서 매질 1의 굴절률은 Na1, 매질 2의 굴절률을 Na2, B에서도 같은 식으로 Nb1, Nb2라고 할 때 Na1과 Na2는 다르고, Nb1과 Nb2도 다르며 Na1과 Nb1도 다른데 Na1 > Na2이면서 Nb1 < Nb2는 안 된다는건가..
아.. 그거 차이가 미미해서 물1에서는 그냥 다 같은걸로 퉁쳐요

아 그렇구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대부분은 단색광이 하나이거나 같은 경우로 문제가 나오기는 하던데 종류가 다르게 나오는 경우도 기출에 있었어서 좀 헷갈리네요문제에서도 대부분 같은 종류의 단색광이라거나 하는 조건으로 제한할걸요?
좀 더 저 질문에 맞게끔 말해보자면
절대굴절률이 매질1<매질2 라고 했을때
서로 다른 진동수의 파동이 어떻게 굴절될지 생각해보세요
스넬의 법칙
분산은 있어도 단색광에 따라 빨라지고 느려지는게 나뉘진 않을듯 굴절률이 안변했으니까
요즘 메타물질 핫한데 표면을 잘 만져서 특정 대역에서만 굴절률이 달라지게끔 만들수있느냐같이 어떻게든 할 수 있느냐는 질문이면 그건 교수님께 여쭤봐야 할 일이구요
말을 뭔가 이상하게했는데 굴절률이 안변한게 아니라 그 결국 속력이 빠른재질에서 느린재질로 간다는게 변하는게 아니라는 뜻이었음 적어도 물1에서는요

아 그런가요? 속력이 얼마나 느려지거나 빨라지는 지에 대해서는 차이가 있지만 제가 질문한 예시 같은 경우는 없다는 것만 알고 가면 되나보네요ㅇㅇ 빛이 소한매질에선 빠르고 밀하면 느린데 굴절되는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어도 두 매질의 소-밀 관계가 뒤바뀌는건 아니잖슴 최소한 물1에선 신경 안써도 될듯

헐 생각해보니 그러네요 감사합니다!또 '아니 생각해보니까 밀도가 아니라 굴절률로 밀과 소를 나누는데 이 질문에 소-밀 관계가 안바뀌니까 어쨋든 경향은 똑같다라는건 순환논리가 아닌가?'라고 할 수도 있는데 빛의 입자성을 생각해볼때 빛이 진행하면서 다른 물질들에 방해받는다 = 느려진다기 때문에 빛에 한해선 밀도관계처럼 받아들여도 엄밀하진 않아도 큰 문제는 없고 어쨋든 소-밀 관계는 안바뀌는게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