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명형T] 공부의 적 Series 2. self-doubt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35112
공부의 적 두번째입니다.
스스로를 믿지 않거나 스스로에게 의구심을 갖는 것이 두 번째 공부의 적입니다.
고3 수능에서 영어등급 4등급을 받은 학생과 이야기하던 중 그 학생이 한 말입니다.
"이런 말씀 드리면 어떻게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1등급을 받아보는 것이 목표이거든요."
1등급을 받겠다는 말을 하는 것만 해도 훌륭한 학생입니다.
하지만 왜 남의 눈치를 봐야할까요. 그것도 성적을 올리는 것을 주업으로 삼는 사람에게 말입니다.
"12년간 공부를 안했기에 겨우 ABC만 아는 정도예요."
ABC만 아는 이 학생의 등급은 3~4등급입니다.
"그건 똑똑한 애들이니까 가능한 거 아닌가요?"
8개월만에 3~5등급을 끌어 올린 학생들 사례에 대한 반응입니다.
우리는 너무나 자주 스스로를 불신하고 스스로에 대해 의구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Nothing gives scientists more pleasure than holding to an unconventional idea in the face of opposition. Scientists are always constructing a straw-man "establishment" opponent whom they can then fearlessly demolish. If you combine that with resisting the conventional wisdom of non-scientists, you have a recipe for a distinctive kind of scientific self-righteousness. Of course, it is certainly true that there is no reason that scientifically valid results should have morally comforting consequences — but there's no reason why they shouldn't, either. More to the point, when scientists do have ideas that are potentially morally dangerous, they should approach those ideas ___________________________. Truth and morality may indeed in some cases be competing values, but that is a tragedy. It should not be a case for self-congratulation.
① without reflection on social phenomena ② with hesitancy and humility
③ with decisive and courageous mind ④ without consideration and concern
⑤ with ambition and pretension
예전 문제 하나입니다.
과학자들이 도덕적으로 위험한 생각에 접근한다면 당연히 조심하고 주의해야겠지요.
상식적인 문맥 확인 후에 앞뒤만 봐도 너무나도 명확한 답근거가 보이는 문제입니다.
틀린 학생에게 물어보면...
일단 과학과 도덕,윤리 같은 이야기들이 등장하면 어렵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어렵다는 안경을 끼고 지문을 보면...추상적이고 뜬구름잡는 이야기일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고, 따라서 평이한 지문도 어렵게만 느껴지는 것입니다.
늘상 지문에 등장하듯이 groundless optimism은 경계해야할 대상이겠지만...
마찬가지로 self-doubt 역시 공부뿐 아니라 무슨 일을 하든 피해야만 하는 대상입니다.
똑같은 내공을 가진 학생이 시험장에 들어가면서
확신을 가지고 들어가는지, 불신과 걱정을 가지고 들어가는지는
성적에 있어서 차이를 만들어낼 수 밖에 없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큰 부담없이 하루에 한, 두 지문 분석하는 용도로 할건데 옛기출이 낫나 이건
-
사탐하고싶다ㅠㅠㅠㅠㅠ
-
1이랑 ㅈㄴ다르다
-
충격적인 사실 0
난아직시험안끝낫다 시발교수님…;;
-
뱃지 신청날짜와 순서, 뱃지 발급날짜와 순서가 정말 우연히도 같네요? 출처 :...
-
미적할껄 ㅅㅂ
-
재수해서 연세대 상경에 온 남자입니다. 작년 1년동안 서울대만 바라보며 공부해서인지...
-
개념강의는 전에 한번 들었는데
-
고대 컷 0
98 94 3 96 96이면 비벼볼만 할까요? 어느정도를 목표로 잡아야할지 모르겠네요
-
Everyday Grow, and Glow “매일 성장하며 빛날 당신” 안녕하세요,...
-
아 전역 마렵다 2
더 많은 애니,만화,소설을 볼 시간이 필요해
-
과탐5퍼 과목 하나당 있다고 했을 때… (그냥 가산 3퍼도 상관ㄴㄴ) 공대...
-
주로 틀린문제 위주로 어느 발상을 뼈대로 만든 문제고, 왜 이 발상을 떠올리지...
-
할거추천받아요 룸메들이없어..
-
ㅠㅠ생윤이 표본이 많긴 한데
-
[속보] 김문수, 대선 일정 중단 선언…"당에서 대선 후보 끌어내리려 해" 6
[서울경제] [속보] 김문수, 대선 일정 중단 선언…"당에서 대선 후보 끌어내리려 해"
-
지금 일어났는데 2
점심을 먹어야할까
-
브릿팝 0
오아시스 vs 블러
-
실수로 강민철 선생님과 키스 해버린 것 같습니다.... 11
누워서 옯질을 하던 도중 어떤 글 본문에 있던 강민철 선생님의 짤을 보다가 실수로...
-
재수 고의 vs 삼수 카의, 성의면 다들 어디 고르실건가요?
-
3등급에서 2025 수능 수학 미적분 96점 (백분위99%) 달성 후기 1
3등급에서 2025 수능 수학 미적분 96점 (백분위99%) 달성 후기 안녕하세요....
-
ㅎㅇ 1
/ㅂㅇ
-
안녕하세요 team AXIOM입니다 오늘은 정병호선생님 프로메테우스와 이창무선생님...
-
은샨 4
갓네..아...
-
이게뭐람
-
완자로 개념 빠르게 끝내고 기출분석인강 Vs 개념인강 듣기
-
확통 질문.. 6
친구가 만든거라고 맞춰보라던데 239나오는거 맞나요...?
-
많이 차이나나요?? 내신반영문제때문에 그런가
-
뻘글러 어디갔냐 0
일해라
-
지인선 N제 1
25버전이랑 26버전 난이도 차이좀 알려주셈 ㅠㅠ
-
연대 이과 일반과
-
다 죽었다 이제
-
강대기숙 고민 0
ㄱ현재 독재기숙 다니고 있는데 이번에 강대의대기숙 6모 편입 넣어서 합격했는데...
-
수능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
ㄷㄷㄷㄷ 이렇게 본계 맞팔이 3명이 되는구나
-
불행하게도,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은 하고픈 말을 그대로 표현하는 것 만으로도...
-
내얼굴 봤을때 3
??:음...의대가셔야할거 같네요 ??:공부해서 메디컬 갑시다!! ??:풉 ㅋㅋ
-
이원준 커리 0
지금 이원준 쌤으로 비문학 갈아타는 거 늦나요 ㅜㅜ 유대종 쌤 듣다가 고민하고 있는데
-
연휴가 끝나간다 0
말도안돼 4일이나 되는 연휸데 진짜 녹아버리네
-
현역이고 3모 기준 4등급입니다 올오카 다 끝내고 tim 3주차까지 햇는데 tim...
-
화학은 있을듯 근데 지구는 어케하노..
-
안녕하세요 김0한입니다. 처음으로 칼럼을 써보는데요. 오늘 제가 다룰 주제는 '도형...
-
어떻게 잘해지는 걸까
-
국어 98 수학 99 영어 1 사문 99 생윤 97
-
일단 정답이긴 한데 풀고보니까 풀이가 개판이네 ㅋㅋㅋ
-
...
-
나좀가자
-
맞팔구 4
해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