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놈의 주입식 교육탓도 좀 웃긴거같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400324
무슨 주입식 교육탓에 우리가 노벨상을 못 받느니 학생들이 창의적이지 못하느니 그러는데
현실은 주입식 교육의 끝판왕이자 한국 교육제도의 원조격 되던 과거 독일이나 현재 일본은 노벨상 잘만 받아가고 훌륭하고 창의적인 사람들도 많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400324
무슨 주입식 교육탓에 우리가 노벨상을 못 받느니 학생들이 창의적이지 못하느니 그러는데
현실은 주입식 교육의 끝판왕이자 한국 교육제도의 원조격 되던 과거 독일이나 현재 일본은 노벨상 잘만 받아가고 훌륭하고 창의적인 사람들도 많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그냥 기초과학 투자한지 얼마 되지도 않았는데 노벨상 바라는건 도둑놈 심보지 ㄹㅇ
ㄹㅇ 무슨 노벨상이 돈 넣으면 뚝딱 나오는 것도 아니고ㅋㅋ
그냥 자연과학보단 공학을 중시해서 그런거다 아님?
교수법보다는 평가 방식에 더 문제가 있지 않나 생각합니다ㅎㅎ
평가방식도 일본에비해크게다르지 않아서
전 본고사 폐지와 수능 중심의 평가 방식이 대한민국의 고등 교육 수준을 크게 후퇴시켰다고 생각합니다. 수능이 나쁜 시험이라는 뜻은 아니고, 평가 요소가 부족하다는 차원에서 그렇습니다. 보편적인 교육 수준은 높은 편이지만, 최상위 학생들을 선별할 수 있는 방안이 수능만으로는 마땅치 않다고 생각해요. 일본이 그런 쪽으로는 좀 더 나은 것 같고요. 뭐 사람마다 생각은 다르니까요.^^
선발방식이문제라기엔, 과학적성과가 무조건 엘리트에서 나오는게아니니까요.. 뭐 그건둘째치고, 학계에 보면 정말 정부지원이한정적이고 임의적이라 그런거부터 보이네요ㅠ
연구에 대한 지원 같은것도 물론 영향이 있겠지만, '주입식 교육'에 대한 이야기가 주로 나오는 곳이 중등 교육과정과 학부 과정이니 그에 한정지어서 생각해보면 그 영향이 더 큰 것 같다는 이야기입니다. ㅎㅎ
저는 개인적으로 학부선발이 큰 영향을 안준다구 생각해서...(사실 일부과들말고는 대다수가 자과 대학원을 안가다보니)
본고사의 효용에 대해서도 약간의 의문이있긴하네요!
팩트) 내신이 주입식이다
사실 영어 빼고는 그렇게 주입식도 아님
ㄹㅇ
정부투자가 적으니까 그런거를...교육책임^^
투자에 들어가는돈은 적지 않습니다.
정권이 바뀌면서 손바닥 뒤집듯 바뀌는 메인 연구개발과제가 바뀌고
10년 20년 단위의 과제가 없고,
길어야 5년짜리 단기과제밖에 없죠 ㅠㅠ
정권 바뀔때마다 모든걸 갈아엎는거같아요
딴나라도 그런가….
독일은 주입식이랑은 거리가 멀지 않나요
글쎄요...근데 대학교 교수들 실제로 하는 말 들어보면 현재 수능이라던가 이런거 되게 안 좋게 보는 교수들이 대다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