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댘 [1120877] · MS 2021 · 쪽지

2022-04-04 23:00:56
조회수 2,375

생명과학 15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5986219

이거 A,B 흥분 전도 속도 말고 잘 모르겠네요

도와주세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고양이발바닥 · 957151 · 22/04/04 23:13 · MS 2020

    전도되는 시간과 막전위가 변하는 시간의 합이 전체시간임을 생각하면 자극을 준 지점이 d1이라고 가정하면 B의 2에서 모순이 발생합니다.

  • 사과맥주 · 1088100 · 22/04/04 23:17 · MS 2021 (수정됨)

    항상 -80mV가 가장 큰 힌트니까, II와 IV를 기준으로 생각하면요...

    IV 시점의 A -70은 B -80보다 먼저 생길 수도, 나중에 생길 수도 있으니까 판단을 보류해야 하지만,
    II 시점에서 A는 -60, B는 -80mV인데, -60mV는 항상 -80mV보다 선행해서 발생하므로
    (즉, -80mV는 과분극의 마무리 단계에만 발생되는 막전위이고,
    -60mV는 탈분극의 시작이나 과분극 중간에만 발생되는 막전위에요)
    그 말은, II를 보았을 때, d2에 흥분 전도가 A보다 B에서 먼저 다다랐다는 뜻이 되어요
    즉, B의 신경전도가 A보다 빠르다는 뜻이고
    따라서 B의 신경전도 속도는 2cm/ms, A는 1cm/ms가 되어요.

  • 사과맥주 · 1088100 · 22/04/04 23:25 · MS 2021

    이제 여기까지 스스로 아셨으니까, 나머지는 쉬워요! ^^
    먼저 흥분의 시작지점 X를 결정하면요.
    (i) 만약 지점 X = d1이라면, B가 -80mV인 시간 II = d1에서 d2까지 신호가 오는 데 걸린 시간 1ms + 과분극에 걸린 시간 3ms = 4ms인데, I~IV는 2, 3, 5, 7ms 중 하나이므로 모순이 발생해요.
    (ii) 지점 X = d4이라면, B까지 신호가 오는 데 걸린 시간 2ms + 과분극 시간 3ms = 5ms
    즉 II는 5ms에요. 그러면 A가 -60mV인 것도 설명이 돼요.

    그러면 다음으로 중요한 힌트 IV는
    A에 흥분이 도달한 지 3ms인 시점이고, X에서 d2까지 신경 A를 타고 신호가 오는 데 걸리는 시간은 4ms이므로, IV는 7ms이에요.
    I는 B가 흥분을 시작한 지 1ms가 된 순간이므로 3ms, III는 2ms일 거에요 (A에는 아예 신호가 오지 않고, B에도 이제 막 신호가 도착했으므로 아직은 둘 다 휴지전위 -70mV일 거에요)

    따라서
    1. II는 5ms에요 (X)
    2. 자극을 준 지점 X는 d4에요 (X)
    3. A의 흥분 전도 속도는 1cm/ms에요 (X)
    4. ㄱ이 4ms일 때, A의 d3에서의 막전위는: d3까지 오는 데 걸린 시간 3ms + 1ms동안 흥분했을 때 막전위 -60mV니까 맞아요 (O)
    5. ㄱ이 4ms이면 B의 d3은 흥분한 지 2.5초 된 상태, 즉 과분극 중이니까 K+는 세포 밖으로 유출되어요. (O)

  • Asphyxia · 1091739 · 22/04/05 15:29 · MS 2021