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그 대단했던 고교생 논문 저자 70%는 대학 가니 '끝'

2022-04-18 20:26:32  원문 2022-04-18 16:04  조회수 754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6244199

onews-image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아들의 논문 실적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고등학생들이 제출한 논문 상당 수가 대학입시를 위한 '1회성 논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생기부에 논문 못 쓰자 작성 급감 18일 카이스트 경영공학 석사 강태영씨, 시카고대 사회학 박사과정 강동현씨는 '논문을 쓰는 고등학생들에 대해 알아봅시다'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2001년부터 2021년 사이에 국내 213개 고등학교 소속으로 작성된 해외 논문을 전수 조사한 결과, 작성된 논문 수는 총 558건, 학생 저자 수는 980명에 달했다. 해외 학술 ...

전체 기사 보기

해당 뉴스 기사는 민트빛 하늘(1092264) 님의 요청으로 수집 되었습니다.

  • 민트빛 하늘 · 1092264 · 22/04/18 20:26 · MS 2021 (수정됨)

    정호영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 아들의 논문 실적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고등학생들이 제출한 논문 상당 수가 대학입시를 위한 '1회성 논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카이스트 경영공학 석사 강태영씨, 시카고대 사회학 박사과정 강동현씨는 '논문을 쓰는 고등학생들에 대해 알아봅시다'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2001년부터 2021년 사이에 국내 213개 고등학교 소속으로 작성된 해외 논문을 전수 조사한 결과, 작성된 논문 수는 총 558건, 학생 저자 수는 980명에 달했다. 해외 학술 데이터베이스인 마이크로소트프 아카데믹 그래프(MAG)에 등록된 논문 2억7000건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들 중 67%는 고교시절 논문 한 편만을 작성한 뒤 추가적인 연구 이력 전혀 없었다. 강태영씨는 “만약 특출난 학생들만 논문을 작성한다면 그 수가 많지 않아야 하고, 이런 극소수의 천재들이라면 대학 진학 이후에도 계속 학술 연구활동을 할 확률이 높다”며 "대부분의 학생 저자들이 단발성 논문만을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 Festiva​ · 864732 · 22/04/18 20:32 · MS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